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등일보의 명사 칼럼인 '아침시평' 필진이 오늘부터 새롭게 바뀝니다.
각 분야에서 최고의 명성을 쌓아온 10명의 전문가들이 매주 월요일 한차례 깊이있는 전문 지식과 통찰로 각종 현안에 대해 명쾌한 해법을 제시할 것입니다.
아침시평 필진으로는 지난 1년 동안 지역과 국내외 여러 현안에 대한 올바른 길을 제시해준 구길용 뉴시스 광주전남본부대표, 김기태 전 호남대 교수를 비롯해 김병인 전남대 사학과 교수, 김항 연세대 문화인류학과 교수, 이광이 작가, 이욱연 서강대 인문대학장, 임혜지 재독 건축사학자, 조경완 역사와 언론연구소장, 하상복 목포대 정치언론학과 교수, 한선화 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원장이 새롭게 합류합니다.
이번에 합류하는 필진들은 전문가의 눈으로 지역사회의 각종 이슈와 정책에 대해 비판과 대안을 제시할 것입니다.
특히 탄핵 정국에 이은 조기 대선 가능성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정치적 혼란을 극복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정치권과 사회 각계각층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것입니다.
따뜻한 통찰과 새로운 메시지로 깊은 울림을 줄 '아침시평'에 독자 여러분의 변함없는 성원과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
[알림] '지방자치 인명록' 편찬 광주·전남 대표 정론지 무등일보가 올해로 풀뿌리 민주주의인 지방의회 34년과 지방자치 30년을 맞아 지역 최초로 지방자치 인명록을 집대성하는 편찬 작업을 진행합니다.지방자치의 역사는 지난 1952년 4월과 5월 사이에 전국에서 첫 지방의회를 구성한 것에서 시작합니다. 웅대한 출발에도 1961년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 군사정권은 지방의회를 강제 해산시키면서 9년만에 중단되는 굴곡을 겪었습니다. 그러다 1987년 전두환 군사정권의 호헌 선포에 반발한 국민들의 타오르는 분노는 대통령 직선제와 지방자치 부활을 받아냈습니다. 1991년 전국에서 시·군·구 기초의회와 광역의회가 30년만에 다시 출범한 지 올해로 34년을 맞습니다. 4년후 1995년 지방자치단체장을 주민의 손으로 뽑는 선거로 남은 지방자치의 퍼즐을 완성했습니다.지역마다 의정사의 사연은 다릅니다. 1952년 초대 의회를 개원한 전남도의회와 목포시의회는 현재 12대 의회가 활동하고 있습니다. 순천시의회는 1952년 초대 개원 이후 순천시와 승주군 등 통합으로 현재 9대 의회를 맞고 있습니다. 여수시의회는 여천시·군과 통합으로 8대째 이음줄을 이어오고 있습니다.4년 늦게 시작된 지방자치단체도 시행한 지 30년의 세월이 흘렀음에도 중앙정부 권한의 지방 이양은 허울뿐이고 중앙 의존적 세입 구조 등 말로만 재정분권으로 초라한 지방자치의 현주소를 보여줍니다. 특히 한 세대를 넘는 지방자치의 연륜에도 각 자지단체와 의회에서는 관련 사진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통합 관리는 부실한 실정입니다.무등일보는 언론의 공적인 역할의 일환으로'광주·전남 지방자치 인명록' 발간을 통해 지방분권과 지방자치의 중요성을 되새기면서 광주·전남 29개 광역·기초 지방의회를 비롯해 민선 자치단체장, 교육감 등의 자료와 정보를 통틀어 수록할 예정입니다. 광역·기초의회 발자취와 의정활동 상황, 역대 의원들의 얼굴 사진 수록과 의정사를 담아내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또한 지방자치단체 연혁과 민선 역대 단체장 인물 사진과 문서 자료 등을 망라할 계획이어서 해당 지역 민선 30년의 발자취를 시각적으로도 이해하기에 도움을 줄 것입니다. 인명록에는 역대 민선 광주시교육감과 전남도교육감의 얼굴 사진과 주요 정책 등도 수록됩니다. 올해 상반기 완료될 인명록은 단체장과 교육감, 광역의회 의원, 기초의회 의원까지 총망라해 1세트(3권)로 구성됩니다.발간된 지방자치 인명록은 국회도서관을 비롯해 국가기록원,광주광역시청과 전라남도청, 시·도 광역의회, 일선 시·군·구 기초의회 등에 배부해 광주·전남 풀뿌리 민주주의 역사를 공공기관 어디서든지 열람 가능하고, 관련 분야 학자나 학생, 의정 활동 연구자들이 참고 자료로도 활용 가능할 것입니다.무등일보는 지방자치 인명록 홈페이지 개설을 통해 매 선거마다 당선인 자료와 지방자치 현황, 의회 활동 상황을 업데이트해 풀뿌리 민주주의 실천 현장인 광주·전남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의회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예정입니다.광주·전남 각 자치단체와 시·도교육청, 지방의회의 적극적인 지원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 [알림] 고향사랑기부제 시즌3
- · [알림] 제37회 무등기 전국배구대회
- · [알림] 제14기 무등 CEO 아카데미 모집
- · [무등일보 1만호] 디뎌온 길도 디뎌갈 길도 헛되지 않게···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