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기간 원생 수 18.6%↓, 출생아 수도 줄어
유치원, 운영비 등 확보…1인당 교육비 증가
학부모 부담 가중…카드매출서 교육 소비 '뚝'

출생아 수 감소 여파로 최근 5년간 광주지역 유치원 39곳이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생 감소로 사립유치원은 고정비 등을 확보하기 위해 원비를 인상하고, 이는 학부모 부담으로 돌아가 교육비를 줄이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9일 광주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지난해 4월 기준 광주지역 유치원 수는 273곳으로, 5년 전인 2019년 대비 39곳(12.5%)이 줄었다.
연도별로 보면 2019년 312곳, 2020년 298곳, 2021년 294곳, 2022년 288곳, 2023년 286곳, 지난해(4월까지) 283곳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유치원 수 감소 현상은 원생 수가 줄어든 게 근본적인 원인으로 꼽힌다.
실제 유치원 원생 수는 2019년 2만3천252명, 2020년 2만3천220명, 2021년 2만2천198명, 2022년 2만998명으로 지속 감소하다 2023년(1만9천911명)부터 2만명대 아래로 떨어졌다. 지난해 4월에는 1만8천924명으로 파악됐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광주시교육청은 지난 1월 공립(병설)유치원 16곳이 학급편성 최소 기준(5명)을 충족하지 못해 내년 2월 말까지 휴원한다고 공지했다.
광주지역 출생아 수가 감소세를 보이고 있어 원생 수 감소는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
특히 사립유치원은 고정비 확충을 위해 원비 인상이 불가피해 학모들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유치원알리미에 따르면 만 4세 기준 사립(법인, 사인)유치원의 1인당 월 평균 원비(교육과정 교육비, 방과 후 과정 제외)는 2022년 2차 143곳·5만9천910원, 2023년 2차 136곳·6만7천643원, 2024년 2차 130곳·8만4천525원이었다. 사립유치원 수는 매년 감소하고 있는 반면, 원비는 점차 올라갔다.
BC카드가 지난달 27일 발표한 국내 주요 분야의 소비 동향을 담은 'ABC(Analysis by BCiF ) 리포트' 23호를 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교육 소비가 전년 대비 5.6% 급감했다.
특히 어린이집 소비는 전년 동기 56.0%에서 50.5%로 감소했으며, 주요 원인으로 합계 출산율 1명이 붕괴된 점을 꼽았다.
김지혜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광주지부 유아교육위원장은 "어린이집이 폐원을 많이 하고 있고, 사립 유치원의 경우에도 대형이 아니면 문을 닫는 곳이 많다"며 "이는 출생률 감소와 맞물려 있는 거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교육청에서 학부모들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누리과정 지원금을 국립 15만원, 사립 35만원까지 지원하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일부 사립유치원에서는 일정 수익을 내야 하기 때문에 자녀 교육에 돈을 아끼지 않는 부모들의 심리를 이용해 여러가지 특성화 활동비를 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관광객·지역경제 '윈윈'···지자체는 '반값 여행' 열풍 강진 '2025 강진 백련사 동백축제'에 방문한 관광객들이 사진을 찍고 있다. 강진군 제공 #. 이달 초 강진의 '반값 여행'을 신청하고 놀러 갔다 온 20대 이모씨는 지난주 주말에도 강진에 다녀왔다. 강진사랑상품권으로 환급받은 10만원을 사용하기 위한 재방문이었다. 두명 이상 방문 시 5만원 이상 소비하면 되는데, 숙박 비용만 해도 5만원은 넘는 데다 환급금은 강진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이득이라는 생각에 반값 여행을 신청했다. 1박2일을 강진에서 보낸 후에는 해남과 목포에도 방문했다. 이 씨는 "반값 여행을 계기로 강진에 처음 방문했는데 가우도, 마량항 등에 가보니 관광지가 잘 조성돼 있다고 느꼈다"며 "광주로 돌아오는 길에는 해남과 목포에 들렀고, 환급금은 강진 맛집 탐방에 사용했다"고 말했다.전남 지자체들이 지역 화폐로 관광객의 여행 비용을 지원해주는 사업을 시행하면서 지역 외식업·숙박업 등으로 환원돼 내수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으로 관광객이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일석이조'효과를 기대케 한다.대표적으로 강진의 '반값 여행'을 통해서는 지역에서 30억원이 넘는 소비가 발생했으며, 완도도 '완도 치유 페이'를 시행해 한달 만에 450팀이 신청하는 등 지자체들의 여행 비용 지원사업이 주목받고 있다.24일 강진군 등에 따르면 강진군은 지난해 2월 지자체 중 처음으로 지역 화폐로 여행 비용을 지원하는 '반값 여행'을 시행했다.'반값 여행'은 강진 관외 거주하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여행 비용의 절반을 지역 화폐로 돌려준다. 1인당 3만원 이상 소비 시 최대 10만원, 팀(2인 이상)당 5만원 소비 시 최대 20만원까지 모바일 강진사랑상품권으로 환급받는다. 관광객의 여행 비용 부담을 덜어줌과 동시에, 세금으로 마련된 정산금이 지역에서 다시 소비됨으로써 내수에 활력에 도움이 되도록 추진됐다.시행 첫해인 지난해 강진 반값여행 참여자들은 지역에서 47억원을 소비해 22억원을 강진사랑상품권으로 환급받았다. 지역서 다시 소비된 상품권까지 60억원대의 소비가 발생하면서 1천800개 이상의 지역 업체가 효과를 톡톡히 누렸다.이에 강진군은 올해 운영비와 정산금으로 총 29억원의 예산을 '반값 여행'에 투입한다. 올해 1월부터 전날까지 반값 여행 사전신청자는 2만4천807팀에 달했으며 이중 이미 1만3천36팀이 강진에서 34억6천만원을 소비, 15억5천600만원을 강진사랑상품권으로 돌려받았다. 채 3개월도 되지 않아 지난해의 83% 수준의 경제효과가 발생했다.이같은 관광객 증가는 지역관광산업의 고용 증가로 이어졌다.호남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전남 지역의 도소매·숙박·음식점업의 취업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1만5천명이 증가했다.호남통계청 측은 강진의 반값 여행 등 지자체들의 관광 상품 수요 증가가 관광업 관련 취업자 수 증가에 영향을 미친것으로 분석했다.또 각종 SNS에서 강진 반값 여행 후기와 꿀팁 등이 공유되고 있는데 완도와 목포, 해남 등 인근 지역을 경유 사례도 쉽게 찾아볼 수 있어 인근 지역까지 관광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강진 반값여행의 성공에 인근 지자체들도 올해부터 관광 지원 사업을 잇따라 펼치고 있다.완도군은 '2025 완도 방문의 해'를 맞아 이달부터 2인 이상 관광객이 사용한 비용에 따라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완도 치유 페이'를 올해 12월까지 시행한다.'완도 치유 페이'는 관광객의 소비 금액에 따라 '완도청정마켓'의 포인트로 지원해주는 정책이다. 시행한지 한 달이 채 되지 않았지만 이날 기준으로 450팀가량이 완도 치유 페이에 신청해 인기를 끌고 있다.해남군도 1박 이상 체류하는 개별관광객에게 농산물 직영 쇼핑몰인 '해남미소'의 포인트를 제공하는 '해남쓰리 GO'를 시행하고 있으며, 전남도는 '일반인 섬 여객선 반값 운임지원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강진군 관계자는 "지역 화폐를 지급해 강진에 재방문하도록 함으로써 정산금이 지역에서 소비돼 생산을 유발하고,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선순환을 이루고 있다"며 "처음에는 '관광객에게만 돈을 쓰냐'는 인식도 있었지만, 점차 지역민들도 호응하는 사업이 됐다. 해남군, 진주시, 하동군 등 타지자체에서도 반값 여행 사업에 대한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광주·전북은행 공동전산센터, 광주 추가 건립 4월 초 결정
- · 상춘객 와야 하는데 구제역···'웃픈' 봄맞이
- · 홍콩거리·와이즈파크 개발 '난항'···충장상권 활성화 차질빚나
- · 광주·전남 1인가구 증가···경제 발전 불균형 우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