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선 각각 33원·35원 올라…전국 평균보단 낮아
‘점차 적용’상승분 전부 반영땐 현재보다 올라갈 듯

이달부터 유류세 인하폭이 조정된 가운데 국내 유가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판매가격의 경우 주유소마다 공급시기가 달라 유류세 조정으로 인한 인상분이 전체 반영되지 않은 상태라는 점에서 유가상승은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9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전국 평균 휘발유 가격은 전날보다 2.79원 오른 1천709.50원이며 경유가격은 3.12원 오른 1천541.48원이다.
유류세 조정이 이뤄지기 하루 전인 지날 달 30일 기준 휘발유 1천671원, 경유 1천503원이었음을 감안하면 8일 사이에 각각 39원, 38원 올랐다.
유류세 조정 발표일인 지난달 18일(휘발유 1천648원·경유 1천478원) 이후 휘발유와 경유는 각각 62원, 63원이 인상됐다.
광주 역시 지난달 18일(휘발유 1천640원·경유 1천465원) 이후 휘발유는 51원이, 경유는 57원이 각각 오른 상태다.
휘발유와 경유에 유류세 인상분은 41원과 38원이지만 이는 1일부터 각 정유사에서 출고되는 제품에 붙는 가격이라는 점에서 아직 전체 주유소에 반영되진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에서도 재고량이 소진되는 7월 둘째 주부터 점진적으로 반영해 줄 것을 요청하며 가격 인상 자제 주유소에 대한 인센티브를 부여하기로 하는 등 급작스런 가격인상을 자제하고 있다.
하지만 재고물량이 전부 소진된 이후에는 유류세 인상분이 그대로 적용되게돼 체감 가격은 한층 더 높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여기에 국제유가도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어 가격 인상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수입 원유 가격의 기준이 되는 두바이유의 경우 지난 6월 4일 77.90달러로 안정세를 보이다 지속적으로 가격이 오르면서 현재 86.2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국제휘발유가격과 경유 가격도 같은 기간 83.22달러, 90.86달러에서 93.76달러, 101.30달러로 올랐다.
통상적으로 국제 석유 가격이 국내에 반영되기까지 2~3주가량 걸린다는 점에서 이 같은 인상분은 고스란히 국내 유가 인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점쳐진다.
한 운전자는 "한번 주유를 할 때마다 유류세 조정으로 인해 오른 기름값이 팍팍 느껴진다"며 "유류세 조정할 때 유가 안정성가 계속되고 있다고 했던 것 같은데 전혀 안정되고 있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 차를 안 타고 다닐 수도 없는데 여기서 더 오른다고 생각하면 갑갑하기만 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현재 광주 지역 휘발유 최저가는 1천625원, 최고가는 1천805원이며 경유 최저가는 1천439원, 최고가는 1천699원이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한 통에 3만원?"···수박값도 덥다, 여름 과일값 폭등 15일 광주 동구 한 과일가게에 수박과 참외 등이 진열돼 있다. #광주 동구에서 과일가게를 운영하는 A씨는 요즘 들어 과일 판매가 부쩍 힘들어졌다. 이른 아침 과일도매공판장에서 제철 과일을 공수해왔지만, 가격이 급등한 탓에 소비자 지갑이 쉽사리 열리지 않고 있어서다. A씨는 "한 달 새 수박 가격이 1만원 가까이 더 비싸졌다. 자두도 5kg 한 박스에 2만원으로 2배 가량 올라 팔기도 부담스러워졌다"고 토로했다.여름철 대표 과일인 수박 한 통 가격이 3만원을 넘기는 등 여름철 과일 가격이 치솟고 있다.기후 영향으로 생육이 부진해지거나 출하가 지연된 가운데 이른 폭염으로 수요가 증가하면서다.전문가는 이달 하순께 출하량이 안정되면 과일 가격이 안정세를 찾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당분간 제철 과일의 가격 고공행진은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15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KAMIS에 따르면 광주 지역 수박(상품) 평균 소매가격은 지난 10일 3만원대를 넘겼다. 전날에는 3만933원을 기록했다. 이는 한 달새 41.39%가 오른 것으로 평년(2만1천21원)보다도 47.15% 더 비싼 수준이다.비교적 저렴한 수박 중품도 지난 7일 2만원대로 올랐다. 한 달새 42.51%가 올라 2만6천600원에 판매됐다. 평년(1만9천28원)과 비교하면 7천572원 더 올랐다.이달들어 수박 가격이 급등한 데는 '출하 지연'과 '수요 급증'이 원인으로 꼽힌다.정식기 때 기온이 낮았고 일조량까지 줄어들자, 충북 음성군과 경북 봉화군에서 수박 출하가 지연됐다. 여기에 7월 상순 유래없는 이른 폭염이 찾아오면서 소비량이 대폭 늘어나 가격이 치솟은 것으로 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는 분석했다.평년 가격을 보이던 참외 가격도 급등하기는 마찬가지다.참외 상품 10개당 소매가는 전날 2만2천333원을 기록했다. 전월 1만9천336원에서 지난 9일 1만4천900원으로 가격이 하락했다가, 10일 2만2천133원으로 하룻새 7천233원이 올랐다.중품으로 분류된 참외 가격도 1만3천100원으로 평년(1만685원)과 전년(1만1천637원)보다 각각 22.60%, 12.57% 상승했다.여름철 인기 과일 중 하나인 복숭아(백도) 가격도 치솟았다.백도 상품은 전날 10개당 2만8천567원에 거래됐다. 평년과 전년 대비 각각 8천원 가까이 가격이 오른 셈이다.백도 중품의 경우 같은날 평균 2만8천500원에 팔려 상품과 가격 차이가 나지 않는 수준까지 치솟았다. 평년 가격은 1만7천774원였음을 감안할때 무려 60.34% 올랐다.전문가들은 제철 과일 가격이 이달 하순부턴 안정세를 찾을 것으로 예측했다.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는 "7월 상순에는 유래없는 폭염에 수박을 찾는 수요가 늘었다. 출하가 지연되긴 했지만, 공급량이 지난해에 비해서 줄었다고 보긴 어렵다"면서 "이달 하순께 상순 대비 기온이 떨어지고, 비 소식도 예보된 만큼 수요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경북 봉하군과 강원도 양구, 고창 등 작황이 양호해 큰 수요 증가가 없다면 가격이 안정세를 찾을 것"이라고 내다봤다.이어 "복숭아의 경우 봄철 4월과 5월 이어진 저온으로 생육이 지연돼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가격이 올랐다. 또 7월 긴 장마가 오면 품질이 떨어져 가격이 떨어지기도 하는데, 이번 짧은 장마로 오히려 당도가 높아 품질이 좋다"며 "현재 지연된 물량이 출하되면 현재 수준보다는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광주 1만4천세대 도시가스 미공급···요금 인상 '딜레마'
- · 안정세 보인 광주 기름값···하락전환 될까
- · 지역 중장년 60% 이상 일터로···노후는 '공적연금·저축'에 집중
- · 보증 수요 늘고 부실은 커지고···지역 소상공인 경영 '빨간불'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