24일 광주예당 대극장에서
베버·베토벤·브람스 명곡들
솔리스트 협연 협주곡도 선봬
웅장한 앙상블로 연말을 화려하게 장식할 클래식 음악회가 열린다.
광주시립교향악단이 오는 24일 오후 7시 30분 광주예술의전당 대극장에서 390회 정기연주회 '2024 송년음악회'를 개최한다.
이번 공연은 낭만파와 고전파 등 독일 출신 세계적인 거장 작곡가들의 명곡을 선보인다.
막을 올리는 곡은 베버의 '오베론 서곡 J.306'이다. 오페라 작곡가로 유명한 베버는 '마탄의 사수' 등의 대표작을 남겼다. 그의 작품은 고전기와 낭만주의의 성향이 섞인 것이 특징이다. 이날 선보이는 오베론 서곡은 그가 작곡한 마지막 오페라 곡으로, 1826년 런던에서 오베론 초연의 지휘 후 그대로 병이 악화돼 세상을 떠난다. 당시 드레스덴에서 베버를 계승하고 있던 바그너에 의해 옮겨진 곡이다.
오베론은 환상적인 이야기를 다룬 오페라로, 고전적인 소나타 형식이지만 바그너풍의 오페라 중 주요 가락을 소재로 한다. 낭만적인 오페라의 줄거리의 분위기를 한층 느낄 수 있는 관악기의 기법과 동양을 연상케하는 이국적인 정서가 눈에 띄는 곡이다.
이어 베토벤의 '삼중 협주곡 C장조 op.56'을 선보인다. 베토벤 특유의 강렬함과 독주 악기 선율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으며, 솔리스트 세명과 관현악의 협연으로 화려함이 특징이다.
협주를 이루는 세 독주 악기는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라는 독특하고 파격적인 조합이다. 독주자 세 명의 호흡이 맞지 않을 경우 앙상블이 붕괴될 수 있어 뛰어난 기교를 필요로 하는 곡으로, 서로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는 훌륭한 독주자 세 명이 필요하기에 실제 공연이 자주 이뤄지지 않는 작품이기도 하다. 국제콩쿠르를 석권하며 솔리스트로 주목받는 연주자 박지윤(바이올린), 이정란(첼로), 유영욱(피아노)이 협연으로 이날 광주시향과 함께 무대에 오를 예정이다.
이날 막을 내리는 곡은 브람스의 '교향곡 1번 C단조 op.68'이다. 대선배 베토벤의 그림자에서 벗어날 수 없던 브람스가 중압감에 시달리며 오랜 기간에 걸쳐 작곡됐다. 브람스에 의해 완성된 후 파기되고 새롭게 작곡, 수정 등을 거쳐 20여 년 만에 완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곡 자체에서도 베토벤 곡의 분위기를 엿볼 수 있는 게 특징이다. 느린 서주 이후 알레그로가 이어지는 1악장과 마지막 4악장에서는 베토벤 교향곡을 연상시키는 주제 가락이 차용됐다. 하지만 브람스 특유의 절제된 구조와 형식미를 갖춰 밀도 높은 중후함이 돋보인다.
이날 공연은 김영언 광주시향 부지휘자의 지휘로 이뤄진다.
공연은 전체관람가로 티켓 가격은 R석 3만원, S석 2만원, A석 1만원이다. 예매는 광주예술의전당 누리집 또는 티켓링크를 통해 가능하다.
최소원기자 ssoni@mdilbo.com
- 추모 의미 더해진 국악 공연 무대 전남도립국악단 토요가무악희 '그린국악' 공연 모습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를 추모하는 국가애도기간으로 취소됐던 공연이 추모의 의미를 더해 관객들을 다시 맞이한다.전남도립국악단의 토요 가무악희 '그린국악'이 오는 18일 첫 공연을 시작으로 매주 토요일 관객들의 발걸음을 이끌 예정이다.전남도립국악단 관계자에 따르면 당초 지난 4일 첫 공연 예정이었던 '그린국악'은 지난달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인해 지정된 국가애도기간으로 취소돼 차주인 11일 진행하는 일정으로 변경됐다. 하지만 공연장이 무안군에 위치해있는 등 11일 공연 역시 시기적으로 섣부르다는 판단에 18일 첫 공연을 올리는 것으로 조정됐다.전남도립국악단 토요가무악희 '그린국악' 공연 모습공연 일정이 변경됨에 따라 구성 프로그램에도 변화가 생긴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대금 산조 병주', '김병호류 가야금 산조', '서한우류 버꾸춤' 등 5개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었으나, 일부 공연 내용을 변경해 추모 무대도 함께 올릴 예정이다.18일 공연은 '대금 산조 병주', '보렴', '컨템포러리 아쟁 산조', '씻김굿-祭(제)' 순서로 진행된다. 이 중 '보렴'과 '씻김굿-祭(제)' 무대는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해 마련된 시간이다.'보렴'은 '보시염불(報施念佛)'의 줄임말로, 왕실과 국가의 안녕을 축원하는 남도잡가 중 하나이다. 이날은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고, 영원한 평안을 축원하는 마음을 담아 노래한다.씻김굿은 죽은 자의 넋을 위로하고 그 영혼이 해탈하기를 기원하며, 살아남은 이들에 대한 위로와 그 삶의 터에 평안이 가득하길 기원하는 의미의 굿이다. 이번 참사로 목숨을 잃은 희생자들과 유가족들을 위로하는 마음을 담아 제(祭)를 행한다.전남도립국악단의 '씻김굿' 공연 모습전남도립국악단의 '그린국악'은 매주 토요일 오후 4시 무안 남도소리울림터에서 펼쳐진다. 전통 가무악희(歌舞樂戱) 작품들을 집약해 선보이는 무대로, 이번 시즌에는 부서별 무대를 강화한 시리즈 공연을 다수 선보일 예정이다.전남도립국악단 관계자는 "비통한 참사의 희생자들을 함께 애도하는 마음으로 2주간 공연을 취소하게 됐다"며 "추모 무대를 급하게 준비하다보니 일부 무대만 올리게 됐지만, '보렴'과 '씻김굿' 공연을 통해 유가족과 희생자들이 조금이라도 위로받는 시간이 됐으면 좋겠다"고 전했다.관람료는 1만원이며 예매는 전남도립국악단 누리집 혹은 티켓링크를 통해 가능하다.최소원기자 ssoni@mdilbo.com
- · 푸른 뱀 기운으로 일어서는 새해
- · 1월의 시작을 '우리 소리'와 함께
- · 클래식의 새로운 물결이 파도친다
- · "함께 애도합니다"···참사에 경제·문화계도 동참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