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불의의 사고를 겪은 학생과 유가족에게 마음 깊이 애도를 표합니다. 또 제자를 잃은 교사들에게도 위로를 전합니다.
현장체험학습을 가야할까? 말아야 할까? 새학년이 시작되고 학교 최대 고민 중의 하나는 이 문제이다. 어느 학교는 전면 취소, 또 어느 학교는 6월로 예고되어 있는 법 시행을 기다리며 1학기 보류, 또 어느 학교는 그래도 가야하지 않을까 하며 고민 중이다. 학교마다 진행 과정은 달라도 사고에 대한 안타까움과 속초현장체험학습 유죄 판결에 대한 유감은 같을 것이다.
'들으면 잊는다, 보면 기억한다, 행동하면 이해한다.'라는 말도 있듯이, 그 동안 많은 학교들에서 실제 삶에서 몸으로 배우고 느끼는 교육의 중요성을 알고 이를 교육과정에 반영해 왔다. 그것의 대표적인 것이 현장체험학습이다.
이번 판결은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현장체험학습을 갔던 수많은 선생님들에게 언제 사고가 날 지도 모른다는 걱정과 나도 법적 제재를 받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나아가 교육활동에 애쓰다가 사고 날지 모르니 그냥 있는 것이 낫겠다는 무력감?(이 감정은 뭐라고 표현하기도 어렵다.)들을 주고 있다.
안전과 생명은 중요하다. 그런데 교사가 이 모든 것을 해결할 수는 없다. 학생, 보호자, 선생님들, 사회 구성원들이 합의하여 현장체험학습을 멈춰야 한다고 하면 모를까? 그렇지 않다면, 교사에게 부과된 과도한 안전관리 업무와 책임은 덜어주어야 한다. 고의나 중과실이 아닌 경우 교사에게 책임을 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 다시금 현장체험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사건은 현장체험학습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교육활동 전반에 해당되는 내용이다. 당장 어느 학교에서는 놀이시간 축소, 동아리 활동 시수 감축 등을 하였다는 말도 있다. 학교의 여러 다양한 교육활동 위축시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필자가 근무하고 학교는 마을을 알고, 마을을 통해 배우고, 결국은 마을을 위한 시민으로 자라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몸으로 부디 끼며 배우는 교육의 효과도 너무나도 잘 알고 있다. 학교는 학생에게 직접 겪으며 살아있는 배움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책임감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많은 현장체험활동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소중함을 지킬 수는 없을까?
이게 법 하나로 모든 게 해결될 것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그래도 적극적으로 교사에게는 맘 편히 교육할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안전하게 배울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적극적으로 안전한 현장체험학습을 지원해 주는 법적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과도한 매뉴얼이나 안전사고 체크리스트 말고 실질적인 지원 말이다.
다시금 현장체험학습 가능 시대를 생각하며, 조속하고 실질적인 법적, 제도적 장치를 요구한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