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1인가구 증가···경제 발전 불균형 우려

입력 2025.03.19. 10:08 강승희 기자
전국 평균 35.5%…광주 36.5%, 전남 37.1%
30~50대 남성과 60~70대 여성 비율 높아
임시·일용근로자 비중 높고 월소득 수준 낮아
다인가구 달리 교육, 통신, 차량 등 소비 적어
"소비 다양한 다인가구 전환 위한 정책 필요"
전국 1인가구 비중.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제공

광주·전남의 1인가구 비율이 2050년까지 40%대를 넘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이에 따른 소비·산업 구조 변화에 대응할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인가구의 안정적인 고용과 주거지원 확대 등을 통해 지역내 다양한 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정책 대안을 마련해야한다는 것이다.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가 18일 발표한 '광주·전남지역 1인가구 현황과 소비지출 영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전국 평균 1인가구 비율은 35.5%다. 광주는 36.5%, 전남은 37.1%로 조사됐다.

광주는 30~50대 남성과 60대 여성이 차지하는 1인가구 비율이 높았다. 전남도 30~50대 남성과 70대 이상 여성에서 1인가구가 많았다.

이들의 혼인 여부를 살펴보면, 20~40대에서는 초혼 연령 상승으로 미혼 비중이 높았다. 50~60대는 이혼, 70대 이상은 사별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임시·일용근로자 비중이 다인가구보다 높아 수득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시·일용근로자 비중이 높을 수록 소득 수준이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두 지역의 1인가구 임시·일용근로자 비중은 각각 31.5%로 다인가구(광주 14.7%·전남 11.7%)보다 높았다.

광주 1인가구 월평균 소득은 128만3천원으로, 다인가구 월평균 소득(206만3천원)의 62.2% 수준에 머물렀다. 전남 역시 1인가구 월평균 소득은 103만9천원으로 다인가구 월평균 소득(158민6천원)의 65.5% 수준이다.

주택 점유형태는 두 지역 모두 자가비율이 다인가구보다 낮았고, 월세 비중이 높았다.

광주 1인가구의 자가비중은 35.7%로 다인가구(73.3%)의 절반 수준이었고, 전남도 58%로 다인가구(77.8%)보다 낮았다. 반면 월세 비중은 광주·전남 각각 47.4%, 25.2%로 다인가구(광주 14.3%·전남 9.8%)보다 높았다.

소비 영역에서는 1인가구가 다인가구보다 1인당 평균소비지출이 높았으며, 주로 식비와 주거비, 보건의료비에서 다인가구보다 소비가 컸다. 반면 교육비, 차량유지비, 통신비 등에서는 다인가구보다 소비가 적었다.

한은 측은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이같은 소비항목 차이는 지역 내 산업 구조의 변화를 유발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향후 1인가구 증가가 지역 경제 성장과 복지 수요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1인가구의 경제적 특성과 소비지출을 고려한 종합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은 측은 ▲1인가구의 고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 기업 유치 통한 고용 기회 확대, 공공·민간 부문의 노인 일자리 확대 등 ▲청년들이 주거 안정성이 결혼·출산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금융지원, 공공 임대주택 공급 확대 등 주거 지원 정책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안지연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경제조사팀 과장은 "다인가구가 교육, 통신, 차량 등으로 소비를 다양하게 하고 있다. 생산을 유발하면 고용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1인가구 증가는 경제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결혼과 출산을 장려하는 방향의 정책을 펼치면 이들이 다인가구로 넘어가 다양한 분야의 지역 경제가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2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