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단칼럼] 김대중 대통령 탄생 100주년 기념: 김대중 대통령의 유산과 광주교육의 미래

@김경훈 대촌중앙초등학교 교사 입력 2024.11.05. 17:32
김경훈 광주 대촌중앙초등 교사

올해는 민주주의, 평화, 인권을 향한 한국의 여정에 기념비적인 인물인 김대중 대통령 탄생 10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김대중 대통령의 유산을 되돌아보는 것은 특히 그가 중요하게 생각했고 오늘날 광주 지역사회에 핵심 가치인 교육과 청소년 개발 분야에서 그의 공헌을 평가할 수 있는 심오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1924년 전라남도 작은 섬 하의도에서 태어난 김대중 대통령의 삶은 민주주의, 평화를 향한 끊임없는 추구로 정의되었습니다.

'아시아의 넬슨 만델라'로 알려진 그의 삶은 권위주의 통치에 대한 반항으로 수년간의 투옥, 망명, 암살 시도 등 고난으로 얼룩졌습니다. 이러한 장애물에도 불구하고 인동초라 불리는 그의 회복력은 그를 희망과 억압에 대한 저항의 상징으로 변모시켰습니다.

김대중 대통령의 삶과 비전은 1980년 광주에서 발생한 5·18민주화운동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권위주의 통치를 종식하려고 모인 평화시위대에 대한 잔혹한 탄압은 김대중 대통령에게 평생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해 싸우겠다는 그의 의지를 불태웠습니다.

김대중 대통령에게 광주의 투쟁은 불의에 맞서는 한국 국민의 회복력과 용기의 전형이었습니다. 5·18민주화운동의 비극은 민주주의가 시민 참여, 투명성, 인간 존엄성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구축되어야 한다는 그의 믿음을 확고히 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믿음을 가지고 결국 1998년 대통령 당선을 하였고, 이것은 한국 민주주의의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김대중 대통령은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교육을 국가 발전과 민주적 성장의 수단으로 삼으려고 노력했습니다. 그의 리더십 하에 한국은 공교육에 상당한 투자를 했습니다. 김대중 대통령은 교육시설 자원을 확충하고, 소외계층 학생들을 지원했으며, 비판적 사고와 시민적 책임을 강조하는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그의 개혁은 또한 디지털 자원 및 인터넷에 대한 접근성 향상과 같은 교육 분야의 기술 발전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여 지역 간 교육 격차를 더욱 해소했습니다.

2000년에는 김대중 대통령이 한국인 최초로 노벨평화상을 수상했습니다. 노벨평화상 수상은 한반도의 민주주의,인권, 평화를 위한 그의 평생 헌신을 전 세계가 인정한 것이며, 정의와 이해가 갈등보다 승리하는 세상에 대한 그의 비전을 기념했습니다.

이러한 위대한 업적을 거둔 김대중 대통령을 기념하기 위해 전라남도교육청은 김대중 100년 평화 페스티벌을 개최했습니다.

이러한 기념 정신에 더해 광주광역시교육청이 후원하는 제15회 김대중 정신 계승 글쓰기 대회도 열렸습니다. 미래를 만들어나갈 학생들이 글쓰기를 통해 평화, 민주주의, 사회 정의에 대한 이해를 표현하고 김대중 대통령의 가치에 대해 깊이 성찰하여 그의 비전이 생생하게 남아 있도록 해 줄 것입니다.

김대중 대통령 탄생 100주년은 한국 사회에 대한 그의 지속적인 공헌, 특히 민주주의, 평화, 교육에 대한 그의 헌신을 되돌아보게 합니다.

광주에게 이는 학생들이 사려 깊고, 참여하며, 행동하는 시민이 되도록 역량을 부여하는 교육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구축하라는 요청입니다. 현재 광주의 교육체제는 기회와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디지털 리터러시, 글로벌 인식, 기후 위기와 같은 새로운 문제는 광주의 교육 시스템이 김대중 대통령의 가치에 충실하면서 발전할 수 있는 영역입니다. 광주광역시교육청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그의 정신을 기리는 민주시민 교육을 강조하며, 사회적 불평등을 해결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합니다.

광주교육은 김대중 대통령의 비전을 전진시키고, 미래 세대에게 화합과 이해, 희망의 길을 밝힐 수 있습니다.

광주교육을 통해 우리는 그의 놀라운 삶에 경의를 표할 뿐만 아니라 그가 쟁취한 민주적 이상이 미래 한국의 생생한 일부로 남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추가로 김대중 대통령이 평화민주당 총재 시절 16년 만에 이루어진 고향 방문길 중 광주 망월동 5·18 민주화운동 묘역에서 행한 추모사 일부를 발췌한 글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5·18민주화운동 추모사

나는 80년의 군사 법정에서 이렇게 유언했습니다. "나는 이제 죽지만 다시는 이 땅에 정치 보복이 결코 있어서는 안된다." 죽음을 기다리는 최후 진술에서 정치적인 이유 때문에 사형을 선고하는 비극의 역사가 다시는 되풀이 되어서는 안된다고 말했던 것입니다.

나는 나에게 죽음을 강요했던 그들을 사랑할 수는 없으나 용서할 수는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춘향이의 맺힌 한은 이도령을 만나서 마침내 풀어지는 것이요, 심청이의 한은 심봉사가 눈을 떠야만 풀어지는 것입니다.

나는 선언합니다. 독재를 가능하게 한 제도는 결코 용서할 수 없지만 인간은 용서할 수 있습니다.

용서와 화해를 통해 이 나라에 진정한 민주화를 실현하는 일이, 집결된 국민의 힘으로 통일의 날을 앞당기는 일이 이 시대가 우리에게 부여한 가장 큰 소명입니다.

추운 겨울을 고통과 외로움으로 참고 이겨낸 인동초(忍冬草)가 해독제로 쓰이듯 나는 고난과 시련의 세월을 지나 오늘 나의 소중한 님들 앞에 서서 이 김대중의 모든 것을 바쳐 한 포기인동초가 될 것을 굳게 약속합니다.

광주는 오늘도 계속되고 있으며, 사랑하는 우리들의 고향 광주를 아직은 노래하지 않으리라고 절규한 시인의 고통의 깊이를 나는 이해합니다.

영령들이여, 부디 편히 잠드소서.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