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탁스, 최대 36주간 AI 분야 교육·연구 비용 지원
글로벌 AI 인재 양성·협력…광주 AI 혁신 생태계 기대

전남대·조선대·호남대 등 광주 AI융합대학 학생들이 캐나다에서 AI분야 전문 교육과 연구를 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이하 AI 사업단)이 캐나다 국립 장학재단 '마이탁스'(Mitacs), 전남대·조선대·호남대 AI융합대학들과 업무협약(MOU)을 맺고, 마이탁스로부터 학생들이 최대 1만 2천달러의 AI 교육·연구 비용을 지원 받아 최대 36주간 캐나다에서 AI 분야 연구·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열어준 것이다.
AI사업단은 15일 광주 호남대학교 회의실에서 김준하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장, Mitacs Hyelim Juliana Kim Senior Advisor(혜림 줄리아나 김 '마이탁스' 선임고문), 임용우 주한퀘벡정부대표부 상무관, 한승회 전남대 교수, 유희수 조선대 교수, 이은경 호남대 교수 등이 참석한 가운데 'AI사업단·마이탁스·AI융합대학 국제 협력 네트워킹' 및 글로벌 인공지능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 (MOU)을 체결했다.
이번 행사는 김준하 AI사업단장이 지난 6월 캐나다 출장을 통해 퀘백주 정부 관계자들을 비롯해 캐나다 내 AI 핵심기관들과 관계를 구축한 것을 계기로 마이탁스(Mitacs·Mathmatics of Information Technology & Complex Systems)가 광주를 방문하게 되면서, 광주 AI융합대학들과 글로벌 AI 인재 교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구체적으로 마이탁스(Mitacs)의 '글로벌링크 연구 인턴십(Globalink Research Internship: GRI)'과 '글로벌링크 연구비 지원 (Globalink Research Award: GRA) 프로그램에 신청해 선정되는 학생들은 캐나다에서 AI 고급 연구 프로젝트를 최대 36주간 받을 수 있다. 학생들은 캐나다 현지 교수의 지도하에 AI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되며, 한 프로젝트 당 최대 5명의 학생들을 지원할 수 있다.
마이탁스(Mitacs)는 캐나다 비영리 국립 장학재단으로 캐나다 학계, 민간 산업 및 정부와 협업을 통해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기관이다. 벤쿠버, 토론토, 몬트리올, 오타와 4개 허브 기관으로, 캐나다 117개 대학교 제휴, 7000여 개의 파트너, 5만건 이상의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서는 전남대(에너지), 조선대 (헬스케어), 호남대(자동차) 등 광주 AI융합대학들과 함께 국내 AI 기업 및 인재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고 공동 연구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
AI융합대학은 광주지역 특화 산업인 에너지, 헬스케어, 자동차 3개 분야와 인공지능 원천기술 1개 분야의 기업 수요를 중심으로 대학 내 해당 분야와 인공지능 융합 전공과정 등을 운영하고, 다양한 기업 참여 프로젝트를 통해 현장 투입이 가능한 AI 융합 실무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사업이다.
앞서 김준하 AI사업단장은 지난 6월 캐나다 출장을 통해 퀘백주 정부 관계자들을 비롯해, 캐나다 최대 규모 스타트업 커뮤니티 네트워크인 마스 디스커버리 디스트릭트(MaRS Discovery District), 토론토 메로트폴리탄 대학교, 몬트리올 알고리즘 러닝연구소(MILA) 등 캐나다 내 AI 핵심기관들과 관계를 구축했다. 이후 후속 조치로 세계 최대 딥러닝 분야 연구기관으로 꼽히는 캐나다 몬트리올 알고리즘 러닝연구소인 '밀라'(MILA·Montreal Institute for Learning Algorithms)가 지난 9월 광주를 찾아 AI사업단과 AI산업 활성화를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했으며, 내년 초 AI기업의 캐나다 진출을 도울 계획이다.
김준하 AI사업단장은 "캐나다 국립 장학재단 '마이탁스'의 GRA·GRI 프로그램을 통해 광주지역 AI융합대학생들이 캐나다에서 AI분야를 교육하고 연구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리게 된 것이다"며 "캐나다의 AI 분야 교육 교류 협력을 통해 유망한 AI 전문 인력이 배출되고, AI 산업 분야에 포진되어 광주 AI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데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박석호기자 haitai2000@mdilbo.com
-
제적대상 된 전남대 의대생들 "복학해도 되나요?" 비어있는 대학 강의실 모습. 전남대학교가 미복귀 의대생들을 대상으로 제적 절차를 강행하자 휴학생들이 뒤늦게 복학 문의를 대학측에 한 것으로 확인됐다.전남대는 미복귀한 의대생을 대상으로 제적대상자 통지에 들어간 이후 최근들어 복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고 26일 밝혔다.전남대는 최종적으로 복귀하지 않는 학생에게 원칙대로 학칙을 적용해 제적 처분할 방침이다고 지난 24일 안내문을 통해 공표했다.안내문에는 21일자로 휴학원이 반려됐다는 것과 기한까지 복학하지 않으면 제적 대상자로 구분 된다는 내용이 담겼다.학기초 전남대에 돌아온 학생은 30명에 그쳤다. 지난주까지 휴학계를 낸 학생은 697명이다. 전남대가 제시한 24일까지 돌아온 학생도 극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대로라면 기한까지 복학의사를 밝히지 않은 의대생은 모두 제적된다.전남대는 문의한 학생들에게 복학 신청서를 일단 제출해보라고 안내했다. 복학 여부를 한번 더 고민해보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전남대 관계자는 "복학 신청서를 받아주는 것은 복학을 허락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추후 학생들 복학을 승인할지는 다각도로 검토하고 결정할 방침이다"고 밝혔다.한편 전남대는 4월10일 내외로 제적 문제를 매듭지을 예정이다.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 이근배 전남대 총장 "시대가 요구하는 글로컬 명문대학으로"
- · 전남대, 미복귀 의대생 제적 처리 들어간다
- · 5·18 왜곡 도서, 광주12개 학교에 26권 배치
- · 서영대, 글로벌 인재 유치 위해 중국 교육기관 방문단 맞이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