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맥주·영화·여행상품 등 수요 증가 추세

대한민국을 달궜던 일본상품 불매 운동(노재팬) 열기가 점차 사그라들면서 일본여행을 비롯한 일본상품 소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한국에 대한 수출통제 조치를 시행한 것에 대해 노재팬 운동이 일었던 지난 2019년 10대 무역적자 국가 1위는 일본(191억6천300만 달러)이었지만 무역수지 적자는 2004년(244억 달러)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최근 일본 맥주, 영화, 여행 등 각종 상품 수요가 증가하면서 노재팬,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 안전성 우려 등도 옛말이 되가고 있다.
지난해 일본 맥주 수입액은 5천551달러(741억원)로 전년도 대비 3배 가량 급증했다. 같은해 SNS 등을 통해 아사이 맥주가 큰 인기를 끌며 한동안 품귀현상을 보이기도 했다.
게다가 지난해 1월 개봉한 일본 애니메이션 '더 퍼스트 슬램덩크'는 관객수 487만명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또한 여행업계에 따르면 하나투어와 모두투어는 3·1절 연휴에 출발하는 일본여행 패키지 상품 예약이 사실상 마감된 상황이다.
하나투어의 올해 일본여행 패키지 상품 예약률은 노재팬과 코로나 영향을 받기 전인 2019년 3·1절 연휴와 비교하면 39% 감소했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70% 가량 늘어났다.
지난해의 경우 3·1절이 평일 사이에 끼어있었던 데다 코로나 관련 여행 규제 등으로 비교적 수요가 적었던 반면 올해는 연휴에 주말이 껴있고 여행 규제 해제, 엔화 가치가 하락하는 엔저 현상이 맞물리면서 예약률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업계 관계자는 분석했다.
실제 지난 2022년 1월 100엔당 1천원을 넘었던 엔화가 지난해 같은 시기 950원으로 떨어지다가 이날 기준 884원으로 하락하는 등 엔저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저비용항공사들이 주력하는 일본과 동남아국가들에 대한 항공편이 늘어난 것도 일본 여행 수용 증가 요인 중 하나로 꼽았다. 장거리 노선들에 비해 단거리 노선들의 공급 회복 속도가 빠를 수밖에 없어 수요 회복도 그에 맞춰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모두투어도 마찬가지로 일본여행 예약자가 몰리면서 지난해 대비 예약율이 35% 증가했다.
일본 지역별 예약 비중은 오카사가 47%로 가장 많았고 후쿠오카 20%, 북해도 10%, 오키나와 8% 등 순이었다.
전체 예약 중 일본이 차지한 비중도 지난해 16%에서 올해 23%로 많아졌다. 이는 노재팬 운동이 시작된 2019년에 비해서는 90~95% 회복된 수치에 해당한다.
모두투어 관계자는 "의사결정에 미치는 노재팬의 영향이 많이 줄어든 거 같고 코로나로 인한 입국 제한 불편도 해소되면서 항공사들도 공급석을 늘려나가고 있다"며 "예약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산불·냉해 피해' 사과값, 작년 2배↑···상품은 품귀 광주 전통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과일들 모습. 사과 주산지인 경북 지역 대형산불과 냉해 피해가 겹치면서 사과와 배 가격이 들썩이고 있다.특히 개화기 산불 피해로 작황이 나빠진 사과는 수급 불안 우려 속에 한때 가격이 지난해보다 2배 이상 오르기도 했으며, 상품 품귀 현상과 사재기 조짐까지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27일 한국농수산물유통공사에 따르면 이달 광주 지역의 사과 상품 소매가는 10개당 최고 3만 4천100원을 기록했다. 가격이 평년(2만 5천756원)과 지난해(2만 5천650원)에 비해 2배 이상 오른 수준이다.사과 중품의 경우 10개당 최고 2만 4천433원에 판매돼 지난해보다 12.45% 올랐다.이처럼 사과 가격이 급등한 데는 재배면적 감소와 주산지인 경북 지역 대형산불로 인한 수급 불안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올해 사과 재배면적은 3만 3천113㏊로 지난해(3만 3천313㏊) 대비 0.6% 감소했다. 게다가 국내 사과 재배면적의 58%가량을 차지하는 경북이 지난달 말 대형산불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경북도는 지난 2일 기준 산불로 인한 사과 주산 시군의 과수원 피해 규모를 3천386㏊로 잠정 집계했다. 이는 전국 사과 재배면적의 10% 규모에 달한다.사과나무는 자라서 열매를 맺기까지 보통 2년 이상 걸리기 때문에, 이번처럼 꽃이 피는 시기에 피해를 입으면 그을림 등으로 인해 향후 사과 생산량이 크게 줄어드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다.이 같은 불안감이 확산되면서 사과 사재기 조짐과 상품 품귀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실제 동구 대인시장에서 과일을 판매 중인 한 상인은 "산불 발생 후 일부 상인이 사과를 사서 쟁여두는 것을 봤다"며 "사과를 확보해 두려고 가격 경쟁을 하다 보니 판매가도 올라가고 있다. 심지어 공판장에서는 사과 경매가가 마음에 안 들면 안 팔고 가버리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또 다른 상인은 "상품 사과는 개당 5천 원이다. 현재 사과 20여 박스를 확보해 뒀다"며 "제사상 등에 올라가는 크고 예쁜 상품 사과는 요즘 구하기도 힘들고, 가격도 올라서 수요가 드물다"고 말했다.배 역시 이달 들어 10개당 최고 4만 9천950원에 판매되면서, 지난해(4만 5천845원)와 평년(3만 9천29원) 대비 각각 8.9%, 27.9% 올랐다.배 가격 상승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냉해 피해가 꼽힌다. 저온에 민감한 배는 개화기 냉해 피해를 입으면 암술머리 고사, 꽃잎 갈변 등이 발생해 수확량이 줄고 상품성이 떨어질 수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 배의 저온피해 신고 면적은 1천639㏊로 평년(5천278㏊) 대비 31.1% 늘었다. 이후에도 최근 나주, 대전, 충북 등 배 농가에서 냉해 피해가 발생해 피해 면적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산불로 인한 그을림 등 간접 피해를 입은 경우 피해 정도에 따라 생육 관리를 통해 피해 영향 최소화가 가능하므로 사과 생산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한다"며 "산불 피해 이외 지역의 사과 생육단계는 현재 저온피해 등 없이 순조롭게 생육이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이어 "배의 경우 현재까지 생육 상황은 평년보다 양호한 것으로 보이고 피해 지역도 적정 수준의 적화·적과 작업을 통해 적정 착과량 확보에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덧붙였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유류세 인하폭 조정···소비자 부담 더 늘어난다
- · "취업난 뚫자" 청년·고교생 한자리에, 채용 열기 '후끈'
- ·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솔라시도 클러스터 조성 '핵심'
- · 숫자에 묶인 광천터미널 복합화···"결단 필요하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