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식장·유가족 지원 손발
유가족들은 감사인사로 화답
휴식 없이 폭설 대응 구슬땀
지난해 연말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부터 광주·전남에 내린 폭설까지 지역 공무원들은 눈코 뜰새 없이 바쁜 하루를 보내고 있다. 연일 지역에 참사와 폭설 등 자연재해까지 이어지면서 지역 공직사회는 새해 분위기보다 지역민의 안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7일 광주시와 전남도 등에 따르면, 시·도는 지난달 29일 오전 참사가 발생한 즉시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해 사고 수습활동 지원과 유가족 지원에 나섰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관할에서 일어난 사고인 만큼 신속하게 사고 현장을 찾아 사고 수습과 유가족 지원 활동을 지시했다. 우선 도 차원의 현장 사고수습대책본부를 가동토록 했다.
사고 첫날부터 날 새우기를 하던 전남도 자연재난과 등 도민안전실 소속 공무원들은 10일이 지난 이날까지도 밤잠을 설치며 대책 마련과 유가족 대응에 나서고 있다.
무안공항 업무를 담당하는 건설교통국 도로정책과 직원들도 마찬가지.
혼란스럽고 다급한 현장 분위기 속에서도 현장에 집결한 200여명의 직원들은 건설교통국장을 중심으로 사고 현황 파악과 사고수습 매뉴얼에 따른 절차 및 대응 계획을 파악하는 데 집중하며 초동 대처를 진행했다.
문인기 건설교통국장은 "이번 참사를 겪으면서 공직자로서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소임에 최선을 다해야겠다고 다짐했다"고 밝혔다.
도는 여객기 참사가 마무리되기도 전에 폭설이라는 자연재해 대응에도 만전을 기했다.
도 도로시설팀 팀원들은 눈이 내리기 시작한 이날 이른 새벽부터 1시간 30분 간격으로 무안국제공항 인근 제설작업을 실시하며 구슬땀을 흘렸다. 제설 작업 구간은 무안공항 인근인 서해안·무안광주고속도로, 국도(1·2), 지방도(815·60), 공항 내부 등이다. 제설작업에 투입된 인원은 77명으로 제설장비는 30대가 동원됐으며 염화칼슘 등 제설제는 245톤이 사용됐다.
희생자가 가장 많은 광주시의 공직자들도 참사가 발생하자마자 무안공항으로 달려갔다.
현장에 유가족지원 데스크를 설치하고 슬픔에 경황 없을 유가족들이 사고에 대응할 수 있도록 안내했다. 특히 165명의 공직자가 매일 무안공항과 장례식장에 상주했고, 유가족 지원을 위해 과장급으로 1대1 전담공무원을 지정해 혼선을 최소화했다.
광주시 공직자들은 희생자 유족의 요청에 따라 통신사 부고 안내와 누리집 등 각종 방법을 동원해 부고 안내를 지원했다.
희생자의 가족뿐만 아니라, 친인척까지 돌봄 공백이 없도록 '통합돌봄 대상'을 적극 운용했다. 통합돌봄을 통해 가정 방문을 통한 가사 지원과 식사 지원, 이동 동행, 아동 돌봄 등을 지원했다.
광주·전남지역 공직자들이 현장에서 발로 뛴 덕분에 참사 현장에서 보기 드문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희생자 시신 인도가 마무리된 전날 유가족들이 공직자들에게 감사의 의미를 담아 고개를 숙인 것이다.
박한신 유가족협의회 대표는 "국회의원님들은 잠깐만 뒤로 물러서 주시고 고생하신 공무원 분들 앞으로 조금만 나와달라"며 "여러분이 일주일 동안 집에도 못 가고 이렇게 해서 정말 빨리 수습하게 됐다. 이분들께 유족을 대표해서 감사 인사드린다"고 밝혔다.
한편 대설특보가 발효 중인 광주·전남지역은 10일까지 대부분의 지역에서 비나 눈이 내릴 것으로 예보됐다. 9일까지 예상적설량은 5~15㎝이며 광주와 전남북부에서는 20㎝ 이상 눈이 쌓이겠다. 특히 8일 오후부터 9일까지는 시간당 3~5㎝의 강하고 많은 눈이 내릴 전망이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