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는 암에 걸리지 않는다
데이비드 B.아구스 지음, 허성심 옮김
과학자인 저자는 이 책에서는 지난 연구들을 토대로 여전히 한계가 분명한 인간의 문제들을 탐구하며, 그 해답을 자연의 동물들을 통해 펼쳐놓는다. 태생적으로 긴 목을 타고난 기린은 무엇 때문에 심혈관 질환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지, 개미는 완벽한 팀워크를 위해 어떤 동료를 죽게 내버려두고, 어떤 동료를 살리는지, 그리고 코끼리는 정말 암에 걸리지 않는 것인지 등 진화생물학은 물론 세포학, 발생학, 미생물학 분야를 넘나들며 우리가 그들에게서 배울 수 있는 신체적, 사회적 시스템에 관해 방대하면서도 체계적인 방식으로 이야기한다. 이 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호르몬, 유전자, DNA 정보, 마이크로바이옴 등의 작동 원리를 통해 생명과학의 신비를 느낄 수 있다. 현암사/480쪽
무한의 부
왕징 지음, 김우성 옮김
'부자' 하면 누가 떠오르는가?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 멀리 미국까지 갈 필요도 없다. 제주도보다 작은 섬에서 세계적인 부호로 성장한 리카싱이 있다. 12세에 전쟁 피난민으로 홍콩에 이민 온 그가 운영하는 기업의 시가총액은 52조 원, 이는 서울시 1년 예산과 맞먹는 금액이다. 이 책은 14세에 폐결핵으로 가장이 된 소년이 세계적인 비즈니스 거인으로 성장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리카싱의 어린 시절부터 글로벌 기업인으로 성공하기까지의 여정과 그의 투자 원칙, 경영 철학을 소개한다. 워런 버핏이 '현대 경영의 교과서'라 칭송한 리카싱의 삶은 단순한 자기 자랑이나 돈 이야기를 넘어선다. 필로틱/360쪽
어쩌면 세상을 구할 기생충
스콧 L. 가드너 외 2인 지음, 김주희 옮김
현대 인류는 기생충을 과거만큼 흔하게 볼 수 없게 됐지만, 지구상 모든 자연 생태계에서 기생충은 여전히 어마어마하게 많은 개체 수와 성공적인 생활 방식을 자랑한다. 일부 추정치의 따르면 모든 생물의 약 40%가 기생충이라고 한다. 그들이 보여주는 다양한 생존 전략도 놀랍지만, 지구 진화 역사에 관한 단서, 그리고 종 간 상호작용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기생충은 중요하게 다뤄질 필요가 있다. 또 기생충은 과거에 대한 전 지구적 지식을 종합해 미래 인류가 직면할 도전을 예측하도록 도울 수도 있다. 이 책은 기생충이 소름 끼치는 벌레 이상의 존재라는 사실을 밝히고 지구 생물 다양성의 중요한 구성원인 기생충에 대해 흥미진진한 수수께끼들과 가장 최신의 정보를 제공한다. 코쿤북스/272쪽
최소원기자 ssoni@mdilbo.com
- 광주문협, 광주문학상 수상자 자격 두고 '논란' 광주문인협회 '정관 및 규정집'. 독자 제공 광주문인협회(회장 이근모·이하 '광주문협')가 지난달 주최한 제37회 광주문학상 일부 수상자들의 수상 자격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광주문협은 지난해 12월 라마다플라자충장호텔에서 제37회 광주문학상을 주최해 회원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광주문학상, 공로상, 추천 작가상 등의 시상식을 진행했다.논란은 광주문학상을 수상한 6명의 수상자 중 일부 수상자를 두고 시작됐다. 수상자 중 일부가 광주문협의 '정관 및 규정집'에 기재된 자격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광주문협이 지난해 6월 발행한 '정관 및 규정집'의 '광주문인협회 문학상 규정'에 따르면 제2장 5조(수상 자격)에 "광주문학상을 수상할 수 있는 자는 매년 10월 1일을 기준으로 다음의 자격을 모두 갖춘 회원이어야 한다"고 기재됐다. 수상 자격으로는 ▲문단에 등단한 지 만 10년을 경과한 회원 ▲우리 회에 입회한 지 만 5년을 경과하고 연회비를 완납한 회원 ▲최근 3년 안에 해당 장르의 작품집을 1권 이상 발간한 회원 등을 갖춰야 된다.광주문인협회 '정관 및 규정집'. 독자 제공하지만 광주문학상 수상자 중 두 회원이 이 중 ‘문단에 등단한 지 만 10년을 경과한 회원’이라는 요건을 충족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문학상 심사에 ‘공로 점수’를 끼워 넣어 수상자 선정에 영향을 준 것으로 드러나, 취지에 어긋난다는 비난도 일고 있다.이와 관련 광주문협 회원들이 잇따라 문제를 제기했지만, 협회는 회장의 권한이라며 회원들의 지적을 일축한 것으로 드러났다.회원들은 회장이 임의로 공로를 인정해 문학상을 수여하는 것은 직권남용이라는 주장이다.한 광주문협 회원은 "상이란 받는 사람과 주는 사람이 서로 박수받고 공감할 때 권위가 높아지는 것"이라며 "회장이 마음대로 상을 수여하는 것은 광주문학상의 위상을 격추시키는 일"이라고 말했다.또 다른 광주문협 회원은 "현재 이 사건을 아는 회원들은 대부분 문제를 인식하고 있는 상태"라며 "800여 명의 문인을 보호하고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존재하는 협회로서의 역할이 옳은 것인지 모르겠다"고 전했다.이에 대해 이근모 광주문협 회장은 회원들의 사기 진작 차원에서 문학상을 수여했다는 입장이다.광주문인협회 '정관 및 규정집'. 독자 제공이 회장은 "아무 대가 없이 순수하게 나서서 광주문협을 위해 봉사해 준 회원들의 공로와 창작열을 높이 사 공로상과 별개로 문학상을 수여한 것"이라며 "회원이 많지만 먼저 나서서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회원이 적다. 하지만 이번에 문학상을 수상한 회원들은 적극적으로 문학활동을 하며 봉사해 광주문협을 발전시켰다"고 밝혔다.또 수상 자격 미달에 대한 지적에 대해서는 "등단 10년을 경과한 것보다, 회원 활동을 5년 이상 한 것에 더욱 중점을 뒀다"며 "현재 문제를 제기한 회원들은 개인감정으로 지적하고 있는 것"이라고 전했다.한편 광주문협은 800여 명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는 지역 문학단체로 '광주문학' 발간 등의 활동을 꾸준히 펴고 있다.최소원기자 ssoni@mdilbo.com
- · "신나는 겨울방학 책과 함께 즐겨요"
- · '끓는 지구' 중심에 있는 것은 '나'
- · "해남이 주는 독특한 문학적 상상력 있어"
- · 메아리에서 읽어낸 소리의 발자국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