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3~5일 12개 팀 무대 선봬
브르노 필 하모닉 내한 공연과
시립예술단 특별공연·야외 무대
피날레에 인기 가수 김수영·김필

유명 가수부터 클래식·팝페라·발레 등 다양한 문화 예술 공연을 즐길 수 있는 무대가 펼쳐진다. 150년 역사의 브르노 필 하모닉의 내한 공연을 비롯해 김필, 김수영 등 인기 가수의 화려한 무대까지 마련돼 광주시민들이 가을을 보다 풍성하게 만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예술의전당은 내달 3일부터 5일까지 2024공연예술축제 '그라제'를 개최한다. 대극장, 소극장, 잔디광장 특설무대에서 클래식, 국악, 연극, 대중음악, 퍼포먼스 등 총 12개 팀이 공연을 펼친다.

올해로 6회를 맞이한 그라제 축제의 주제는 '오! 늘 소풍'이다. 일상의 틀에서 벗어나 그라제 축제의 시간을 소풍처럼 즐기고, 삶을 늘 소풍처럼 살아가자는 희망을 담고 있다.

이번 축제에서 특히 눈길을 끄는 무대는 축제 첫날인 3일 펼쳐지는 150여 년 역사의 브르노 필 하모닉 내한 공연이다. 수려한 음색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브르노 필 하모닉과 지휘자 데니스 러셀 데이비스, 라이징 스타에서 거듭나 세기의 연주자로 활약하고 있는 피아니스트 신창용이 만나 드보르작 교향곡 등을 선보인다.
또, 특유의 호소력 짙은 목소리와 섬세한 창법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가수들의 피날레 무대도 주목을 끈다.

5일 해가 저무는 잔디광장에서는 버블 매직쇼를 시작으로 축제의 피날레 무대가 열린다. 피날레 1부는 중저음의 감미로운 음색의 김수영, 2부는 독보적인 음색과 뛰어난 감성의 김필의 라이브 공연이 펼쳐진다. 김수영은 아이유의 5집 앨범 'LILAC'의 10번 트랙인 '에필로그'에 작곡, 편곡, 기타 연주로 참여했다. 김필은 독보적인 음색과 깊은 감정 표현을 통해 많은 청중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2014년 Mnet '슈퍼스타 K6'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이후 페스티벌, 콘서트, 영화·드라마 OST 참여 등을 통해 존재감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함께 시립예술단의 기량을 감상할 수 있는 자리도 마련돼 관람객들의 호응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3일 소극장에서는 광주시립극단의 출장 연극 시리즈 첫 번째 '오스카와 장미할머니'를 공연한다.

이어 이날 잔디광장에서는 그라제 축제의 인기 프로그램인 비눗방울 퍼포먼스 '버블타이거-버블 매직쇼'가 가을 저녁을 수놓는다. 잇따라 광주시립창극단 '판굿과 버꾸춤', 광주시립합창단 'All That Harmony', 광주시립발레단 '코펠리아 하이라이트'를 잔디광장 특설무대에서 선보인다.
이 밖에 4일 광주시립교향악단 특별연주회로 '야외음악회 with 그라제'가 잔디광장 특설무대에서 열린다. 김영언 광주시향 부지휘자의 지휘로 바이올리니스트 신지아, 팝페라 듀오 듀에토 백인기, 유슬기가 연주를 들려준다.

소극장에서는 감성과 실력을 겸비한 디에이드의 'Holiday'가 진행된다. 디에이드는 드라마 '연애의 발견' OST '묘해, 너와', '너무 보고싶어'를 연이어 성공시키며, 음원 강자라는 칭호를 얻는 동시에 꾸준한 음반으로 음악성을 인정받고 있다.
축제의 마지막 날 5일에는 하루 두 차례 '초등학생을 위한 실험실 콘서트'가 소극장에서 열린다. 같은 날 대극장에서는 전 세계를 폭소로 사로잡은 대한민국 넌버벌 퍼포먼스 '점프'가 공연한다. 화려한 마샬아츠·아크로바틱과 극적인 드라마의 재미를 더한 작품이다.

잔디광장 공연은 무료 관람이 가능하다. 단, 사전 예매를 통해 관객의 편의와 객석 운영의 효율성을 꾀한다. 자세한 공연 정보 및 티켓 예매는 광주예술의전당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최소원기자 ssoni@mdilbo.com
-
어두운 현대 자화상 속 인간성 회복·화해 강조 '트랜스휴먼' 인간과 기계의 중간적 존재인 '트랜스휴먼'의 모습을 표현해온 기옥란 작가가 오는 20일까지 송정작은미술관의 초대로 전시회를 갖고 있다.작가가 천착하는 '트랜스휴먼'은 노화도 없고 아프지도 않으며, 영생을 추구하는 21세기 신인류의 바람과 맥이 닿아 있다. "오랫동안 철학 서적에 관심을 갖고 읽다 보니 트랜스휴먼의 의미가 신선하게 다가왔고 지난 2010년께부터 이를 주제로 한 작품을 시작했다"는 게 작가의 설명이다.그는 트랜스휴먼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DNA, Digital, Design, Divinity(신성, 영성) 등의 4D와 Feeling(느낌, 감성), Female(여성성), Fiction(상상력)을 포함한 3F의 세계관을 기반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조형세계를 구축해왔다.작가가 작품을 통해 강조하는 것은 '인간성 회복'이다. 그는 트랜스휴먼을 바탕으로 인간 본질을 재탐구하고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기후위기와 전쟁, 인종문제 등을 초월해 모두가 조화롭게 살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한다.인간과 공존하는 모든 것들과의 '화해' 역시 인간성 회복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핵심 메시지 중 하나다.작가는 인간과 인간 간의 화해는 물론 도시와 자연의 화해, 정신과 물질의 화해, 실제 세계와 가상세계의 만남 등을 통해 인간과 자연, 기술이 어떻게 서로 융합하고 조화롭게 살 수 있을까를 고민하고 이를 시각 언어로 형상화했다.'트랜스휴먼-에로스와 타나토스를 위한 변주곡'그는 직선과 곡선이 교차하는 리드미컬한 구성 속에서 비대칭적인 표현과 기호 등을 통해 끊임없이 진화하는 삶과 예술을 환기시키고 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현대사회의 '일그러진 자화상'은 중요한 작품 소재가 된다. 인종과 인종의 만남뿐만 아니라 우리가 어느 곳에 가든 이방인(노마드)이 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은 작품과 삶과 죽음을 소재로 한 '에로스와 타나토스를 위한 변주곡' 등이 눈길을 끄는 작품들이다. 또 인간의 에너지나 감성, 욕망 등이 어떻게 기술과 결합해 조화를 이루고 화해할 수 있는가를 고민한 작품도 만날 수 있다.그는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모든 것을 초월해서 조화롭게 살아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인간에게 무엇인가 위안과 위로를 주고 싶은 마음을 담았다"고 설명했다.기옥란 작가는 그동안 사진전을 포함해 70차례의 개인전을 가졌다. 현재 현대미술에뽀끄회, 이형회, 광주전남여성작가회, 그룹터, 침묵과 은유회 등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김만선기자 geosigi22@mdilbo.com
- · 개성있는 소재와 기법···3인3색 매력에 '풍덩'
- · '기술과 예술의 만남'···코드로 빚은 캔버스 세계
- · "동아시아 회화 세계에 알리자"···작품 설치 '분주'
- · 광주디자인비엔날레 D-5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