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프롤로그
줄어든 수입에 소비도 급감해
지역 기반산업 건설산업 심각
높은 금리 내집마련도 어려워
자영업자 최악…거리마다 '임대'
"지역제품, 지역에서 소비하자"
국내외적인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지역경제에 먹구름이 드리워지고 있다.
최근 계속된 글로벌 경기침체에 기업들의 수출이 감소하자 생산도 줄어들고 있으며 이로인해 주머니가 가벼워진 서민들이 지갑을 닫으면서 소비도 급감하는 등 악순환의 고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 2·4분기 호남권 지역 경제동향'에 따르면 광주의 경우 대다수의 경제지표가 하향선을 그리며 전국 평균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전국적으로는 전년 동기 대비 수출이 9.9% 늘어났다고 하지만 광주는 반대로 6.7% 감소했다.
고용률만 전국 평균인 0.1% 보다 높은 1.2%를 기록했을 뿐 소비자물가도, 생활물가도 모두 전국 평균을 웃도는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지역의 대표적인 기반산업인 건설산업은 심각한 수준이다.
건축·토목공사 수주가 대폭 줄어들면서 전년 동기 대비 무려 77.1% 가 급감했다.
이같은 각종 지표는 7월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대형소매점 판매가 감소하면서 소비도 전년 대비 3.8%줄어든데 이어 은행권 저축은 늘어나고 대출은 줄어드는 전형적인 불경기 양상을 보이고 있다. 현재 정부가 급격히 늘어난 가계대출 억제를 위해 DSR규제를 한층 강화하고 있는 것과 정반대의 현상을 보이고 있는 셈이다.
상당수의 가계대출이 주택담보대출, 즉 내집 마련을 위한 목돈으로 활용된다는 점에서 부동산 경기가 살아나고 있는 서울·수도권과 달리 부동산 경기도 회복되지 않고 있다.
이러다보니 광주 지역 곳곳에 멈춰선 공사장들이 늘어나고 있다. 공사가 진행되는 곳도 지역업체가 아닌 외부 업체, 1군 브랜드 아파트만 들어설 뿐, 지역 건설업체의 이름을 단 공사현장을 찾기가 쉽지 않은 최악의 상황이다.
새로운 집으로 이사를 하려고 해도 기존 주택이 팔리지 않는 현상들이 거의 일상화되면서 자연스럽게 순환돼야 주택시장도 출구를 찾지 못한채 막혀 있기만 하다.
소상공인, 자영업자들도 마찬가지다.
자연스럽게 돈이 흐르고 소비가 이어져는 선순환이 아닌 곳곳에서 자금의 흐름이 막힌데다 서민들도 지출을 줄이며 허리띠를 졸라매는 시기가 길어지면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역의 대표상권인 전남대 후문 상가 절반 가량이 공실로 남아 있는 등 지역 곳곳에서 '임대'라고 써진 현수막이나 딱지가 붙은 빈 상가가 늘어나고 있다.
'항상 어려운 경제'라는 말을 달고 살았다지만 '각종 경제 지표'에서도 여실히 드러날만큼 올해 지역 경제는 전반에 걸쳐 어려움을 겪으면서 '지역경제 활성화'는 갈수록 요원해지고만 있는 실정이다.
이에 무등일보는 지역경제 전반을 돌아보며 현황을 점검하고 앞으로 나아가야할 대안들을 살펴보는 '지역경제 침체 어디까지…힘내라 지역기업'시리즈를 연재할 계획이다. 아울러 지역경제의 주춧돌인 지역기업과 소상공인들에게 힘을 불어넣기 위해 우리 스스로 어려움 함께 이겨내자는 의미를 담아 지역에서 생산되는 우리 제품을 소비하자는 '지산지소'운동도 함께 전개할 예정이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AI×문화도시 되려면 AI 잘쓰는 광주 만들어야" 최연구 부경대 겸임교수가 8일 오전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제8회 정책포럼에서 '인공지능 시대의 문화트렌드와 미래전략'을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광주시 제공 광주시와 광주정책연구회는 8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인공지능(AI) 시대의 문화 트렌드와 미래 전략'을 주제로 제8회 정책포럼을 개최했다.이날 포럼은 인공지능 대전환기의 글로벌 문화 트렌드를 확인하고 광주시 문화전략 등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포럼에는 강기정 시장과 최치국 광주연구원장을 비롯한 광주시 공직자, 공공기관 임직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강연자로 나선 최연구 부경대학교 교수는 인공지능 시대의 사회문화 변화와 정책방향에 대해 발표했다.최 교수는 "미래에는 교육(Education), 과학(Science), 문화(Culture)의 ESC가 중요하다"며 "인공지능(AI)을 배우고 기술 개발을 하는 것은 교육과 과학이며, 인공지능을 생활 속에서 잘 활용하는 것은 문화의 영역이다"고 강조했다.최 교수는 특히 "변화는 기술로부터 시작되지만 문화로 완성된다"며 "광주가 AI×문화도시가 되려면 세계에서 인공지능(AI)을 가장 잘 쓰는 시민, 도시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참석자들은 인공지능과 문화가 만나면 기존 문화·예술인들의 영역이 줄어드는 우려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해 질문했다.이에 대해 최 교수는 "과거 기계가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할 것이라는 우려와 반발이 있었으며, 마찬가지로 인공지능에 대한 우려가 지금 나타나고 있다"며 "똑같은 기술을 수용하더라도 기술에 뒤쳐진 사람들을 포용하고 좋은 방향으로 활용하는 등 어떤 정책을 펴느냐에 따라 사회는 각자 다른 방향으로 바뀔 것이다"고 말했다.한편 '정책포럼'은 광주시와 광주정책연구회(광주시 산하 18개 공공기관이 참여하는 연구모임)가 공동 주최해 광주의 중장기 미래 비전을 논의하고 기관별 정책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정책 공론 플랫폼이다. 다양한 분야의 주제를 선정해 매월 1회(첫째 주 수요일) 개최하고 있다. 박석호기자 haitai2000@mdilbo.com
- · 수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 우수 중소기업 상품 품평회
- · 광주그린카진흥원 "공직자 청렴 준수·실천"
- · 농협광주·KT&G전남본부, 쌀 소비 확대 위해 협력
- · 농어촌공사, 필리핀 농업박람회서 한국 농기자재 선봬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