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묵화처럼 농담 깊은 시적 성취
현실의 부조리 비판 역설로 풍자
삶 속 외로움 실존의 영역 형상화

체험과 사유는 시 창작의 매개체다.
그래서 시는 시인의 눈을 통해 다양한 형상화의 과정을 거친다.
담양 출신 송태웅 시인이 자신의 네 번째 시집 '배고픔이 고양이를 울고 갔다'(문학들刊)를 펴냈다.
이번 시집에는 시인의 체험에서 얻은 사유를 바탕으로 한 시편들이 담겨 있다.
"바람 소리가 대숲을/쓸고 갔고/배고픔이 고양이를 울고 갔다/추위가 보일러를 건드리다 갔고/나는 한사코 당신을 울지 않았다//내가 당신을 울면/당신은 전깃줄에 매달려 감전당한/전기공처럼/위태로워질 것이기에"('배고픔이 고양이를 울고 갔다' 전문)
대숲에 바람이 불고 고양이 울음이 들리다 만다. 한겨울 추위에 보일러가 그르렁거리다 만다. 어떤 이유에서인지 나는 한사코 울음을 참고 있다.
표면의 상황은 이렇다. 하지만 그 사고현장에 시인도 있었을까 하는 상상에 이르면 이 짧은 시의 공명에 돌연 몸서리치게 된다. 어떤 장례도 흔한 장례는 없다. 화재 진압에 나선 소방관이 죽거나 다치고, 어느 날 멀쩡하던 육교가 내려앉아 행인이 사망한다. 이때의 파국은 동행자를, 독자를 그냥 통과하지 않는다. 죽은 자와 살아남은 자의 경계가 실존의 명분을 뒤흔들기 때문이다.
무릇 좋은 시는 그 시인의 삶에서 탄생한다. 나는 한사코 당신을 울지 않았다라고 썼지만, 이것은 억지다짐, 시인의 역설일 것이다. 그 이유를 시인은 당신이 위태로워지기 때문이라고 썼다. 내가 울면 당신은 물론 나도, 또 우리가 살고 있는 그 어떤 당위도 끝장나고 말 것이다.
당신이 한순간 뜨거운 불에 감전사한 어느 날, 홀로 돌아와 맞는 한겨울밤 생의 위태로운 파장. 그 파장이 부조리한 들판의 칼바람이 되어 독자를 실존의 영역으로 급격히 몰아세운다. 이 시는 시인의 체험에서 나왔다고 한다. '나―당신―전기공', 시인은 그 주체를 치환함으로써 서로 다른 '나', 우리들의 경계를 아프게 되묻고 있다.
한때 중등학교 국어 교사였던 시인은 지금 전라도 구례의 지리산 자락에서 홀로 살고 있다. 이번 시집에 화엄사, 천은사, 노고단은 물론이고 구례 문척을 소재로 한 연작시가 등장하는 배경이다. 시인은 얼마 전까지 완도 땅 보길도에서 기간제 교사로도 활동했다. 주말마다 구례와 보길도를 오가며 쓴 시편들도 이 시집의 다른 한 축을 이루고 있다.
보길도 바닷가 마을 폐가 안방에 걸린 가족사진을 보며, 이미 떠나고 없는 자들과 임시거주자인 자신의 삶을 파도에 씻기는 몽돌에 비유한 시 '몽돌해변에서'는 수묵화처럼 농담이 깊고 시적 성취감이 높다.
이 시집에서 또 도드라지는 것은 '새'다. 피아골을 비추는 산불 감시용 시시티브이의 화면을 매개로 실상과 허상, 존재와 비존재의 문제를 노래한 '새와 나'가 대표적이다.
'몽돌해변에서'와 '새와 나' 그리고 죽은 자와 살아남은 자의 경계를 노래한 표제작의 공통점은 그의 시들이 존재하나 존재하지 못하는 현실의 부조리를 아프게 들여다보고 숙고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그것을 유령들의 노래라고 이름 붙일 수도 있겠다. 존재하나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비치는 CC-TV 속의 새와 나의 세계. 진짜와 가짜, 진실과 허구의 세계가 그것이다.
시인은 그 경계를 서성이며 질문하는 사람이다. 나와 당신을 유령처럼 살게 만드는 이 거대한 세상의 거울을 향해 말을 건넨다.

김규성 시인은 "송태웅은 부박한 시단의 대세에 편승하거나 상투성에 매몰되지 않고 나름의 독자적 시풍을 추구한다. 형식에 묶이지도 않지만 굳이 형식을 파괴하려고 들지도 않는다"며 "서정시가 주조를 이루지만 고루하거나 도식화되지 않고, 경험을 통해 체화된 사유와 진솔하고도 곡진한 감성이 어울려 은밀한 감동을 선물한다"고 평했다.
송태웅 시인은 61년 담양에서 태어나 전남대 국문과를 졸업했다. 계간 '함께 가는 문학' 신인상을 수상한 이후 시집 '바람이 그린 벽화', '파랑 또는 파란', '새로운 인생' 등을 펴냈다.
최민석기자 cms20@mdilbo.com
-
해방·한국전쟁·70년대를 관통한 현대사의 肖像 384 중편소설은 단편의 단조로움을 극복하고 서사를 넓게 펼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 장르로 꼽힌다.주로 굵직한 대하 장편소설을 써온 이계홍 작가가 최근 중편소설집 '해인사를 폭격하라'(도서출판 도화刊)를 펴냈다. 이 중편소설집은 '순결한 여인-1970년대 풍경화', '해인사를 폭격하라', '귀국선 우키시마호' '인지 수사-아직도 여전히 답답하게' 등 4편으로 구성돼있다. 이들 작품은 작가가 장편소설을 쓰다가 만난 우리 역사에서 특이한 소재와 중요한 사건을 묵혀버리기에는 너무도 아깝다는 생각으로 등장인물들의 행적을 하나하나 추적여 집필했다.특히 이번 소설집은 격동의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삶을 역사적 맥락과 해당 사료를 바탕으로 사실적으로 재현해낸 리얼리즘 문학의 정수로 평가된다. 선 굵은 서사구조와 단단한 스토리 텔링이 독자를 견인한다. 동시에 역사와 시대를 넘어서는 존재로 자신을 찾아가는 사람들의 고투에 대한 증언이기도 하다. 특히 작가의 언론사 경력이 말해주듯 기자적 현장성과 작가적 상상력이 십분 발휘된 작품들로 독서계에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킬 문제작으로 평가된다.수록작품 중 '순결한 여인-1970년대 풍경화'는 송안나(본명:송숙자)의 기구한 운명을 1970년대의 치열한 삶의 현장을 바탕으로 진한 남도 사투리와 거친 욕찌거리로 사람 냄새 짙게 풍기는 이야기다. 속칭 양갈보로 살아온 송안나라는 인물을 통해서 인간의 한 생애에서 암초를 만나는 주요한 원인을 집요하게 파고든다. 그러면서 상처받고 외로운 사람을 만나 따뜻하게 살아갈 날을 기다린다. 작가의 열망이 작품 제목 '순결한 여인'으로 승화되고 있다.'해인사를 폭격하라'는 실화를 바탕으로 하는 작품으로 군인에 관한 인물전기를 많아 쓴 작가의 장점이 가감 없이 드러나는 작품이다. 6·25전쟁의 참화 속에서 미5공군의 폭격 명령을 거부하고 천년 고찰 '해인사'와 '팔만대장경'을 지킨 한국 공군 전투조종사의 모습을 실제 전투를 하는 듯한 실감나는 표현과 긴장감으로 독자들을 사로잡는다.'귀국선 우키시마호'는 해방 직후 한국으로 돌아오는 1호 귀국선인 우키시마호가 폭발해 침몰하는 사건을 다루고 있다. 8천 명이 넘은 사람이 승선했는데 생존자는 불과 이천여 명 밖에 안된다고 전해지는 이 사건을 다루면서 작가는 미군이 설치한 수중 기뢰 때문이든 패전한 일본의 방치와 외면으로 침몰했든, 수천 명이 수장된 사실과 진상조사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을 매서운 눈으로 들여다보고 있다.'인지 수사'는 남의 문중 땅에 몰래 묘를 쓴 사람과의 소송문제를 다룬 작품이다. 이 소설은 우리로 하여 비판과 냉소의 형태가 현실의 어떤 순응과 체념의 경로를 거치는가를 심도 있는 내면과 심리묘사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남의 문중 땅을 무단으로 점령한 자의 묘를 해결하지 못하는 재판 앞에서 패배의식을 느껴야 하는 주인공의 심리를 그리고 있다.이계홍 작가는 무안에서 태어나 동국대 국문학과와 동대학원 석사 졸업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지난 74년 '월간문학' 신인상을 받고 작품활동을 시작했다.그는 30여년 동안 동아일보와 문화일보, 서울신문 등에서 기자로 일했고 장편 '초록빛 파도' '장만' 등을 펴냈다.최민석기자 cms20@mdilbo.com
- · 그림책으로 지친 일상에 '힐링' 더해요
- · '소년이 온다'···소설과 시로 읽는 오월문화
- · 오월정신에 담긴 참된 민주주의 가치 강조
- · 오월 항쟁 투사 '김성애 로사리아'를 아시나요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