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부터 디지털 스테이지
아시아 스크린댄스 사전 행사

아름답고 화려한 아시아의 전통 춤을 온라인에서도 만나볼 수 있게 됐다.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과 예술의전당(SAC)이 다음달 30일까지 SAC 공연 영상 플랫폼 '디지털 스테이지(digital.sac.or.kr)'를 통해 아시아의 춤을 소개하기로 했다.

이번 행사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두 복합문화예술기관의 전문성을 살려 아시아 문화예술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문화예술 콘텐츠 체험의 폭을 넓히고자 기획됐다.
이번 협업 사례는 ACC의 국제협력 네트워크와 예술의전당의 온라인 플랫폼이라는 각 기관의 강점을 활용한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두 기관의 협업으로 ACC는 '디지털 스테이지'를 통해 지난해 많은 사랑을 받았던 6개국 7편의 '아시아 스크린댄스' 특별 영상을 공개한다. 이는 오는 10월 4~6일 ACC 일원에서 개최되는 '2024 아시아 스크린댄스' 본 행사에 앞선 사전 행사다.

상영작은 ▲싱가포르 발레인 날기(Soar·翔) ▲말레이시아 궁정무용인 가믈란 댄스 (Gamelan Dance·Joget Gamelan)와 현대무용인 코퍼스(Corpus·Korpus) ▲스리랑카 건국 설화인 비자야 왕자의 도착(Arrival of Prince Vijaya·Vijayavatharanaya) ▲인도네시아 현대무용인 새로운 삶(Brand New Life·Hidoep Baroe) ▲미얀마 전통 민속춤(Myanmar Traditional Folk Dance) ▲캄보디아 전통춤과 현대무용의 접목인 쌀(Rice·Srov) 등이다.

ACC는 아시아 공동의 노력과 연대로 아시아의 다양한 무용을 보호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지난 2011년 아시아 무용커뮤니티를 조직했다. 해당 커뮤니티는 아시아 전역에서 볼 수 있는 한국의 전통 '두레'와 같은 상호부조와 협동 공동체로 현재 동남아시아 10개국 남아시아 3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디지털 스테이지'는 예술의전당이 지난해 12월부터 서비스를 개시한 공연 영상 전문 플랫폼으로 등록 회원 수 5만5천명을 기록하며 순항 중이다. 세계적인 연주자인 조성진과 임윤찬의 공연 실황을 단독으로 만나볼 수 있다.

또 연극 '오셀로'와 발레 '지젤' 등 이야기가 있는 콘텐츠로도 꾸준히 사랑받고 있으며, 실시간 라이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해 수준 높은 공연을 선보이고 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이강현 전당장은 "SAC의 디지털 스테이지를 통해 아시아 춤이 전국의 관객과 다시 만날 수 있게 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 더 많은 사람이 아시아 춤과 음악의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아시아 스크린댄스는 그동안 접하기 힘들었던 동시대 아시아 전역의 무용을 감상할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2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장에 김상욱 기획운영관 김상욱 신임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장. 사진은 지난 4월3일 이이남의 산수극장 기자간담회. 2개월 간 공석이던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장에 김상욱 전당장 직무대리가 임명됐다.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18일 일반직고위공무원(일반임기제) 인사발령을 통해 김상욱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기획운영관을 2대 전당장으로 임명했다.김상욱 신임 전당장은 지난 2023년 8월부터 기획운영관을 역임했으며, 이강현 초대 전당장의 임기가 만료된 후 지난 2월14일부터 직무대리 역할을 수행해 왔다.임기는 4월21일부터 오는 2028년 4월 20일까지 3년이다.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 · 예술 통한 '경계 넘기'···'우리의 몸에는 타인이 깃든다'
- · '일상을 예술로'···'어반스케치' 매력에 반하다
- · 고향의 산수, 미디어아트로 피어나다
- · 아시아문화전당이 트로트에 빠진 날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