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시교육청이 최근 치러진 2025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 가채점 결과를 발표하고, 국·수·탐 원점수 300점 기준 전남대 의예과는 277점, 조선대 의예과는 275점 안팎에서 지원 가능할 것으로 예측했다.
시교육청은 광주진학부장협의회와 진로진학지원단 진학분석팀이 광주 지역 고등학교 6월 모의평가 가채점 점수를 분석한 결과, 전년도 수능과 유사한 수준에서 변별력을 갖춘 시험으로 분석했다고 11일 밝혔다.
광주 지역 전체 응시자는 1만256명으로 전년도 6월 모의평가에 비해 500여명 증가했다. 국어는 1만227명이 응시했으며, 세부적으로는 '화법과작문' 7천68명(69.1%), '언어와매체' 3천159(30.9%)명이다.
수학은 응시자 1만210명이며, '확률과 통계' 4천972명(48.7%), '미적분' 5천73명(49.7%), '기하' 165명(1.6%)이 응시했다. 전년도 6월 모의평가와 비교했을 때, '화법과 작문' 2.8%p 감소, '언어와 매체' 2.8%p 증가, '확률과 통계' 0.1%p 감소, '미적분' 0.6%p 증가, '기하' 0.5%p 감소했다.
국어는 매우 어렵게 출제됐던 전년도 수능보다 다소 쉽게 출제됐을 것으로 봤다. 그러나 공통과목 중 독서는 개념과 여러 관점을 다루는 지문에서 내용 파악이 어려웠을 것으로 예상했다. 문학의 경우는 현대소설과 현대시가 변별력 있게 출제된 것으로 분석됐다. 형태적으로는 전년도 수능과 유사했으나 갈래복합 영역이 현대시와 수필이 결합했던 것과 달리 고전시가와 수필이 결합된 지문으로 출제됐기 때문이다.
변별력이 높은 문항으로는 '에틸렌의 중합 과정'을 설명하는 독서 기술 지문의 9번 문항과 인문 지문의 '도덕 문장의 진리 적합성'을 설명하는 16번 문항으로 예측됐고, 문학에서는 현대시의 외적준거에 따른 감상의 적절성 여부를 묻는 34번 문항이 학생들에게 낯설게 느껴지는 작품과 결합해 어려웠을 것으로 판단했다.
수학은 계산에 시간이 걸리는 문항들이 다수 출제돼 최상위권 변별력을 확보했다. 기존에 출제되던 문항의 배치가 재배열됐고, 22번 문항은 기존 출제 패턴과는 다른 양상으로 출제돼 고3 수험생들이 어려웠을 것으로 분석됐다. 전반적으로 전년도 수능보다 다소 쉬운 수준으로 봤다. 문제풀이 기술이 있어야만 해결되는 내용이 아닌 기본적인 개념을 잘 이해하고, 수학적 사고력을 잘 갖춰야만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다수 출제된 것으로 분석했다.
공통과목의 15번, 22번, 선택과목의 각 30번 문항이 변별력이 높은 문항으로 판단했다. 미적분은 최상위권 학생들도 쉽게 해결하기 어려울 만한 새로운 유형의 문항도 출제된 것으로 봤다.
영어는 전년도 수능과 동일한 문항 구성으로 EBS 연계 교재를 바탕으로 50% 내외의 연계율을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듣기는 전반적으로 친숙한 소재와 평이한 대화 구조로 구성돼 무난한 난이도로 예상했다. 하지만 독해 문항에서는 문제풀이 기술보다 정확한 독해력과 종합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문장 분석 능력과 어휘력에 기반한 명료한 독해를 요구하는 문항이 늘어나 체감 난이도는 전년도 수능보다 더 어려웠을 것으로 판단했다. 특히 매력도가 높은 오답 선택지를 다수 배치해 고3 재학생들에게 더 힘들었을 것으로 분석됐다. 빈칸추론, 문장위치, 문장삽입 문항은 높은 변별력을 갖춘 것으로 보인다.
'사회탐구'와 '과학탐구'는 대체로 지난해 수능보다 쉽거나 비슷한 난이도로 출제됐다. 사회탐구 과목 중 '윤리와 사상'에서는 변별력을 다소 갖춘 것으로 보인다.
국·수·탐 원점수 300점 기준 서울대 인문계열은 259점·자연계열은 273점 안팎에서 지원가능할 것으로 예측됐다. 자연계열은 서울대 응시기준을 충족한 학생들의 표본에 의한 자료다.
고려대·연세대 인문계열은 254점·자연계열은 252점 정도에서 지원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광주과학기술원(지스트) 지원가능 점수는 255점 안팎, 광주교육대는 215점 안팎, 한국에너지공과대학은 268점 안팎으로 봤다.
전남대 인문계열은 영어교육과 218점·국어교육과 216점·행정학과 207점·경영학부는 214점·정치외교학과 200점·국어국문학과는 198점·인문계열 지원 가능 점수는 190점 내외로 예상됐다. 자연계열은 의예과 277점·치의학전문대학원 273점·약학부 270점·수의예과 268점·전기공학과 238점·수학과 214점·간호학과 213점이고, 자연계열 지원 가능 점수는 수학 지정(미적분·기하) 학과는 199점, 수학 미지정(미적분·기하·확률과 통계 모두 지원 가능) 학과는 188점 내외에서 지원 가능할 것으로 예측됐다.
조선대 의예과는 275점·치의예과 272점·약학과 269점·간호학과 208점 내외로 봤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수시이월인원 발표 시 확정 인원이 변경될 수 있다. 원점수에 따른 단순 지원 가능 기준 점수이므로 참고자료로만 활용해야 한다"며 "또한 위의 배치기준 점수는 영어와 한국사를 제외한, 국·수·탐 원점수 300점 기준이므로 영어 등급점수에 따라 변동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실채점 분석자료가 나오면 대학별 환산점수로 계산해 유불리 정도를 판단해 지원해야 한다"고 전했다.
한편 시교육청은 6월 모의평가 가채점 결과분석 설명회를 오는 12일 오후 7시 광주교육연구정보원 대강당에서 고3 진학부장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실채점 결과와 점수를 분석, 7월9일 오후 7시 광주교육연구정보원 대강당에서 고3 진학부장을 대상으로 결과분석 설명회도 진행할 계획이다.
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서영대,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 나서 서영대학교는 최근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요양보호사 분야 전문 인력 양성과 취업 지원을 위해 광주 지역 내 참-더부러양상가재 노인복지센터 등과 산학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서영대 제공 서영대학교는 최근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요양보호사 분야 전문 인력 양성과 취업 지원을 위해 광주 지역 내 참-더부러양상가재 노인복지센터 등과 산학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이번 협약에는 서영대를 비롯해 참빛고을노인복지센터, 기브복지센터, 선한케어노인복지센터, 사랑샘노인복지센터, 초록노인복지센터, 쌍촌재가노인복지센터, 참-더부러양산가재노인복지센터 등이 참여했다.협약에 따라 참여 기관들은 외국인 요양보호사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현장실습 교육과정의 공동 개발·운영 ▲관련 산업체 및 기관과의 취업 연계 ▲직무 수행 역량 강화를 위한 자문 제공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서영대는 이번 협약을 통해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보다 실질적인 현장실습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사회 요양복지 수요에 부응하는 전문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주승완 서영대 국제교육원장은 "이번 협약은 대학과 지역 복지기관이 함께 만들어가는 상생 모델로,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과정의 실효성을 높이는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현장 중심의 실무교육을 통해 요양보호사 분야에서 경쟁력 있는 외국인 지역 인재를 배출하는 데 힘쓰겠다"고 전했다.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 서영대, 광주장애인재활협회와 '장애학생 간담회' 실시
- · 교과서 밖에서 만난 교실, 바람과 햇살이 가르쳤다
- · 서영대, '대학생전문의용소방대 신규대원 임명식' 실시
- · 서영대, 2025학년도 봄학기 한국어연수과정 수료식 개최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