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 가뭄' 보일러·정수기도 멈춘다... 절약 유일책

입력 2022.11.27. 16:30
광주 식수원 동복·주암댐 저수율 31%
내년 2월부터는 격일·3일 단수 현실화
먹고, 씻고 제한... 생활 불편 상상 초월
절수운동 효과 아직... 대규모 동참 절실
계속된 가뭄으로 고갈 위기에 놓인 광주 식수원 동복댐에 대한 한화진 환경부장관의 현장 점검이 있었던 지난 22일 동복댐 가드레인에 반가운 빗방울이 맺혀 있다. 양광삼기자 ygs02@mdilbo.com/2022.11.22

광주와 전남지역 최악의 가뭄으로 내년 초부터 격일 또는 3일 급수제 시행이 현실로 다가온 가운데 실생활 불편 범위가 상상을 초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제한급수가 시행되면 단순히 수돗물 공급에 차질을 빚는 차원을 넘어 보일러나 정수기 등의 가동도 멈춰야하기 때문인데, 관계당국은 아직 미비한 전 시민 절수 운동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제도 개선 등에 주력하고 있다.

27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주 식수 공급원인 화순 동복댐과 순천 주암댐 2개 댐의 저수율은 31%를 유지하고 있다. 저수량으로 따지면 동복댐은 약 2천900만 톤으로 예년 대비 40% 수준, 주암댐은 약 1억 4천300만 톤으로 예년 대비 50%다.

동복댐 물은 용연정수장을 통해 광주 동·북구 60만명(하루 20만톤)에게, 주암댐 물은 덕남정수장에서 서·남·광산구 85만(하루 30만톤) 시민에게 공급되는 구조로, 현재 속도라면 각각 130일, 160일 후면 완전 고갈될 것으로 보인다.

광주시상수도사업본부는 연중 비가 가장 적게 내리는 갈수기에 돌입 한데다 기상청 3개월 전망에서도 올 겨울 적설량이 적을 것으로 예측된 만큼 최악 상황 대비 시나리오까지 검토하고 있다.

현행 '광주시 식용수 사고 현장 조치 행동 매뉴얼'은 동복댐 저수율이 7% 아래로 내려가면 격일제 제한급수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이르면 내년 2월부터라도 일정기간 수돗물 공급을 차단하는 제한급수 시행을 준비하고 있다. 격일제와 시간제, 구역별 단계화 등 구체적인 방식만 정해지지 않았을 뿐 단수 시행 계획은 불변하다는 것이 상수도사업본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광주 전역에 실제 단수가 단행된다면, 1992년12월21일부터 1993년 6월1일까지 156일 동안 지역에 내려졌던 격일제 급수 이후 30년 만이다.

단수가 단행되면 기본적인 실생활에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물을 필수 기반으로 운용되는 보일러, 정수기, 비데 등을 사용할 수 없게 되면서 겨울철 난방은 물론 밥을 짓고, 물을 마시고, 몸을 씻고, 빨래를 해결하는 문제도 어렵게 된다.

제합 급수되는 물 역시 현재 촘촘한 정수 과정을 거쳐 제공되는 식수원과 다른 수질이 제공 될 가능성도 없지 않아 가정은 물론 식당, 병원, 사무실, 관공서 등의 타격 역시 심각할 것으로 전망된다.

광주시가 서둘러 제한급수 카드를 만지고 있는 데는 한 달 여 전부터 시행하고 있는 전 시민 20% 절수 운동 효과가 아직 미비한 탓도 있다.

실제로 지난달 말 기준 하루 48만4천여톤이었던 지역 수돗물 공급량은 지난주 집계 3~4천여톤, 5% 내외가 줄어드는데 그쳤다. 구체적인 수치는 실제 계량기 검침 결과가 종합 취합되는 12월 초·중순 확인되지만, 절수 캠페인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고 보기에는 다소 무리 있는 수치 라는게 광주시 내부 분석이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생활 속 절수운동에 동참하도록 적극 독려하는 동시에 수도 관련 조례를 개정해 절감 수준만큼 공공요금을 감면하는 등의 경제적 혜택 제공 방안도 추진 중이다.

이정삼 광주시상수도사업본부장은 "극심한 가뭄에 따른 주요 식수원 고갈 위기 극복을 위해 시민운동 전개는 물론 대체 수원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영산강 취수는 물론 지하수 관정 개발이나 자연취수가 불가능한 취수탑 아래의 물, 이른바 '사수(死水)'까지 끌어오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면서 "제한급수 시기를 최대한 늦추는 노력에 시민 한 분, 한 분이 동참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한편 최근 행정안전부는 광주지역 가뭄 대책 추진을 위해 특별교부세 전체 55억원 중에서 19억원을 배정했다. 지하수 개발 사업 명목으로 광주시는 하루 최대 4만 톤의 용수 추가 확보를 위해 동복댐 상류 5개 유입 하천의 관정 개발 또는 정수장 주변 지하수 개발에 착수했다. 다만 타당성 검토 등 사전 행정작업을 거쳐야 해 사업 완료는 빨라도 내년 5월로 전망된다.

주현정기자 doit85@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4
후속기사 원해요
6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