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은 존엄과 권리 지키는 지렛대"

입력 2020.10.05. 17:00 최민석 기자
다문화평화교육연구소 '발바닥으로…' 발간
7명 전문가 '인권 서로 배우기' 강의 수록
사람 우선의 자유 공존 연대 중요성 설파

"우리는 생명을 소중히 여기고 모든 인류를 사랑하기 때문에 투쟁하고 있다."(넬슨 만델라)

인권은 모든 사람들이 존엄과 권리를 누리며 사는 세상 구현을 위해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전남대 철학과 김상봉 교수는 올해 5·18 광주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광주 오월정신이 무엇인가를 묻는 이들에게 "5·18은 다른 사람이 당하는 고통에 응답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문화평화교육연구소(이하 연구소)가 엮은 '발바닥으로 인권을 만나는 평화로운 화요일'(꿈꾸는터刊)은 광주시 인권단체협력사업을 진행하면서 신설된 '시민과 함께 하는 인권 서로 배우기'에서 강의한 원고를 중심으로 인권에 대한 면면을 담은 단행본이다.

저술에는 기무라 히데토(일본 나가시카재일조선인인권을 지키는 모임), 김조년 한남대 명예교수, 오현선 공간엘리사벳 대표, 윤정란 서강대 종교연구소 선임연구원, 이시우 사진작가, 이화영 인권의학연구소·김근태기념치유센터 '숨' 상임이사, 전후석 디아스포라 필림 대표 등이 참여했다.

이번 인권배우기프로그램은 인권 강의를 일방적 방식에서 상호교육으로 전환해 강의를 맡은 사람이나 듣는 이 모두에게 배울 기회를 제공하자는 것이 취지였다.

첫번째 강좌는 76세의 기무라 히데토 선생이 맡았다. 그는 '인권과 평화- 나는 계속 질문한다'를 주제로 재일동포가 왜 일본에서 차별받아야 하는가를 근본적으로 물었다.

그가 들려준 인권은 국적이나 자격보다 사람이 우선이라는 외침이었다.

둘째 강좌는 이화영 박사가 '인권과 의학- 국가폭력과 트라우마 그리고 인권'을 주제로 인권침해 현장을 목격하고 침묵하면 공모하는 것이며 인권은 구체적 실천이며 행동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셋째 강좌는 윤정란 박사가 '인권과 역사- 한국전쟁, 기독교를 만나다'를 주제로 전쟁을 멈추고 평화를 만들어가는 여정에 기독교가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지 점검하고 성찰했다.

넷째 강좌에는 오현선 박사가 '인권과 성평등- 딸과 아들로 태어나는 사람으로 사는 세상'을 주제로 모든 억압이 주는 피곤감으로부터 해방을 꿈꾸고 자유를 위한 가능한 시도를 하며 사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다섯째 강좌에서는 이시우 사진작가가 '인권과 시선- 권리, 권한 그리고 권력'을 주제로 공단거리와 통일운동 현장을 오가며 인생에서 새로운 교과서를 발견했다고 고백했다.

김조년 교수는 '인권과 사상- 함석헌 사상에 비추어 본 인권'을 주제로 인권, 사람 됨, 씨알, 같이 살기, 연대로 끝없이 이어지는 이야기를 통해 자기 결정과 자기 목소리 외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일곱째 강좌는 전후석 대표가 '인권과 평화- 헤로니모와 코리안 디아스포라'를 주제로 영화상영, 감독과 대화로 이어지는 장을 통해 이제 더 이상 피부색이나 외모, 출신국가, 성별, 신분 등으로 사람을 규정하거나 배제하지 않을 수 있는 힘과 용기의 중요성을 설파했다.

박흥순 다문화평화교육연구소 소장은 "모든 사람은 존엄과 권리에 있어 자유롭고 평등하게 태어났음을 상기시키는 소중한 시간이었다"며 "모든 이들이 존엄과 권리를 누리며 사는 세상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다문화평화교육연구소는 지난 2015년 4월 호남지역다문화선교회 부설 다문화목회연구소를 모태로 활동을 시작, 광주시 비영리민간단체와 기획재정부 기부금대상민간단체로 지정됐다.최민석기자 cms20@srb.co.kr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