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7~8일 광주예당 대극장
황석영 원작 각색해 창극으로
주연 더블캐스팅…색다른 재미
구수한 판소리에 농익은 연기도
연출가 "다양한 양식 결합 주목"
'사람이 바로 하늘이요, 하늘이 바로 사람이다.'
광주시립창극단(이하 '시립창극단')이 내달 7일부터 이틀간 선보일 제61회 정기공연 '여울물 소리'를 앞두고 본격적인 연습에 들어갔다. '여울물 소리'는 '장길산', '삼포 가는 길' 등을 펴낸 황석영 작가의 동명의 소설을 창극으로 각색한 작품이다. 객주를 운영하는 '정연옥'과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하기 위해 떠난 그의 애인 '이신통'의 이야기를 담았다. 총감독과 지휘는 박승희 시립창극단 예술감독(직무대행)이, 각색·작곡·연출에는 황 작가의 아들로 알려진 황호준 작곡가가 참여했다.

이번 공연에서 특히 눈길을 끄는 점은 다양한 장르가 한 데 어우러져 보는 즐거움이 더해진 것이다. 아니리 중심의 대사로 판소리 호흡을 가져가되, 언어와 억양 등의 측면에서는 연극적 방식을 채택해 관객의 몰입도를 높였다.
황호준 작곡가는 기획 과정에 대해 "이번 공연에서는 창극 양식만 통합하고, 다양한 실험적인 시도를 해보기로 했다"며 "기존 판소리 바탕 위에서 진행되지만, 판소리뿐만 아니라 연극적 방식도 다수 차용해 인물 개개인의 감정선에 관객들이 집중할 수 있도록 연출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뛰어난 연기력 뿐만 아니라 춤도 결합돼 오페라와 뮤지컬 같은 요소도 있다"며 "수많은 장르와 양식이 각각의 장면과 서사에 적절히 기능하도록 배치해 관객들이 단절된 어색함을 느끼지 못하도록 신경 썼다"고 말했다.

주인공들의 서사도 주목된다. 동학혁명에 참여한 신통은 조선시대 예인으로, 만능 엔터테이너 역할을 소화한다. 신통 역을 맡은 정승기 단원은 "다재다능한 신통은 자칫 가벼워 보일 수도 있지만, 광대 같은 모습과 동시에 사랑꾼 적인 면모도 함께 엿볼 수 있을 것"이라며 "두 모습을 각각 자연스럽게 연기해야 돼서 어려웠다"는 소감을 전했다. 사랑하는 남편 신통의 흔적을 따라 쫓아가는 여인 연옥 역의 이서희 단원은 "남편의 업적을 기리며 다양한 것을 깨닫는 과정이 담겨있는데, 장면마다 드러나는 감정들을 잘 녹여내는 게 고민이었다"고 답했다.

'여울물 소리'는 황석영 작가의 등단 50주년 기념작으로, 원작 소설과 각색된 극의 차이점을 찾아가는 것도 또 다른 재미로 기대된다. 황호준 작곡가는 각색 작업에 대해 "문자로 된 양식을 극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개인이 가진 내면세계나 장황하게 펼쳐진 배경 등을 일반적 방식으로 각색했다"며 "아버지께서 중요하다 생각하시는 것들은 살려두고, 시·공간의 제약이 있다 보니 여러 인물을 한 명으로 통합하거나 에피소드 몇 개를 들어내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틀간 펼쳐지는 이번 공연은 각각 첫날 시립창극단 상임단원 페어, 이튿날 비상임단원 페어로 구성돼 서로 다른 매력을 느낄 수 있다.
단원들은 각자의 공연에 대한 매력 포인트를 어필하기도 했다. 첫날 주연을 맡은 정승기·이서희 단원은 "선배로서 강단 있고 단단한 모습이 돋보이는 연기를 준비하고 내재된 정서들을 더욱 세심하게 표현했다"고 강조했다. 이튿날 주연을 맡은 박준현·고혜수 단원은 "저희 공연은 더 풋풋하고 날 것의 조합이 돋보여 새로운 재미를 얻어 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승희 감독은 "더블 캐스팅을 하면서 완성도에 주력했으니 시민들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시립창극단의 '여울물 소리'는 내달 7일부터 8일 오후 7시 30분 광주예술의전당 대극장에서 진행된다. 12세 이상 관람가며, 티켓은 R석 3만원, S석 2만원, A석 1만원으로 예매는 광주예술의전당 누리집 또는 티켓링크에서 가능하다.
최소원기자 ssoni@mdilbo.com
영상=안태균 기자 gyun@mdilbo.com
-
사진과 기술 조화가 빚어낸 회화적 감성 '대명매-1'. 조영신 사진작가 작업의 특징은 사진과 기술의 결합에 있다.작가는 자신이 포착한 앵글에 수채화와 유화 질감을 곁들인 회화적 이미지를 곁들여 새로운 느낌을 선사한다. 하늘과 나무, 숲길 등 자연을 소재로 한 작품들은 얼핏 보면 사진보다 한 폭의 아름다운 회화로 보인다. 사진의 사실감과 회화의 미적 요소가 조화를 이뤄 색다른 감성을 자아낸다.작가가 사진작가 활동을 시작한 것은 10여 년 전부터다. 어느 날 우연히 한 사진작가의 작품을 본 것이 계기가 돼 카메라를 손에 잡기 시작했다. 처음 연꽃을 촬영했을 때 느꼈던 설레임은 창작열을 더욱 자극했다.작가는 세계 각국을 두루 돌아다니며 발품을 팔았고 그곳에서 만난 소중한 순간들을 카메라에 담았다. 우리나라에서는 시시각각 변하는 사계의 모습을 사진으로 담아내며 아름다움을 체감하기도 했다.작가가 컴퓨터를 활용한 이미지 보정에 숙달한 것은 새로운 작업 세계에 눈뜨는 전환점이 됐다. 작품의 주요 인물이나 사물을 중심에 두고 주변은 미적 요소에 초점을 둠으로써 관람객들에게 서양화나 수채화와 같은 느낌을 강조할 수 있게 된 것이다.작가는 한 작품을 위해 며칠 밤낮을 새기도 했지만 완성작을 보면 창작에 대한 열정이 더욱 불타올랐다.'매화 시-2'.'지구(Earth)'를 주제로 한 이번 전시회는 작가가 10년간 공들인 작업을 선보이는 첫 자리다. 3월 폭설 속에 꽃망울을 머금은 매화의 모습을 담은 '대명매', 네팔 화장터 다리 위에서 만난 남성들의 강렬한 시선을 포착한 '인물' 등 40여 점을 선보인다. 전남대 본관에 있는 대명매의 겨울과 봄 풍경을 담은 두 작품은 시련을 견디고 희망을 꽃피우는 의미를 담아 전남대병원에 기증한다. 12일부터 18일까지 무등갤러리.조 작가는 "기술과 예술이 만나는 지점에서 자연과 인간, 일상 속 찰나의 시간 이야기가 관람객 마음에 잠시라도 머물렀으면 좋겠다"고 말했다.대한민국 사진대전과 광주미술협회 공모전 등에서 특선 등을 수상했으며 광주 무등사진동우회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김만선기자 geosigi22@mdilbo.com
- · 오페라로 그려낸 5·18, 거리서 시민과 만나다
- · 오월창작가요제 대상, 예람 '거리를 행진하는 소리'
- · 광주문화재단 '전시공간지원사업' 첫 전시회
- · 일상의 존재로 전하는 따스한 위로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