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문자, 예술이 되다’ 전시
강의·꾸란 영인본 전시·체험도

아랍의 캘리그라피 문화를 만날 수 있는 이색 전시가 관람객들을 기다린다.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은 아시아문화박물관 특별전시 '아랍문자, 예술이 되다'를 오는 22일부터 11월 24일까지 아시아문화박물관 기획전시실 2관에서 개최한다.
개막일인 22일에는 이번 전시 협력기관인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윤용수 교수가 아랍 캘리그라피의 이해를 돕기 위한 강의를 진행한다. 이날 전문가의 캘리그라피 시연과 함께 아랍어 캘리그라피로 이름을 적어주는 행사도 함께 열린다.
전시에서는 지난 2021년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으로 등재될 만큼 그 역사성과 의미를 인정받은 아랍 캘리그라피의 다양한 서체를 14세기 제작된 국립세계문자박물관 소장 꾸란의 영인본을 통해 직접 살펴본다.
이번 전시는 지난해 진행된 '살람, 히잡' 전시에 이어 서아시아 문화권을 이해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시는 ▲1부 캘리그라피로 다시 태어난 아랍문자 ▲2부 서체와 도구로 살펴보는 캘리그라피 ▲3부 일상 속에 빛나는 예술, 캘리그라피로 구성됐다.
특히 튀니지 출신 프랑스 작가 엘시드(eL Seed)의 '당신의 마음을 여세요(Open your mind)'라는 작품도 공개된다. 작가는 작품을 통해 열린 마음으로 아랍문화와 캘리그라피 작품을 바라봐 달라는 의도를 전달한다.
전시 관람 후에는 아랍어를 직접 따라 써보고, 아랍 캘리그라피 도장을 찍어보는 체험공간도 마련했다.
한편 아랍문화권에는 '아랍문자 캘리그라피는 바그다드에서 태어나 페르시아에서 성장했고, 이스탄불에서 꽃을 피웠다'는 말이 있다. 이처럼 아랍문자 캘리그라피는 아랍어를 사용하는 아랍 문화권과 아랍문자와 유사한 문자를 사용하는 페르시아어 문화권, 과거 아랍문자를 사용했던 튀르키예 문화권 등 이슬람교를 믿고 있는 지역(이슬람권)을 관통하는 예술장르의 하나로 여겨지며 다양한 지역에서 성장했다.
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2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장에 김상욱 기획운영관 김상욱 신임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장. 사진은 지난 3일 이이남의 산수극장 기자간담회. 2개월 간 공석이던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장에 김상욱 전당장 직무대리가 임명됐다.21일 문화체육관광부는 일반직고위공무원(일반임기제) 인사발령을 통해 김상욱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기획운영관을 2대 전당장으로 임명했다.김상욱 신임 전당장은 지난 2023년 8월부터 기획운영관을 역임했으며, 이강현 초대 전당장의 임기가 만료된 후 지난 2월14일부터 직무대리 역할을 수행해 왔다.임기는 4월21일부터 오는 2028년 4월20일까지 3년이다.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 · 예술 통한 '경계 넘기'···'우리의 몸에는 타인이 깃든다'
- · '일상을 예술로'···'어반스케치' 매력에 반하다
- · 고향의 산수, 미디어아트로 피어나다
- · 아시아문화전당이 트로트에 빠진 날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