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책안내] 우주의 바다로 간다면 外

입력 2022.08.31. 16:48 최민석 기자

▲극한 갈등(아만다 리플리 지음)=한국은 정치적 갈등은 말할 것도 없고, 부유층과 빈곤층 갈등, 남성과 여성 간 갈등,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 간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이는 다른 나라들도 마찬가지다. 저자 아만다 리플리는 한국어판 서문에서 "필자는 교육을 주제로 한 전작을 집필하기 위해 한국에 얼마간 머무른 적이 있고, 당연히 두 나라는 문화, 역사, 제도 면에서 서로 많은 차이가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이나 미국이나 사람들은 가혹한 자본주의 경제 속에서 오랜 시간 일해야 하고, 어떤 분야에서든 엘리트 계층으로 올라서기는 너무나 힘든 사회라는 인상을 받았다"고 말한다. 세종서적/ 472쪽.

▲나는 朝鮮民畵 천재 화가를 찾았다(김세종 지음)= 민화는 무명성과 실용성이라는 낙인 탓에 민예품 사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정통 회화사에서도 작가를 알 수 없는데다가 집안의 대소사를 배경으로 사용하기 위해 제작한 유물이라 여겨 민화를 제외한다. 저자 김세종은 회화적인 관점으로 민화에 주목했다. 19세기말~20세기초 그려진 조선민화에 주목하고, 조형 유전자(DNA) 감식으로 찾아낸 두 천재 작가의 존재를 작품 33점으로 실증해보인다. 일본의 민예운동가 야나기 무네요시(1889~1961)가 1957년 발표한 '조선시대의 민화'에서 조선의 '속화(俗畵)'를 '민화(民畵)'로 명명한 후 65년여 만의 일이다. 20년 넘게 민화를 수집해온 저자가 두 명의 천재 작가를 발견한 것도, 집요한 수집 체험과 진득한 감상의 결실이다. 아트북스/ 428쪽.

▲톨락의 아내(토레 렌베르그 지음)= 노르웨이 문학의 거장 토레 렌베르그가 데뷔 25주년을 기념해 장편 소설 '톨락의 아내'을 펴냈다. 이 소설은 2020 노르웨이 서점연합상, 2020 노르웨이 최고의 소설, 2020 노르웨이 북블로거 선정도서, 2020 노르웨이 오르드나펜 상 등 출간 당시 노르웨이 전역에서 호평을 받은 작품이다. 간결하고 시적인 문체, 영화 시퀀스처럼 과거와 현재가 오버랩되는 독특한 구성 방식을 갖는 이 소설은 사랑이란 주제 외에도 삶과 죽음, 정상과 비정상, 가부장제와 페미니즘의 문제를 두루 짚고 있다. 작가는 수상 소감에서 "지금껏 집필한 작품들 가운데 인간의 가장 어두운 내면을 들여다본 소설"이라고 말했다.

로부터 받고 난 후 아들 얀 비다르와 딸 힐레비에게 다시 한번 집으로 돌아오라고 말한다.작가정신/ 264쪽.

▲가장 사적인 마음의 탐색 (나윤석 외 지음)='우울하다'는 말이 넘쳐나던 코로나19 창궐기에, 책 '가장 사적인 마음의 탐색'(바다출판사)의 저자 5명은 서로 느끼는 고립감과 스트레스를 털어놓았다.'우리는 모두 아프다'는 토로는 '아프면 아프다고 말해야 한다'는 진단에 도달했고, '다른 사람들은 지금, 어디가 어떻게 아플까?' 라는 질문으로 나아갔다. 그렇게 저자들은 우울, 분노, 나르시시즘, 콤플렉스, 집착, 번아웃, 행복, 사랑 등 8가지 감정을 설명할, '마음의 당사자'들을 찾아 나선다. 저자들은 뇌과학자 정재승, 정신과 전문의 윤홍균, 하지현, 김건종, 범죄심리학자 이수정, 가수 핫펠트, 방송인 홍석천을 만났고, 각자가 추적했던 마음들을 자기 경험에 빗대어 곱씹으며 파고들었다. 바다출판사/ 288쪽.

▲우주의 바다로 간다면(케빈 피터 핸드 지음)=우리는 주로 지구와 가까운 화성에서 생명의 흔적을 발견하는 장면을 상상하곤 하지만 최근 우주생물학 연구는 생명체가 살기에 가장 적합한 거주지로 더 먼 목성과 토성을 맴도는 얼음 위성을 주목한다. 우주생물학자들은 얼음 위성의 얼어붙은 껍질 아래에 지구만큼 오래된 광활한 바다가 숨어 있음을 밝혀냈다. 저자인 NASA 우주생물학자 케빈 피터 핸드는 영화감독 제임스 카메론과 지구의 심해로 들어간다. 저자는 영화 '아바타', '프로메테우스'의 과학 자문가로 참여하기도 했다. 대서양 수심 3㎞까지 내려간 저자는 극한의 환경에서 형성된 아름다운 생태계를 발견한다. 해나무/ 424쪽.

최민석기자 cms20@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