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4일·25일 4시 선착순 15명 수강생 모집

광주문화재단이 오는 24일부터 이틀간 빛고을아트스페이스 2층에 위치한 문화예술작은도서관에서 미술을 주제로 예술공간 집 문희영 대표의 미술 강좌를 개최한다.
이번 미술강좌 1차시에는 미술을 주제로 작품 감상의 즐거움을 알아보고, 2차시에는 네덜란드 출신의 화가로 서양미술 역사상 가장 위대한 화가 중 한 명인 빈센트 반 고흐(1853~1890)와 수 많은 예술가들의 영감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프랑스 화가 수잔 발라동(1865~1938)의 삶과 예술을 들여다보는 시간을 갖는다.
문희영 대표는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출강 및 문화기관과 공공기관에서 미술 관련 강의를 진행해 오고 있다. 오는 2017년부터 복합예술공간인 '예술공간 집'을 개관하여 운영해오고 있으며 지역 작가를 발굴하고 소개하는 등 지역 문화 예술 발전을 위해서도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수강인원은 선착순 15명으로, 지역주민 누구나 신청 및 참여가 가능하다. 수강료는 무료이며 수강 희망자는 지난 10일부터 문화예술작은도서관에서 전화로 신청받고 있다.
이번 강좌는 1차는 7월 24일에, 2차는 7월 25일에 열리며 시간은 오후 4시부터 오후 6시까지 2시간이다.
한편 2024년 광주문화예술작은도서관 강좌 프로그램은 오는 9월 마음놀이터 김옥진 대표의 자연관찰일기, 11월 김미환 디지털 강사의 어르신들을 위한 스마트폰과 키오스크 사용방법에 대한 강좌를 진행할 계획이다.
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시민과 함께 진정한 '문화 광주' 만들자" 16일 오전 광주예술문화융성포럼 준비위원들이 광주시의회 1층 시민소통실에서 출범 선언문을 낭독하고 있다. '예향 광주'의 문화적 가치를 제고하기 위해 모인 '광주예술문화융성포럼'(무등일보 2025년 6월 10일자 14면)이 공식 출범을 선언했다.'광주예술문화융성포럼(이하 포럼)'은 16일 오전 광주시의회 1층 시민소통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출범 선언문과 함께 '문화예술도시 광주'의 도약을 위한 실천과제를 밝혔다.이날 행사에는 김봉국 디자인씽커스 대표, 김소진 독립 큐레이터, 김영순 전 광주문화재단 전문위원, 김일태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교수, 백종옥 미술생태연구소장, 설정환 광주북구마을자치도시재생센터 대표이사, 이당금 예술이빽그라운드 대표, 이승찬 씨움갤러리 대표, 이정철 전 광주 북구의회 의원, 장현우 예술문화기획자, 정인서 광주 서구문화원장 등 포럼 준비위원과 함께 지역 예술계 인사들이 자리했다.포럼은 출범 선언문에서 "광주의 예술문화 생태계는 깊은 위기에 처해 있다"며 "우리는 지금 예술을 삶의 언어로 회복하고 미래세대의 문화생태계를 구축할 전환점에 서 있다"고 진단했다.이어 "이제 광주는 과거의 명성을 넘어 예술로 미래 백년을 준비해야 한다"며 "이재명 정부의 '문화강국론'에 발맞춰 광주는 문화강국 실현의 거점지역이자 예술을 통해 삶의 질을 혁신하는 선도도시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이를 위해 포럼은 시민, 예술인, 행정이 함께 행동해야 하는 9개 실천과제를 제시했다.먼저 예술문화의 창작과 발표에서 자유롭게 숨 쉬는 도시 조성을 위해 '지방자치단체 창작허브 및 레지던시 조성', '예술문화 데이터베이스와 아카이브 구축', '예술지원 보조금 제도 혁신'을 주장했으며 시민·예술인·행정의 협동을 위해 '시민참예산제 및 펀드 조성', '예술인 기본소득 시범사업', '예술문화 교육강화 및 창의인재 양성'을 제안했다.16일 오전 광주시의회 1층에서 열린 광주예술문화융성포럼 출범 선언 후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끝으로 문화강국 중심도시 광주 도약을 위해 '지역 K-컬쳐 클러스터 조성', '예술문화 관광루트 운영', '디지털예술 플랫폼 개발'을 강조했다.이날 행사에 참석한 정송규 무등현대미술관 관장은 "사람은 여러 관계로 얽혀 있어 혼자 존재할 수 없으며 이는 예술가도 마찬가지"라며 "예술가들도 혼자만의 세계에서 벗어나 여러 동료들과 관계를 맺고 소통을 해야하고 포럼이 그 중간 역할을 잘 해내길 바란다"고 말했다.준비위원이었던 장현우 문화기획자는 "광주예술문화융성포럼은 집행부 없이 누구든 주인공"이라며 "예술문화계 현안과 문제를 파악하고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만들어진 포럼인 만큼 회원 누구든 언제든지 문제를 올려주시고 함께 토론해나가겠다"고 말했다.현재 포럼이 개설한 카카오톡 단체채팅방에는 지역의 문화예술 관계자 160여명이 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출범 이후 포럼 준비위원들은 별도의 직책을 맡지 않고, 문화계 현안이 있을 때마다 관련 분야에서 회원들의 의견을 모으는 역할을 맡는다.글·사진=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 · '예향 광주' 새로운 도약, 광주예술문화융성포럼 출범
- · "소년 고통 생생... 아픈 역사 반복 투표로 막아야죠"
- · "예술인과 함께 문화강국 이끌어주길"
- · "국민화합과 통합의 상징··· 새 출발의 전환점"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