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단체 반발에 민주의 문 앞에서 발길 돌려

대국민 공동선언식을 열고 화합의 행보를 걷고 있는 5·18 공법단체와 ㈔대한민국 특전사 동지회가 국립5·18민주묘지 2차 합동 참배에 나섰지만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의 반발에 막혔다.
특히 이날도 두 공법단체와 특전사 동지회는 공동선언식의 당위성만을 강조하고, 시민사회단체는 진정한 사죄와 그에 걸맞은 행보를 촉구하며 서로의 주장만을 반복해 오월을 둘러싼 갈등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공법단체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와 5·18민주화운동공로자회는 3일 오전 특전사 동지회와 함께 2차 합동 참배를 위해 광주 북구 운정동 5·18민주묘지를 찾았다.
이번 참배는 기습 참배라는 지적을 받았던 지난 2월 대국민 공동선언식 이후 105일 만의 합동 참배로 특전사 동지회 회원들은 군복이 아닌 사복을 입은 채 5·18민주묘지를 방문했다.
하지만 이날 참배는 시민사회단체들의 반발에 5·18민주묘지 민주의 문 앞에서 막혔다.
광주·전남 198개 시민사회단체가 모인 '오월정신 지키기 범시도민 대책위원회'가 민주의 문 앞에서 진을 치고 두 공법단체와 특전사 동지회의 민주의 문 통과를 가로막았기 때문이다.
대책위는 '기만적인 대국민 공동선언 즉각 폐기하라', '실체적 증언으로 진상 규명 협조하라'는 내용이 적힌 피켓을 손에 들고 "돌아가, 뒤로 가세요"라며 합동 참배를 막았다.
5·18 당시 첫 사망자였던 고(故) 김경철 열사의 어머니 임근단 여사도 임성록 특전사 동지회 고문의 손을 잡고 "참배를 할 수 있게 길을 열어달라"고 애원했으나 대책위는 끝내 막아섰다.
두 공법단체 일부 회원들은 충돌이 우려돼 사전에 배치된 경찰들과 마찰을 빚기도 했다.
김순 대책위 상황실장은 "참배는 인간에 대한 예의다. 시신조차 찾지 못한 유가족들도 아직 많다"며 "공동선언문 폐기와 진정한 사죄 없이는 특전사 동지회의 5·18민주묘지 참배를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했다.

이에 황일봉 부상자회장과 정성국 공로자회장은 "민주주의 산교육장인 5·18민주묘지 참배를 통해 진정한 사죄의 모습을 보여드리는 계기를 지속적으로 보여드리겠다는데 막아서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며 "대책위는 5·18과 전혀 관계없는 정치 집단이다. 앞으로 어떠한 대화도 하지 않고 무시하겠다"고 말했다.
결국 두 공법단체와 특전사 동지회는 이날 합동 참배를 하지 못하고 민주의 문 앞에서 발길을 돌렸다.
앞서 두 공법단체와 특전사 동지회는 광주 서구 쌍촌동 5·18기념문화센터 대동홀에서 '5·18 유족 어머니와 대한민국 특전사 동지회의 만남과 당부' 행사를 열었다.
행사에 앞서 5·18기념공원 내 추모승화공간에 모인 특전사 동지회 회원들은 4천296명의 유공자 명단을 확인하고 헌화·묵념했다.

임 여사의 당부의 말을 들은 뒤 특전사 동지회를 대표해 입장 발표에 나선 임 고문은 "1980년 5월 광주에서 선배들이 저질렀던 잘못에 후배들은 처절하게 사죄하고 있다. 따뜻하게 포용해달라"며 "광주에서 피흘려 이룩한 민주화가 전국화, 세계화되는데 가해자는 진정으로 반성해야 진정한 화해가 이뤄진다는 사실을 명심하겠다"고 밝혔다.
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오월지키기대책위, 오월 문제 해결 위한 공개토론회 제안 21일 오전 광주·전남 199개 시민사회단체가 모인 '오월정신 지키기 범시도민 대책위원회'가 광주 동구 전일빌딩245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오월 문제 해결을 위한 공개토론회를 제안하고 있다. 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광주·전남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5·18 공법단체와 특전사 동지회의 대국민 공동선언식 이후 촉발된 오월단체와의 갈등 해결을 위해 공개토론회를 제안했다.광주·전남 199개 시민사회단체가 모인 '오월정신 지키기 범시도민 대책위원회'는 21일 오전 광주 동구 전일빌딩245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대책위는 공개적인 장소에서 시민 참여를 전제로 오월이 현재 직면한 문제와 5·18 50주년을 비롯한 중·장기적 과제에 대한 광주공동체의 책임과 노력, 해법을 찾기 위해 공개토론회를 제안한다"고 밝혔다.이어 "지금까지는 5·18 공법단체와 특전사 동지회의 활동에 하나하나 대응하는 식이었다면 이제부터는 능동적으로 오월 문제 해결에 앞장서고자 한다"고 설명했다.대책위가 제안한 공개토론회의 원칙은 광주·전남 시·도민의 눈높이에서 현안을 바라보고 해결하는 것으로 구성은 광주시와 광주시의회, 5·18기념재단, 대책위 등 4자 토론회다.5·18 공법단체와 특전사 동지회는 지난달 12일 5·18기념재단이 제안해 열렸던 비공개 간담회 때처럼 갈등의 양상만 부각되면서 서로의 주장만 되풀이하다가 결과물을 도출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어 구성에서 배제했다.다만 대책위는 공개토론회 진행에 앞서 5·18 공법단체와 특전사 동지회에 '진정한 사죄의 조건' 등을 주된 내용으로 한 공개토론회를 별도로 제안했다.유봉식 대책위 상임대표는 "올해 불거진 오월 갈등은 크게는 대국민 공동선언식으로 촉발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동안 광주와 오월이 안고 있던 수많은 문제들이 터진 것이다"며 "당사자들끼리 사과하고 끝날 문제가 아니라 광주·전남 시·도민 전체가 '그만하면 됐다'라고 할때까지 5·18에 대한 진실을 규명하기 위한 고백과 같은 실질적인 노력이 있었어야 진정한 사죄였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이어 "광주·전남 시·도민의 눈높이에서 공개토론회를 열어 오월이 직면한 문제의 해결책을 찾는 데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 5·18 행사위, 제43주년 5·18기념행사 평가 설문 실시
- · "그날 진실 그림 통해 알리고 싶어 배웠죠"
- · 공연 통해 5·18사적지 활용 방안 찾는다
- · 특전사회 세 번째 오월영령 참배···"진정한 사죄부터" 일침도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