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가격 급등 지속··· 면허 확대에 정부 비축론 필요성 '고개'

입력 2024.07.03. 16:07 선정태 기자
냉동김밥 세계적 인기 속 생산량·재고 감소로 金된 김
양식 확대, 가공공장 확충…정부 차원 물량 확보 절실
냉동 김밥이 미국에 이어 세계적으로 히트를 치면서 세계적인 생산 감소·국내 비축량 감소 등으로 김 가격이 폭등하면서 정부가 수급 조절과 가격 안정을 위해 비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무등일보 DB

냉동 김밥이 미국에 이어 세계적으로 히트를 치면서 세계적인 생산 감소·국내 비축량 감소 등으로 김 가격이 폭등하면서 정부가 수급 조절과 가격 안정을 위해 비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에 전남도는 전국 생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전남의 김 양식 면허를 대폭 확대해 생산량을 늘려야 수출 물량을 늘리고 국내 비축량을 조절할 수 있다며 정부에 추가 확대를 요청해 결과가 주목된다.

3일 해양수산부와 전남도, 농산물 유통정보에 따르면 마른김 도매가격은 한 속(한 속은 김 100장)당 평균 1만700원으로 지난해보다 55.4% 올랐고, 마른김 10장의 소비자가도 1천326원으로 지난해보다 30% 상승했다. 8천원 수준이던 김밥용 김 한 봉지도 반년 만에 1만1천원대로 30∼40%나 급등했다.

세계 각국에서 냉동 김밥이 선풍적 인기를 끌며 해외 수요가 폭증한 점이 1차적 요인으로 꼽힌다. 올해 김 수출액은 처음으로 1조 원을 넘어섰다.

냉동 김밥이 미국에 이어 세계적으로 히트를 치면서 세계적인 생산 감소·국내 비축량 감소 등으로 김 가격이 폭등하면서 정부가 수급 조절과 가격 안정을 위해 비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무등일보 DB

주요 생산국인 일본의 생산량이 수온 상승 등의 여파로 최근 10년 새 40% 가까이 줄어든 점도 가격 상승에 일조했다. 완도 등 국내 산지도 해수면 온도가 연평균 20도에 육박하면서 생산여건이 악화되고 있다.

여기에 수출 증가로 인한 김 재고물량 감소도 김 가격 상승의 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2022년 1월 4천600만속이던 재고량이 2년이 지난 지난 1월 2천600만속으로 40%가 줄었다.

이어지는 기후 위기로 인한 생산량 감소, 지속되는 K-푸드 열풍으로 수급이 불균형해져 가격 널뛰기는 언제든 재현될 수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전남도는 양식장 확대 등 생산량 확대를 통해 가격 안정을 꾀하고 있지만 정부의 가공시설 확충, '정부 비축량 확보'도 필요한 시점이다.

김은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명태, 오징어, 고등어, 갈치와 함께 정부비축 대상 주요 수산물에 포함돼 매년 200만 속씩 정부수매가 이뤄졌으나, 공급 과잉과 무면허 양식, 저품질 논란에 따른 가격 하락이 도마에 오르면서 2007년 완전 폐지됐다.

이후 지난해 11월 수산물 정부비축사업 시행요령이 개정되면서 전복이나 김 등 양식수산물에 대한 정부수매의 길이 열렸으나, 일본의 원전 오염수 방류와 소비 위축에 대비한 조치여서, 소비 증가와 생산 감소가 겹친 현재 상황과는 결이 다르다.

가격 폭락, 가격 폭등 모두 시장가격 안정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정부 비축론에 힘이 실리고 있다.

양식면허 현실화도 과제다. 정부가 지난 4월 김 양식장 2천700㏊ 확대 계획을 발표했지만, 국내 김생산의 80%를 차지하는 전남에는 1천658㏊, 비율로 61%가 배정됐다.

냉동 김밥이 미국에 이어 세계적으로 히트를 치면서 세계적인 생산 감소·국내 비축량 감소 등으로 김 가격이 폭등하면서 정부가 수급 조절과 가격 안정을 위해 비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무등일보 DB

하지만 전남도는 안정적 물김 공급량 확보를 위해서는 배정된 면적이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김 수출 증가 추세 등을 감안하면 연간 마른김 생산량 1억 5천만 속의 10%인 1천500만 속 추가 생산이 이뤄져야 한다. 이에 따라 김영록 전남지사는 지난달 해수부에 이날 전체 양식 면적 6만2천㏊의 10% 수준인 6천㏊의 신규 면허 추가 확대를 요청했다.

여기에 물김을 곧바로 가공할 수 있는 산지 물류시설 확충도 급선무라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전남 김 생산액은 8천억 원 안팎으로 단일품목 역대 최고"라며 "지속가능한 김산업 발전을 위해선 신규면허 확대가 시급하고, 품종개량에서 양식, 가공, 유통·수출까지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국립 김산업진흥원 건립도 당면과제"라고 말했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마른김은 장기보관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면서도 "정부 비축은 필요할 경우 검토해 볼 문제지만 (예산 문제 등으로) 선뜻 결정하기엔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다.

선정태기자 wordflow@mdilbo.com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