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 보태주세요"···합천군민들, 광주서 전두환공원 명칭 변경 입법 촉구 서명운동

입력 2025.05.18. 16:43 박승환 기자
17~18일 이틀간 금남로 및 5·18 묘지서
"국회가 문제의식 갖고 입법 신경써야"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 생명의 숲 되찾기 합천군민운동본부가 일해공원 명칭 변경 촉구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대로는 폐기될 게 뻔합니다. 지긋지긋한 전두환 공원을 없애는데 광주시민들이 힘 좀 보태주세요."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전야제와 기념식을 맞아 광주에서 이른바 전두환 공원으로 불리는 경남 합천군 '일해(日海)공원'의 명칭 변경을 촉구하는 서명운동이 펼쳐졌다.

생명의 숲 되찾기 합천군민운동본부(이하 운동본부)는 제45주년 5·18 기념식이 열린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 민주의문 앞에서 일해공원 명칭 변경 촉구 서명운동을 전개했다.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 생명의 숲 되찾기 합천군민운동본부가 일해공원 명칭 변경 촉구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운동본부가 지난해 말 일해공원의 명칭을 변경해달라는 내용의 국회 국민동의청원을 올려 목표 청원 동의 수 2배 이상인 10만여명의 동의를 얻어 국회에 상정됐지만, 국회가 심도 있는 입법·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며 심사 기간을 올해 12월31일까지 연장했기 때문이다. 이날 서명운동에는 5·18기념재단도 힘을 보탰다.

운동본부는 "국민이 나섰다! 국회는 응답하라! 일해공원 폐지법안 지금 당장 발의하라!"라는 문구가 적힌 현수막과 "전두환이 자랑스럽습니까?", "국회는 법으로 답하라", "전두환법 미루지마라", "전두환법 국회책임" 등이 적힌 피켓을 들고 기념식장으로 입장하는 참석자들에게 전두환 공원을 없애기 위해 힘을 실어달라고 호소했다.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 생명의 숲 되찾기 합천군민운동본부가 일해공원 명칭 변경 촉구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서명운동은 기념식이 끝난 뒤에도 참배객들을 상대로 한동안 이어졌다. 참배객들도 전두환 공원이 왜 있냐며 서명에 힘을 보탰다.

운동본부와 5·18 재단은 제45주년 5·18 전야제가 열린 지난 17일 동구 금남로에서도 부스를 운영하며 일해공원 명칭 변경 촉구 서명운동을 벌였다.

고동의 운동본부 간사는 "국민청원이 목표 청원 동의 수를 넘었음에도 국회가 움직이지 않고 있다. 이런 식으로 폐기되는 청원이 대다수다"며 "광주 학살의 주범 전두환을 제대로 청산하지 못했기 때문에 윤석열의 12·3 내란이 발생했다. 전두환을 청산하지 않은 상태에서 5·18 정신을 헌법전문에 수록하자는 것은 어불성설이다"고 강조했다.

이창선 운동본부 위원장도 "전두환 청산이 완벽하게 이뤄지지 않으면 아픈 역사가 또다시 되풀이될 수 있다"며 "국회에서 전두환 공원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고 입법에 신경을 써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 윤남식 공법단체 5·18민주화운동공로자회장이 일해공원 명칭 변경 촉구 서명운동에 동참하고 있다.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전야제가 열린 지난 17일 생명의 숲 되찾기 합천군민운동본부가 광주 금남로에서 일해공원 명칭 변경 촉구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일해공원은 2004년 조성 당시 '새천년 생명의 숲'으로 이름이 붙여졌으나 2007년 합천군이 합천군 출신인 전두환의 아호 '일해'를 따서 이름을 일해공원으로 변경했다. 일해공원에 세워진 비석에는 '이 공원은 대한민국 제12대 전두환 대통령이 출생하신 자랑스러운 고장임을 후세에 영원히 기념하고자 대통령의 아호를 따서 일해공원으로 명명한다'는 표지석이 세워져 있다.

글·사진=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