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영대학교는 광주시교육청이 주관하는 '2024-2학기 빛고을 직업교육 혁신지구 대학연계 상호학점인정 교육과정 사업'의 일환으로 최근 숭의과학기술고 취업동아리 학생 5명에게 '자동차 튜닝 실습' 교육을 실시했다고 2일 밝혔다.
'2학기 대학연계 상호학점인정 교육과정 사업'은 서영대를 포함한 조선이공대, 남부대 등 총 6개 지역 대학이 참여해 개발한 11개의 상호학점 인정 교육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번 사업에는 직업계고 학생 127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학생들이 관련 대학 진학 시 최대 8학점까지 상호 인정받을 수 있다.
이번 '자동차 튜닝 실습'은 자동차 튜닝의 기초 이해부터 시작해 성능시험, 튜닝 실무 체험(썬팅·튜닝 등)을 통해 학생들이 실무 능력을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강정륜 서영대 AI미래자동차과 학과장은 "AI미래자동차과는 국가기술자격 자동차정비산업기사 과정평가형 운영 교육기관이자, 현대자동차 T&B 기술 지정학과로서, 지역 산업체의 요구에 맞춘 현장 중심형 인재 양성에 주력하고 있다"며 "이번 교육이 직업계고 학생들에게 자동차 튜닝 관련 취업 및 대학 진학에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서영대는 광주·전남 지역 자동차 공업사 기술인들을 대상으로 친환경 자동차(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안전 정비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며 지역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윤석열 정부 사교육비 부담에 광주·전남 학부모 허리 휜다 김문수 의원실 제공.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이후 초·중·고 사교육비가 30% 가까이 뛴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는 월 평균 사교육비 지출이 40만원을 넘어섰고, 전남은 전국 두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국회 교육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의원(순천·광양·곡성·구례 갑)이 17일 국가통계포털에 수록된 초중고사교육비조사 결과를 살펴본 결과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021년 36만 6천600원에서 2024년 47만 4천100원으로 29.33% 증가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30%가량 늘어난 셈이다.학교급별로 보면 초등학교가 34.57%로 가장 많이 뛰었다. 중학교는 25.07%, 고등학교는 23.99% 늘었다. 학년별로는 초등학교 2학년이 45.76%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2021년 29만 5천800원에서 2024년 43만 1천200원으로 치솟았다. 다음은 초등학교 1학년으로 39.33%였다. 초등학교 저학년의 증가세가 두드러진 것이다.시도별은 충남이 37.79%로 지난 3년간 가장 많이 뛰었다. 그 뒤를 전남 (37.22%), 경남(36.07%)이 잇는다.광주는 29% 상승했다. 전국 평균보다 상승률은 낮지만 올해 처음으로 1인당 월 평균 사교육비가 40만원을 넘어섰다.월 평균 40만원이 넘는 지역은 서울(67만3천100원), 부산(48만2천600원), 대구(47만8천100원), 인천(45만8천700원), 광주(41만3천200원) 등이 있다.학교급별 사교육비로 보면 광주는 초등학교 37만8천400원, 중학교 45만1천400원, 고등학교 43만9천300원(일반고 50만400원)이고, 전남은 초등학교 31만2천100원, 중학교 35만9천500원, 고등학교 29만4천900원(일반고 37만900원)이다.특히 30%이상 상승한 학교급은 광주지역에선 초등학교(38%)였고, 전남지역에선 초등학교(39.40%), 중학교(40.33%)였다.김 의원은 "윤석열 정부에서 사교육비가 계속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며 "대통령부터 입시 안정성을 흔들고, 전국으로 확산된 초등의대반에 대한 정책수단을 갖추지 못했다. 사교육비 원인인 일자리와 학벌사회는 방관하고, 킬러문항과 카르텔만 챙겼다"고 말했다.이어 "초등학교 저학년의 사교육비가 더 많이 치솟는 것이 4세 고시, 7세 고시, 초등의대반으로 회자되는 학원 시장의 저연령화와 관련 있는지 정부는 검토해야 할 것"이라며 "과도한 선행학습을 적발해도, 조치할 수 있는 정책수단 없는 점부터 대책을 강구하기 바란다"고 강조했다.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 전남, 학교당 학생수 전국 최하위 수준
- · [속보] 광주시교육청, 홍복학원 통학로 문제 해결 나서
- · 사교육비 껑충···그나마 광주는 사교육비 전국 '최저 수준'
- · [속보] 광주시교육청 "미등록 이주아동 학습권 보장"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