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5회 김대중정신계승 글짓기대회 대상 수상 도
작가와의 만남 등 1교 1독서 특색활동 운영
공강시간 사제 동행 독서의 정착
독서문화를 특화하고 있는 조선대학교여자고등학교(교장 김연희)가 광주시교육청의 제1회 광주 독서교육 우수학교로 선정된데 이어 '한강 문학기생' 대상학교로 선정돼 주목을 받고 있다.
또 제15회 김대중 정신계승 글짓기 대회에서 1학년 윤승희 학생이 대상을 수상하는 등 독서학교로서 면모를 과시하고 있다.
조대여고는 '서(書)로 생각을 켜고 열고 더하다'라는 독서 프로그램으로 주목받고 있는데 학교, 학년, 학급 특색활동으로 전개된다.
학교 특색활동 '사이버독후감발표회'에 184명의 학생들이 참여하하고, 학기별 운영프로그램인 '저자와의 만남(박준 시인, 김동식 소설가)'에는 200여명의 학생들이 참여해 강의와 토론 사인회 등을 가졌다.
학년 특색활동으로는 1학년은 '책산책', 2학년은 '서(書)로 미래를 열다'. 3학년은 '서(書)로 생각을 더하다'라는 프로그램으로 전개된다. 또 매주 수요일 5교시에 공강시간 사제동행 독서 시간을 마련해 모두가 책을 읽고 읽은 내용을 빛고을독서마라톤과 연계하여 감상문을 작성해왔다.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은 늘 책 읽는 습관을 형성해 학생들은 점심 시간 등 자투리 시간에 손 책을 들고 생활한다. 이 프로램은 광주시교육청에서 제시한 '다시 독서로'와 연계되며 제1회 광주 독서교육 우수학교로 선정되었다. 또 1학년 윤승희 학생은 교내 사이버독후감발표회에서 금상을 수상한데 이어 김대중정신계승 글짓기 대회(주최 전남매일, 김대중 평화센터)서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또한 수능 이후 고3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강 문학 기행' 대상 학교로 선정되어 지난 12월 3일 34명의 학생이 장흥 소재의 한승원 문학학교와 보성 소재의 태백산맥문학관을 방문하여 작가를 직접 만나고 대화의 시간을 가졌다.
김연희 교장선생은 "청소년시절의 독서는 인생을 바꿀 수 있는 소중한 시간들"이라며 "학생들이 수험공부를 하면서 정신과 영혼을 풍성하게 하고 세상을 넓게 품을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조선대 2025학년도 등록금 동결 확정 조선대 전경. 전국 대학들이 등록금을 인상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조선대는 올해 등록금을 동결하기로 결정했다.조선대 관계자는 "최근 열린 등록금심의위원회에서 2025학년도 등록금을 동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교육부가 올해 등록금 인상 법정한도를 5.49%로 하면서 전국적으로 인상 움직임도 일고 있지만, 조선대는 지난해 4.9%를 인상했던 터라 올해는 동결한 것으로 보인다.조선대를 제외한 광주·전남지역 대학들은 동결 기조를 유지할지, 소폭이라도 인상할지 고민 중에 있다.그동안 학부모와 학생들의 경제적 부담 완화와 신입생 유치를 위해 동결기조를 유지해 왔지만, 대부분 지역 대학들이 10여년째 등록금을 동결하면서 재정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만일 대학들이 올해도 등록금을 동결하면 전남대는 12년째, 서영대·호남대·광주대·동강대는 16년째, 동신대는 14년째 동결이다.그럼에도 광주·전남지역 일부 대학들은 동결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호남대 경우 동결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전해진다. 동결 여부를 확정 짓는 등록금심의위원회를 앞두고 호남대 내부에서는 이미 동결로 방향을 잡았다.최근 등록금을 인상한 서강대(4.85%), 국민대(4.97%) 등 서울지역 대학들과 대조를 이루는 모습이다.이밖의 대학들은 타 대학들의 동향을 살피면서 등록금 인상 여부를 끝까지 고민하고 있다.목포대는 16일, 동신대는 21일, 전남대·광주대·광주여대는 다음주 중에 등록금심의위원회를 개최하고 등록금 인상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지역 대학관계자는 "물가는 오르는데 등록금은 계속 동결 돼 대학 재정에 여유가 없다. 특히 사립대학들은 많이 힘들다"면서 "등록금을 인상해야 하지만, 학생들을 생각하면 쉽지 않다. 그래서 올해도 동결할지, 인상할지 검토 중에 있다"고 전했다.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정을호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오랜 기간 등록금이 동결되며 대학 재정이 어려운 점은 일정 부분 공감하지만 , 혼란한 정국을 틈타 학생과 학부모에게 이를 전가 하려는 것은 정당화될 수 없다"며 "정부가 인상 억제만 요청할게 아니라 , 적립금 활용과 전입금 확충 등을 적극 독려할 필요가 있다 "고 주장했다.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 세상을이어가는끈, 평화산타 행사 가져
- · 호남권 의대 정시 경쟁률 높아져
- · 국립목포대, 제주항공 참사 유가족에 도움 손길
- · 학령인구 감소···광주 공립 병설 유치원 올해 16곳 문 닫나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