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주일새 2~9원↑…오름세 둔화 뚜렷

유류세 인하폭 조정 등으로 상승세를 이어가던 광주지역 기름값이 안정세를 찾아가는 모양새다.
11월 들어 유류세 조정으로 인한 추가 부담분으로 41~42원가량 인상되면서 4주 동안 최대 50원가량 오르던 휘발유와 경유가격이 최근 1 주일새 상승폭이 확연하게 둔화되면 서다,
29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광주지역 휘발유 평균가격은 전날보다 0.25원 오른 1천622.46원이며 경유가격은 1.54원 내린 1천456.86원을 기록했다.
유류세 인하폭 조정이 이뤄지기 하루 전인 10월 31일 휘발유 1천586원, 경유 1천408원이었음을 감안할 때 휘발유는 36원, 경유는 49원가량 올랐다.
앞선 10월 한 달간 휘발유와 경유 상승분이 각각 24원, 16원에 불과했다는 점과 비교하면 휘발유 인상폭은 1.5배, 경유는 3배에 달했다.
하지만 최근 1 주일새 가격 추이를 보면 휘발유의 경우 상승세가 대폭 꺾었다.
휘발유는 기간 동안 단 2원만 올랐으며 반면 경유는 전국 평균 상승분은 6원보다 높은 9원이 올랐다.
그래도 광주지역 휘발유와 경유가격은 대구·울산에 이어 세 번째로 낮은 수준이라는 점에서 휘발유와 경유 모두 전국평균보단 17원에서 22원가량 저렴한 수준이다.
이 같은 가격 안정세 추이는 국제유가가 안정세를 보인 영향으로 보인다.
수입 원유가격의 기준인 두바이유의 경우 이달 들어 73.56달러에서 출발했지만 지난 22일 74.17달러까지 올랐다가 현재 71.86달러로 다시 하락했다.
국제휘발유가격도 같은 기간 동안 79.36달러에서 최고 81.54달러까지 올랐다가 현재 79.75달러 를 기록하고 있으며 경유가격도 90.84달러에서 91.48달러까지 올랐다가 87.59달러에 머물고 있다.
그러나 최근 국제유가가 OPEC+회의에서 석유 감산 완화 시기의 연기를 결정할 수 있다는 시장 기대와 불안정한 이스라엘-레바논 휴전 상황 등을 반영해 상승하는 등 불확실성은 여전한 상황이다.
정부도 이 같은 국제 유가의 불확실성을 반영해 유류세 인하를 내년 2월 말까지 연기키로 하는 등 급격한 가격 상승에 대비하고 있어 현재 안정세가 언제까지 이어질 수 있을지는 미지수인 셈이다.
한 운전자는 "유류세 인하 조정으로 주유비가 크게 오르지 않을까 걱정했는데 생각보단 인상폭이 작았던 것 같다"며 "그래도 겨울철이 기본적으로 유류사용량이 많은 시기라는 점에서 가격이 확 뛰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든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현재 광주지역 휘발유 최저가는 1천539원, 최고가는 1천729원이며 경유 최저가는 1천397원, 최고가는 1천619원이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보증 수요 늘고 부실은 커지고···지역 소상공인 경영 '빨간불' 뉴시스. 신용보증을 통해 자금을 융통하는 지역민들이 눈에 띄게 증가한데 이어 빚을 갚지 못해 신용보증재단이 대위변제하는 비율이 전국 평균을 상회하는 등 지역 경제에 빨간불이 켜지고 있다.올 상반기 노란우산공제 폐업공제금 수령 규모도 지난해 지급액의 60% 이상에 이르는 등 소상공인들의 생존 위기도 한층 가속화된 모양새다.9일 전남신용보증재단 정책·통계센터에 따르면 광주·전남 지역 신용보증 규모가 급격히 증가했다.광주신용보증재단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월별로 공급한 보증 규모는 ▲1월 430억원 ▲2월 1천380억원 ▲3월 2천477억원 ▲4월 3천349억원 ▲5월 3천963억원으로 집계됐다.같은 기간 전남신용보증재단도 ▲1월 468억원 ▲2월 1천609억원 ▲3월 3천11억원 ▲4월 4천328억원 ▲5월 5천312억원을 공급했다.이 같은 신용보증 증가는 단순히 '지원이 늘었다'는 의미를 넘어 자체 신용으로는 자금조달이 어려운 이들이 많아진 것으로 풀이된다.특히 광주 지역에서는 신용보증재단의 보증으로 대출 후 이를 갚지 못해 재단이 대신 갚아준 금액의 비율(대위변제율)이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전국 평균 대위변제율은 1월부터 5월까지 5%대를 유지했지만, 광주는 1월 5.06%에서 2월 6.25%로 6대에 진입해 ▲3월 6.52% ▲4월 6.97% ▲5월 6.78을 기록했다. 반면, 전남 대위변제율은 1월 3.75%, 2월 4.75%, 3월 4.66%, 4월 4.59%, 5월 4.41%로 전국 평균을 하회했다.전체 보증 중인 금액 대비 최종적으로 부실 처리된 금액이 차지한 비율(사고율)도 전국 평균을 상회하긴 마찬가지다.광주 사고율은 ▲1월 6.07% ▲2월 7.16% ▲3월 7.38% ▲4월 7.49% ▲5월 7.4%로 5%대인 전국 평균을 상회했다.폐업으로 인한 폐업공제금 지급 규모도 이미 지난해의 절반을 훌쩍 넘어섰다.상반기 노란우산공제 폐업공제금의 광주지역 지급액은 247억원(1천674건)으로, 지난해 총 지급액(395억원·3천124건)의 62% 수준에 이른다.전남 역시 올해 상반기 212억원(1천601건)이 폐업공제금으로 지급돼, 지난해 지급액(336억원)의 63% 수준에 달했다.이기성 광주소상공인연합회 회장은 "경기가 어렵다보니 대출에 의존하는 소상공인이 늘고 있다. 신용보증재단의 보증 자격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도움을 받지 못하는 사례도 많다"며 "폐업할 수 있는 상황이면 그나마 나은 편이다. 폐업 시 대출이자까지 모두 내야하기 때문에 울며겨자먹기로 가게 운영을 이어가는 소상공인들도 있다"고 하소연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현대 vs 신세계 vs 롯데' 광주서 10여년만 리턴 매치
- · 시민이 뽑은 소상공인 지원 1순위 정책···경영자금·지역화폐
- · 억누른 광주 공공요금, 도시 지속성엔 '경고등'
- · "변화는 성장 전략"···협업으로 도약하는 소상공인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