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 수출길 나설 캐스퍼EV생산 차질
사측, 28명 추가 고용 계획도 잠정 중단

트럼프발(發) 관세폭탄이 예고되면서 지역주력산업인 자동차 수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광주글로벌모터스(이하 GGM)노조가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의 중재에도 파업에 나서면서 생산 차질 우려가 일고 있다.
올해 본격적인 수출길에 오르는 전기차 생산물량을 맞추기 위해 추가고용 등에 나설 예정이었지만 노조 측의 파업으로 생산물량을 맞추는 것도 쉽지 않은데다 추가 고용까지 연기되는 등 광주형일자리로 탄생한 GGM이 지역열망을 져버려선 안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8일 GGM과 민주노총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 GGM지회(GGM 노조) 등에 따르면 GGM은 올해 국내 판매 호조와 해외 수출 물량 증가에 따라 지난해보다 7.2%(3천800대) 늘어난 5만6천800대를 생산할 계획이다.
특히 지난해와 달리 전기차가 4만7천700대(84.0%)로 대폭 증가하고 수출도 4만2천900대(75.5%)로 크게 늘어났다.
이에 따라 GGM은 올해부터 주야간 2교대 가동을 검토했으나 노조의 파업에 따라 주간 1교대만 운영하고 있다.
국내외 주문 물량이 쇄도하면서 현재 정상 근무 외에 화·목요일 각 2시간 잔업과 토요일 8시간 특별근무 등을 통해 생산 목표량을 맞추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노조가 이날 낮 12시20분부터 4차 부분파업에 나섰다.
노조측은 사측이 노조 간부들을 업무방해 혐의로 고소했다며 전체 조합원 228명이 4시간 부분 파업과 함께 2시간의 잔업을 거부하기로 했다. 다만 사측은 이번 노조 파업 규모는 148명으로 보고 있다.
노조 측은 '사측이파업 참여율이 높은 부서의 조합원에 대해 강제 전환배치를 추진하고 있다'며 노조탄압과 조합원 차별이 계속 이뤄진다면 파업을 이어나가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사측은 "노조탄압이 아니다. 지난달 14일 노조의 선전전 당시 소음 측정에 나선 팀장이 노조원과 몸싸움 도중 다쳐 고소가 진행된 것"이라며 "노조의 합법적인 선전전을 보장하다 다친 점에 대한 책임을 묻는 것이다. 타부서 강제 전환은 확인된 바 없다"고 해명했다.
현재 노조 파업때마다 사측 일반직 직원을 투입하고 있는 GGM은 생산물량 증가에 28명 추가 모집에 나설 예정이었지만 노조 파업에 고용 일정까지 잠정 중단한 상태다.
이처럼 GGM파업 장기화 양상을 보이자 지역사회에서도 노조 파업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김성규 광주시민회 대표는 "GGM은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의 노사상생발전협정서를 기반으로 어렵게 출범한 회사이기 때문에 파업 사태는 단순히 노사 간의 문제가 아니다"며 "중재조정 기간에 노조가 파업을 하고 잔업과 특근을 거부하는 것은 지역사회의 여망을 무시하는 매우 잘못된 행동으로 수출차 생산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다. 조정중재안이 나오면 이를 적극 수용하고 따르기를 당부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광주시는 지난달 GGM노사갈등 해소를 위한 광주 노사민정 조정·중재특별위원회를 구성, 노사상발전협정서를 준수하고 현행 노동법에 위반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중재안을 마련하고 있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김보곤 디케이 대표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함께해요" 김보곤 디케이 대표이사가 바이바이 플라스틱 챌린지에 동참했다. 디케이 주식회사의 김보곤 대표이사가 환경 보호 실천을 다짐하며 '바이바이 플라스틱 챌린지'에 동참했다.'바이바이 플라스틱 챌린지'는 환경부가 2023년 8월부터 주관하는 릴레이 캠페인으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마련된 프로그램이다.참여자는 환경 보호를 위한 실천 내용을 알리고, 이를 이어갈 새로운 참가자를 지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김보곤 대표는 김성진 광주미래차모빌리티진흥원장의 지목을 받아 이번 캠페인에 참여하게 됐다.디케이 주식회사는 친환경 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국제 환경경영시스템 인증인 ISO 14001을 취득한 기업이다. 사내에서는 직원들의 적극적인 동참 아래 개인 텀블러 사용을 장려하고 있으며, 일회용품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회사 내부 정책을 마련하여 전사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 사용 저감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논의하고 실행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특히, 디케이 주식회사는 ESG 경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기업 운영 전반에 반영하며, 친환경 문화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회사는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실천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김 대표는 "다음 참가자로 국립 아시아문화전당재단 최영준 이사장을 지목하며, 캠페인의 확산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역대 최고실적'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이전 속도낼까
- · '美25%관세' 지역자동차업계, 안도·우려 '교차'
- · 광주, 대한민국 AI 인재 양성 '허브로'
- · 트럼프 관세 비상···기아 광주공장 3년연속 50만대 넘을까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