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서 '세계문학축전' 개최하자"

입력 2025.03.09. 17:03 최소원 기자
[계간 '문학들' 봄호 '노벨문학상 이후 광주' 특집]
조진태시인 '인문도시' 대안 제시
오월문학제·亞페스티벌 활용
'책과 문학의 도시'로 거듭나기
문학투어리즘 연계 사업 필요
책 생태계 위해 광주시 나서야
지난해 11월30일 광주문화재단이 진행한 '대학생 한강문학기행' 행사에서 한강 작가의 소설 '소년이 온다' 속 동호의 모티브가 된 문재학 열사의 모친 김길자 선생이 대학생들과 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한강 문학을 주요 텍스트 겸 테마로 삼아 '세계문학축전'을 개최함으로써 광주를 '인문도시'로 만들어가자는 주장이 제기돼 눈길을 끈다.

계간 '문학들'은 최근 발행한 봄호(통권 79호)에서 '노벨문학상 이후의 광주'를 주제로 특집을 게재했다.

특집에서 조진태 시인(오월문예연구소장)은 '책과 문학의 도시 광주를 위한 하나의 상상'을 통해 인문도시 광주로 거듭나기 위한 몇 가지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조 시인은 먼저 광주에서 '세계문학축전'을 개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개인의 창작과 작가들의 연대, 독자와 향유하는 공간을 새롭게 만들어갈 수 있다는 주장이다. 세계문학축전을 치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문학 행사의 규모를 키우고 그 의미를 더하기 위해 매년 개최하는 '오월문학제'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아시아문학페스티벌' 행사를 통합하는 등의 사례를 제안했다. 오월문학제는 한국작가회의가 주최해 5·18민주화운동의 의의를 되새기는 행사로 매년 5월 치르고 있으며, 아시아문학페스티벌은 아시아 문학인들이 한자리에 모여 문학의 상상력으로 우리 사회를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주목을 끌고 있다.

지난해 11월30일 광주문화재단이 진행한 '대학생 한강문학기행' 행사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5·18민주화운동 기록관에서 전시물을 감상하고 있다.

조 시인은 또 광주만의 서사를 이용한 도약과 전환을 위해 '책의 생태계를 새롭게 조성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저자에 따르면 한 권의 책이 독자의 손에 들어가기까지는 여러 과정과 단계를 거친다. 저자(작가)-출판사-서점, 도서관-독자의 순환 구조이다.

그는 이와 관련 '생산(저자와 출판사)과 유통(서점)이 활성화되려면 소비(도서관, 독자)가 기본 축인데, 광주전남 지역 사람들의 독서율이 다른 지역에 비해 낮은 것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지난해 11월30일 광주문화재단이 진행한 '대학생 한강문학기행' 행사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전일빌딩245에서 탄환 자국을 보고 있다.

최근 광주시가 구성한 '인문도시 광주위원회'를 구성하고 '책 읽는 도시 광주'를 위한 정책 수립과 추진에 나선 것은 이 같은 인식과 흐름을 같이 하는 행보이기도 하다. 출판 생태계 활성화 문제는 자율 시장이나 자본의 흐름에만 맡겨서는 그 해법 모색이 어렵다. 인력과 예산이 들어가도 인프라를 형성하는 것이 첫걸음이라는 게 조 시인의 주장이다.

그는 이와 함께 한강 문학을 '문학투어리즘'과 연계하는 사업을 제안했다. 한강 작가의 소설 '소년이 온다'의 무대인 상무관, 분수대, 옛 전남도청 등을 방문지로 선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국이나 독일, 폴란드의 아우슈비츠 기념관은 대표적인 사례다. 공간과 사건을 콘텐츠화하고 '오월문학작품'을 읽고 낭독하며 교류하는 프로그램을 병행한다면 광주만의 서사를 의미화하는데 그치지 않고 지역 문학이 세계화되는 데에도 큰 동력이 될 수 있다.

조진태 시인. 무등일보 DB

특히 조 시인이 제안한 여러 정책들은 광주의 역사적 경험을 세계와 공유하는 새로운 방식을 주목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다만 지역 작가·지역 출판사· 동네 서점을 연결해 독자들과 만나고 시민들이 책과 친해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등의 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광주시의 실질적인 정책과 예산이 병행돼야 한다. 인문도시를 추진하고 있는 광주시의 행보에 시민들의 관심이 적지 않으며, 이미 관련된 조례에는 독서문화진흥의 시행계획 수립과 제도적 환경이 명시돼있기 때문이다.

조 시인은 마지막으로 '한 권의 책은 한 사람의 삶을 바꿔놓을 수 있고 누군가에게는 세상을 바꿀 새로운 세계의 지침서가 되기도 한다'면서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도시 전체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노벨문학상 이후의 광주' 특집에는 조 시인과 함께 최다의 제주대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가 '오월문학과 한강:질문하는 증언록'을 통해 증언 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는 글을 게재했다.

한편 계간 '문학들' 뉴 광주리뷰 코너에서는 김꽃비, 김진선, 박송아, 오성인, 이다희 등이 참여해 '젊은 작가들의 시선으로 바라본 12·3비상계엄 사태'를 조명하고 있다.

최소원기자 ssoni@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1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