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까지 광주신세계갤러리
도시와 격자구조 주제 신작

어딘지 모르게 도시를 연상케하는 작품을 통해 현대 사회의 다양한 면모를 생각해볼 수 있는 전시가 열리고 있다.
광주신세계갤러리는 조윤성 개인전 'URBAN GRID-COMPOSITION'을 지난달 31일 오픈, 19일까지 진행한다.
이번 전시는 현대사회의 시각적 환경을 대비 관계를 중심으로 재해석해 온 조윤성 작가가 새로운 연작을 선보이는 자리다. 전시 제목에서 알 수 있듯 현대인에게 새로운 자연이 된 도시환경의 근간을 이루는 격자구조를 주제로 삼고 화면 구성을 중심으로 풀어낸 신작이다.
그의 신작에서 중심이 되는 격자는 도시 계획과 건축물 설계 뿐만 아니라 디자인이나 컴퓨터 설계 등에서 기본이 되는 단위이자 창작자들이 활동하는 터전임과 동시에 제약이고 규칙이다. 이 격자구조는 그의 작품에서 동시대 시각문화를 대표하는 상징으로 화면에 자리한다.

여기에 그는 건축물에서 사용하는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 개념을 차용해 새로우면서도 친숙한 화면을 만들어냈다. 뿐만 아니라 작가는 캔버스 위 전통적 기법으로 그려진 작품, 스테인리스와 우레탄 안료 등 도시 구조물에 사용되는 재료를 활용한 작업, 디지털 이미지와 회화를 조합한 화면까지 다채로운 재료와 기법을 사용해 새로운 신작의 다양한 모습을 예고한다.

조윤성은 "내가 궁극적으로 만들고자 하는 '의미 있는 형식'을 함께 감각하고 이야기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조윤성은 현재 조선대 미술대학에서 회화학부 교수이자 학장으로 활동하며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개인전을 열고 단체전에 참여하는 등 활발한 작품 활동을 펼치고 있다.
김혜진기자 hj@mdilbo.com
-
어두운 현대 자화상 속 인간성 회복·화해 강조 '트랜스휴먼' 인간과 기계의 중간적 존재인 '트랜스휴먼'의 모습을 표현해온 기옥란 작가가 오는 20일까지 송정작은미술관의 초대로 전시회를 갖고 있다.작가가 천착하는 '트랜스휴먼'은 노화도 없고 아프지도 않으며, 영생을 추구하는 21세기 신인류의 바람과 맥이 닿아 있다. "오랫동안 철학 서적에 관심을 갖고 읽다 보니 트랜스휴먼의 의미가 신선하게 다가왔고 지난 2010년께부터 이를 주제로 한 작품을 시작했다"는 게 작가의 설명이다.그는 트랜스휴먼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DNA, Digital, Design, Divinity(신성, 영성) 등의 4D와 Feeling(느낌, 감성), Female(여성성), Fiction(상상력)을 포함한 3F의 세계관을 기반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조형세계를 구축해왔다.작가가 작품을 통해 강조하는 것은 '인간성 회복'이다. 그는 트랜스휴먼을 바탕으로 인간 본질을 재탐구하고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기후위기와 전쟁, 인종문제 등을 초월해 모두가 조화롭게 살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한다.인간과 공존하는 모든 것들과의 '화해' 역시 인간성 회복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핵심 메시지 중 하나다.작가는 인간과 인간 간의 화해는 물론 도시와 자연의 화해, 정신과 물질의 화해, 실제 세계와 가상세계의 만남 등을 통해 인간과 자연, 기술이 어떻게 서로 융합하고 조화롭게 살 수 있을까를 고민하고 이를 시각 언어로 형상화했다.'트랜스휴먼-에로스와 타나토스를 위한 변주곡'그는 직선과 곡선이 교차하는 리드미컬한 구성 속에서 비대칭적인 표현과 기호 등을 통해 끊임없이 진화하는 삶과 예술을 환기시키고 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현대사회의 '일그러진 자화상'은 중요한 작품 소재가 된다. 인종과 인종의 만남뿐만 아니라 우리가 어느 곳에 가든 이방인(노마드)이 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은 작품과 삶과 죽음을 소재로 한 '에로스와 타나토스를 위한 변주곡' 등이 눈길을 끄는 작품들이다. 또 인간의 에너지나 감성, 욕망 등이 어떻게 기술과 결합해 조화를 이루고 화해할 수 있는가를 고민한 작품도 만날 수 있다.그는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모든 것을 초월해서 조화롭게 살아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인간에게 무엇인가 위안과 위로를 주고 싶은 마음을 담았다"고 설명했다.기옥란 작가는 그동안 사진전을 포함해 70차례의 개인전을 가졌다. 현재 현대미술에뽀끄회, 이형회, 광주전남여성작가회, 그룹터, 침묵과 은유회 등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김만선기자 geosigi22@mdilbo.com
- · 개성있는 소재와 기법···3인3색 매력에 '풍덩'
- · '기술과 예술의 만남'···코드로 빚은 캔버스 세계
- · "동아시아 회화 세계에 알리자"···작품 설치 '분주'
- · 광주디자인비엔날레 D-5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