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 경험 지닌 작가들 통해
도예 양식사 접근 방법 탈피
현대 도예 새롭게 해석 소개
신작·퍼포먼스 영상 곁들여

만화 캐릭터부터 호랑이, 토끼 등 동물까지 우리에게 친숙한 그림이 새겨진 이색 도자기들의 전시회가 마련됐다. 특히 전시에 참여한 작가들은 모두 이민, 입양 등으로 인한 이주자들로 그들만의 감성으로 풀어낸 작품들이 관람객들에게 울림을 준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하 ACC)이 오는 7월 28일까지 문화창조원 복합전시 6관에서 현대 도예 전시 '길 위에 도자'를 선보인다.
지난 18일 개막한 이번 전시는 설치와 미디어 매체 전시를 주로 선보이는 ACC에서 진행하는 첫 도예 전시로 아시아에서 이주한 도예의 전개 양상을 현대 미술로 새롭게 해석해 소개한다.
ACC가 아시아를 주제로 다양한 담론 활성화를 위해 기획한 '아시아 네트워크' 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전시는 이주의 경험을 가진 작가들을 통해 아시아 외부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현대 도자를 조명한다.
전시는 '스티븐 영 리(한국계 미국)', '린다 응우옌 로페즈(베트남-멕시코계 미국)', '세 오(한국계 미국)', '에이미 리 샌포드(캄보디아계 미국)' 등 4인이 참여한다. 참여 작가는 이민 2세대 혹은 입양과 같은 개인의 이주 서사에서 비롯한 문화적 충돌과 정체성 탐구맥락에서 자신의 서사를 도자에 담아낸다. 도예의 양식사적 접근이 아닌 인류의 역사와 흘러온 이주 현상을 통해 현대 도예를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본다.
특히 스티븐 영 리, 린다 응우옌 로페즈, 세 오 작가는 이번 전시를 위해 미국을 떠나 조선대학교 미술대학에서 일부 작품을 창·제작했다.
스티븐 영 리(Steven Young Lee) 작가는 부모님이 한국인으로 이민 2세대 도예 작가다. 미국의 명망 있는 도예 기관인 아치 브레이 도자재단(Archie Bray Foundation)의 아트 디렉터를 16년간 역임했다. 작가는 도자의 기형을 깨트려 완벽한 균형미를 최고로 여기는 도자의 전통적인 관습에 도전하는 작업을 한국의 전통 도자 형태를 기반으로 다양한 문화권의 문양을 사용해 드러낸다. 이번 전시에서는 광주에서 제작한 3점과 미국에서 제작한 4점을 더해 총 7점의 신작을 선보인다. 작품 중에는 '마징가Z아프로디테A무늬 항아리', '밖, 호랑이처럼', '안, 토끼처럼' 등 작가가 성장 과정에서 봐왔던 캐릭터들을 도자와 접목해 신선함을 준다.
린다 응우옌 로페즈(Linda Nguyen Lopez) 작가는 유년시절 부모님의 이민배경에서 오는 언어적 어려움을 계기로 일상의 매우 사소하고 주변적인 사물들에 관심을 가지고 대걸레나 먼지 등을 의인화한 도자 조각들을 제작해 오고 있다. 광주에서 창작한 3점의 '털복숭이 먼지' 시리즈와 관람객들이 직접 앉을 수 있는 의자형 도자 조각 4점 등 총 7점의 신작이 관람객을 맞는다.
세 오(Se Oh) 작가는 주로 자연의 형태에서 모티프를 차용하고 재료적으로는 한국의 고려청자 유약을 사용해 자신의 정체성에 관한 주제를 도자에 녹여낸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신작 '정(精)원'을 포함해 다수의 작품이 광주의 식물에서 영감을 받아 한국의 흙을 사용해 창작됐다.
에이미 리 샌포드(Amy Lee Sanford)는 사회가 개인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도예로 표현하는 작가다. 이번 전시에서는 작가의 도자 관련 퍼포먼스 영상과 작품을 관람할 수 있다.
이강현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장은 "해외 유명 도예 작가가 도자의 고장인 한국을 찾아 한국의 흙을 경험하고, 또 이를 사용해 도자를 빚어낸다는 점이 매우 뜻깊다"면서 "'길 위에 도자'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이 이주 예술가를 이해하고, 현대 도예의 경험을 넓혀가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
판소리와 미디어아트의 결합 '두 개의 눈' ACC 대표 레퍼토리 공연 '두 개의 눈'.ACC 제공 판소리 심청가와 현대적인 시각 미디어 기술이 만나 관객들에게 이색적인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하 ACC)은 오는 21~22일 예술극장에서 ACC 대표 레퍼토리 공연 '두 개의 눈'을 선보인다.'두개의 눈'은 판소리 다섯 마당 중 하나인 '심청가'를 기반으로 하며, 심청이 아닌 아버지 심학규의 시선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눈먼 심학규가 세상을 어떻게 경험하고 받아들이는지를 중심으로 '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의미를 탐구한다.'두개의 눈'은 지난 2018~2020년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기술연구개발지원사업을 통해 개발됐으며 2021년 ACC에서 초연을 올렸다.2021년 국립극장 여우락(樂)페스티벌, 2021년 국립무형유산원 K-무형유산페스티벌, 2024년 키르기스스탄 건국 100주년 기념 초청공연 등에서 무대에 올라,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인정받는 ACC 대표 콘텐츠다.ACC 대표 레퍼토리 공연 '두 개의 눈'.ACC 제공이번 공연에서는 ACC 개관 10주년을 맞아 더욱 발전된 형태의 무대를 선보인다. 미디어 기술을 활용해 심학규가 경험하는 세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기존의 전통 판소리 형식을 한층 확장한다.가로 12m, 세로 22m 크기의 대형 LED스크린과 키네틱 레이저가 조화를 이룬 무대연출은 배우들의 입체적인 연출을 가능하게 하며 드라마의 극적인 몰입을 유도한다. 또 전통 마당놀이 형식을 현대적으로 변형해 무대와 관객 사이의 경계를 허물고 실시간 상호작용 기술을 도입해 관객이 공연의 일부가 되는 이색 경험을 제공한다.이를 위해 미디어아트와 음악을 결합해 실험적인 무대를 선보이는 '무토(MUTO)', 전통 판소리의 표현 방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입과손스튜디오'가 공동 연출을 맡아 전통 판소리의 서사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 요소를 가미해 더욱 감각적인 무대를 구현한다.김상욱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장 직무대리는 "ACC 개관 10주년을 맞아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는 공연을 올리게 돼 매우 뜻깊다"며 "이번 공연을 통해 전통 판소리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 관객들과 더욱 긴밀하게 소통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한편 '두 개의 눈'은 지난달 25일 시작된 1차 티켓 예매는 매진됐으며 현재 2차 티켓 판매가 진행 중이다. 관람료는 전석 2만원이며, ACC 누리집과 전화로 예매 가능하다. 공연 시간은 70분, 7세 이상 관람이다.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 · 올해 ACC 문화교육 '한눈에'
- · 떠오르는 문화예술 직업, ACC서 만나자
- · ACC 아시아문화박물관, 중앙아시아실 새로 들어선다
- · '수장 공백' ACC···빠른 임명 보다 전문성 중요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