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전남대·순천대·목포대·호남대는 동결

광주·전남지역 상당수 대학들이 10여년 만에 등록금을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동결 기조를 보인 곳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25일 대학가에 따르면 광주대, 광주교대, 광주여대, 동신대는 최근 등록금을 5% 안팎으로 인상한다.
광주대는 등록금 5.04%를 올리기로 했다. 광주대가 등록금을 올린 것은 2011년 이후 14년 만이다.
대학 측은 재학생 복지를 위한 시설투자를 강화하고 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
광주교대는 지역 국립대 가운데 유일하게 등록금을 4.98% 인상했다. 정원 감소에 따른 재정확충 차원에서 인상하게 됐다.
광주여대는 등록금 4.99%를 인상을 결정했다. 등록금 인상은 2009년 이후 16년 만이다.
동신대는 5.4% 인상한다. 동신대 역시 등록금을 16년간 소폭 낮추거나 동결해왔다. 인상분은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해 투자될 예정이다.
반면에 올해 동결을 결정한 대학도 있다.
지난해 인상했던 조선대를 비롯해 국립대인 전남대, 순천대, 목포대는 동결을 확정 지었다. 또 호남대는 지난 2012학년도 이후 14년째 등록금 동결하기로 했다.
박상철 호남대 총장은 "서민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어 학부모님들의 학비부담 경감 차원에서 등록금을 동결하는 어려운 결단을 내렸다"며 "예산의 효율적인 집행, 정부 재정지원사업비 확충, 대학발전기금 활성화 등을 통해 극복해 나가고, 학생들에게 쾌적하고 안전한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시설개선과 함께 지역사회와 상생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실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김대중 전남도교육감, 지역 명인·명장에게 감사패 받아 김대중 전남도교육감이 지역 명인·명장들에게 감사패를 받았다. 왼쪽부터 정나연 명장, 김경자 명인, 김대중 전남도교육감, 한문철 지식서비스산업진흥원 회장, 최군자 명인. 한경국기자 김대중 전남도교육감이 지역 명인·명장들에게 감사패를 받았다.(사)지식서비스산업진흥원은 20일 전남도교육청 교육감실에서 전달식을 갖고 김대중 전남도교육감에게 감사패를 전달했다.지식서비스산업진흥원은 광주·전남지역 명인·명장 등 신지식인 53명으로 구성된 단체다. 지난 2021년에 설립됐고, 진로를 정하지 못한 학생 등을 대상으로 적성을 찾아주기 위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이번 감사패 전달식에는 김 교육감을 비롯해 한문철 지식서비스산업진흥원 회장, 정나연 명장, 김경자·최군자 명인 등이 참석했다.지식서비스산업진흥원은 도교육청이 지역 명인·명장 등 신지식인을 활용해 아이들의 진로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운 것에 고마움을 표현했다.한 회장은 "도교육청이 지역 학생들과 지식서비스산업진흥원 발전에 크게 기여해줬다"며 "명인·명장 등을 비롯한 도민을 대신해 감사의 마음을 표현하고 싶었다"고 말했다.지난해 도교육청은 지역 명인·명장 등 신지식인과 함께하는 '주니어 명인·명장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각 학교 학생들이 여러분야 명인·명장들을 만날 수 있도록 도운 것이다.이 프로그램을 통해 지식서비스산업진흥원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직업 세계를 이해시키고 소질과 적성에 맞는 진로를 찾을 수 있도록 가르쳤다.담양공고, 고흥도화고, 여수정보과학고, 전남미래자동차고, 영산포여중, 안산중, 함평학다리고, 전남조리과학고, 전남조리과학고, 동강중에서 전통차, 드론, 미래자동차, 요리, 도자기, 조각보, 대중음악 등을 전수했다.또 지난해 성공적으로 개최한 글로컬미래교육박람회에서도 명인·명장 등을 초청해 학생들에게 지역 전통문화를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장을 열어줬다.김 교육감은 "학생들이 진로를 찾을 수 있었으면 했다. 그런 취지에서 돕게 됐다"며 "명장이 되고 싶은 아이들에게 길을 열어줘서 고맙다. 오히려 교육청이 감사하다"고 말했다.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 윤석열 정부 사교육비 부담에 광주·전남 학부모 허리 휜다
- · 전남, 학교당 학생수 전국 최하위 수준
- · [속보] 광주시교육청, 홍복학원 통학로 문제 해결 나서
- · 사교육비 껑충···그나마 광주는 사교육비 전국 '최저 수준'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