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으러? 아니, 놀러 간다! 책정원도서관의 비밀

입력 2025.03.06. 20:24 이삼섭 기자
■책 읽는 도시의 꿈, 공공도서관 혁신부터 ②공간 경험의 힘
조용하고 딱딱한 도서관 이미지 '탈피'
공간 구조·인테리어 차별화로 발길 잡아
"침묵 강요받는 공간 결국 의미 잃는다"
경직성 깨야…기존 건축물 활용 방안도
광주 동구 내남동 구립도서관 책정원.

"공간 구조나 인테리어가 예쁜 데다가 다른 도서관들은 조용해야 하는 데 반해 여기는 조금 편하게 얘기할 수 있어서 아이들과 많이 놀러 와요."

최근 광주 동구 내남지구에 위치한 책정원도서관에서 만난 시민 김지연(38) 씨는 책 읽으러 온 게 아닌 '놀러 왔다'는 표현을 썼다.

김 씨는 금호동에 거주하지만 일부러 먼 거리를 이동해서라도 책정원을 방문한다고 했다. 그는 "집에서 가까운 공공도서관도 몇 개 있지만 아이들과 얘기할 수 있는 분위기도 아니기도 하고, 광주에 아이들과 이렇게 놀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한 데 여기 오면 또래 아이들이 많아서 좋다"고 말했다. 그의 자녀인 김바움(9) 양도 "공간이 예쁘고 재밌다"며 한마디 거들었다.

실제 이날 책정원에는 아이들과 함께 있는 시민들의 모습이 많이 보였다. 광주 도심에서 멀리 떨어진 외곽에 위치해 대중교통이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자가용을 이용해 자녀들과 함께 도서관을 찾는 모습이다.

광주 동구 내남동 구립도서관 책정원.

◆책 읽지 않는 시대? 책만 읽지는 않는 시대

책정원은 규모에 비해 놀라운 흡인력을 발휘해 주목받는다. 연면적 2천622㎡ 규모에 보관 중인 장서(전자책 제외)가 2만5천362권에 불과한 비교적 작은 도서관임에도 입소문을 타고 시민들의 큰 사랑을 얻는다.

사실상 본격 운영한 지난 한 해에만 도서관 누적 이용자는 16만3천457명이다. 휴무일을 감안하면 하루 평균 500명에 달하는 셈이다. 책정원 도서관 직원은 "외곽에 있어 평일에는 사람이 비교적 적지만, 휴일에는 다른 지역에서 많이 오다 보니 자리가 없어 경쟁이 벌어지기도 한다"고 귀띔했다. 덩달아 도서 대출권수도 지난해 14만3천570권에 이르렀다.

책정원 도서관이 시민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비결은 '공간적 차별성'에 있다는 분석이다.

보통 도서관은 조용히 책을 읽고 대출하는 곳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그러다 보니 도서관은 딱딱하고 엄숙하다는 편견에 쉽사리 발걸음을 향하지 않는다.

특히 갈수록 책을 읽는 인구가 줄어드는 데다 코로나19 팬데믹 사태 이후 OTT 등 비대면 콘텐츠로 취미가 쏠리면서 공공도서관은 조용히 공부하기 위한 '열람실' 정도로 전락했다는 자조 섞인 목소리도 있다. 광주 공공도서관이 변화된 환경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실제 광주도서관 이용자 수는 2019년 690만명까지 기록했지만, 코로나19 발생 직후인 2021년 203만명으로 뚝 떨어졌다. 2023년에도 453만명에 머무르며 코로나19 이전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점차 회복세이긴 하지만 공공도서관이 많이 늘어났다는 점에서 매우 저조한 수치다.

광주 동구 내남동 구립도서관 책정원.

◆머무르는 공간으로…책정원의 비결

그런 와중에도 몇몇 공공도서관은 시민들의 호응을 끌어낸다.

이 도서관들의 공통점은 특별한 '공간 경험'에 있다는 분석이다. 책정원도서관도 이름에서처럼 실내·외가 자연스럽게 연결된 구조 속에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설계된 건물이다. 유리창 너머로는 작은 정원이 펼쳐져 있고 실내 역시 나무와 식물로 꾸며져 있다.

이는 전통적인 공공도서관과 차별화되는 요소다. 한정된 예산 속에서 외관이 특별하고 화려하진 않지만 책정원만의 특색 있는 공간 경험이 단순한 독서 공간이 아닌, 머물고 싶은 공간으로 자리잡게 한 배경이다.

책정원 총괄계획가를 맡은 고재민 수원과학대 실내건축디자인학과 교수는 도서관 기획 당시 단순히 책을 대여하고 읽는 침묵적 공간을 넘어 시민들이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 생각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한 언론 인터뷰에서 "침묵이 강요받는 공간, 누구도 찾지 않는 공간은 결국 의미를 잃는다"며 "공간의 변화 없이는 절대 서비스가 이뤄질 수 없다. 문과 벽, 칸막이로 나눠진 공간에서 이제 개방형 공간으로 나가야 한다"고 공공도서관의 방향성을 짚기도 했다.

광주 동구 내남동 구립도서관 책정원. 동구청 제공 

◆근대 건축물 등 기존 건축물 활용 필요

천득염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석좌교수는 광주의 공공도서관들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경직성을 깨고 경험하는 공간으로 재설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나아가 공공도서관을 새롭게 건축하기보다 기존 건축물을 활용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특히 광주에 산재한 근대 건축물을 공공도서관으로 만들 경우 매우 특별한 도서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천 석좌교수는 "공간에는 취향이나 감성, 일종의 조형성과 같은 특별한 감이 있어야 사람들이 좋아하고, 또 뭔가 힐링이 되거나 배울 수 있는 공간이 될 때 공공성을 띄게 된다"며 공공도서관의 조건을 언급했다. 이어 "하지만 공적인 재원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적인 공간을 공적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 등을 통해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2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