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리버리 댄서의 선’ 작품 뒷 얘기
인공지능·게임엔진 등 활용 의미 설명
생성형 인공지능(AI)과 게임엔진으로 펼친 가상의 공간에서의 배달 라이더들의 삶을 담은 작품 '딜리버리 댄서의 선: 인버스'를 공개한 ACC 미래상 초대 선정자인 김아영 작가를 심층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는 대담회가 개최됐다.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가 지난 9일 오후 3시 ACC 문화정보원 극장3에서 'ACC 미래상' 첫 수상자이자 미디어아트 계에서 떠오르고 있는 김아영 작가의 전시와 연계한 '전시 대담'을 개최했다.
300여명이 들어설 수 있는 대담장은 시작 10여분 전부터 김 작가를 보기 위한 관객들로 발디딜 곳이 없을 정도로 붐볐다. 당초 2시간을 예상했던 날 대담은 관객들의 질문세례와 호응이 높았던 작품 뒷 이야기로 30분 정도 늦춰지기도 했다.
대담에서는 김작가가 생성형 인공지능과 게임엔진 등을 활용해 제작, 지난 8월부터 내년 2월까지 ACC 내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복합전시 1관에서 진행되는 '딜리버리 댄서의 선: 인버스'의 제작 과정과 작품에 담긴 의미, 시간과 공간, 근대성 등에 대한 심도있는 이야기가 오갔다. 또 지난 2007년부터 영상, 설치 등 다양한 언어로 작품 세계를 구현한 김 작가에 대한 이야기도 관객들의 호응을 이끌었다.
특히 김 작가와 함께 전시를 준비한 ACC 오혜미 학예연구사, 오래 전부터 김 작가의 작품 세계를 잘 알고 있는 싱가포르 아트 뮤지엄의 김해주 선임 큐레이터 등이 대담자로 참여하며 심오한 작품을 알기 쉽게 풀어냈다.
김 작가는 코로나 팬데믹 시절, 텅빈 거리를 누비던 배달 라이더들의 삶에 관심을 가지게 됐고, 실재하는 도로 위를 달리면서도 정신적으로는 네비게이션이라는 프로그램에 종속된 삶을 작품으로 구현하고자 했다. 그는 전작인 '딜리버리 댄서의 구'에서는 가상의 서울을, '딜리버리 댄서의 선: 인버스'에서는 실존하지 않는 가상의 세계 '노바리아'를 배경으로 배달 라이더들의 삶을 재해석했다.
그는 "달리는 장면을 구상할 때는 위상 수학에서의 '알렉산터의 뿔달린 구'라는 도형을 차용했다. 끝나지 않는 무한의 도형을 배달 라이더들이 무한히 달리는 도로 모형으로 구현했다. 작품 속의 다양한 장면을 구상할 때는 무용수들의 몸짓을 모션캡쳐하거나 AI로부터 쏟아지는 무수한 장면을 골라내는 작업, AI에서는 구현되지 않는 장면에 대해서는 게임엔진을 활용했다"며 "시간이 촉박해 밤샘 작업도 자주 했다. ACC 미래상을 수상하게 됐다는 것과 전작을 뛰어넘는, 하지만 이어지는 이야기를 구현하기 위해 다른 나라도 직접 가보는 등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작품이 전시됐을 때는 '해냈다'는 마음에 안도감이 컸다"고 전했다.
오혜미 큐레이터는 "김 작가를 오래 알았는데 10여년 전의 관심들이 이어지고 있는 것 같았다. '모든 북극성' 작품에서도 별자리의 관계를 구성했던 평면작업이 있었는데 이번 작품에도 해시계와 별자리를 차용한 것이 인상적이었다"면서 "사운드와 평면, 영상으로 시간을 재구성한 이번 작품을 보니 과거 김 작가의 작품이 하나씩 떠올랐다. 앞으로의 작품도 기대가 된다"고 말했다.
앞서 김 작가는 ACC 미래상 첫 수상자로 선정됐다. ACC 미래상은 혁신적인 미래 가치를 가능성을 확장시킨 창조적인 예술 언어 생산자를 발굴하고자 제정됐다. ACC는 격년제로 수상자를 선정한다.
한편 '딜리버리 댄서의 선: 인버스'는 가상의 공간 '노바리아'에서 배달기사로 만난 두 주인공이 소멸된 시간관을 담은 유물을 배달하는 과정에서 겪는 새간의 충돌을 과감하고 새롭게 그려낸 작품이다. 해당 전시는 영국 서펜타인 갤러리 예술감독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 베를린 신국립미술관장 클라우스 비센바흐, 영국 미술평론가 루이자 벅, 도쿄 모리미술관장 마미 카타오카 등으로부터 꼭 봐야할 전시로 뽑히기도 했다. 지난 3일 기준 4만 8천500여명의 시민이 관람했다.
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김아영 작가 수상전 관람객 8만명 '북적' 김아영 작가의 '딜리버리 댄서의 선: 인버스' 작품 속 장면. ACC 제공 김아영 작가의 '딜리버리 댄서의 선: 인버스' 전시가 폐막 한 달을 앞두고 있다.게임엔진과 생성형 인공지능(AI)를 활용한 다채널 영상을 활용해 시공간을 넘나드는 주인공의 이야기를 다룬 30여분의 스토리를 그려낸 이번 전시에만 8만여명의 관람객들이 다녀가며 그 인기를 실감케하고 있다.13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에 따르면 ACC 최대 전시관인 복합전시1관(1천560㎡ 규모)을 가득 채운 김아영 작가의 신작 '딜리버리 댄서의 선: 인버스'가 오는 2월16일 폐막한다.김아영 작가의 '딜리버리 댄서의 선: 인버스' 작품 속 장면. ACC 제공지난 5일 기준 8만118명이 다녀간 이번 전시에서 김 작가는 서구 근대화 과정에서 사라진 수많은 전통적 역법과 시간관에 주목했다.시간과 역법의 공용화는 근대화와 글로벌화 과정에서 발생한 제국주의와 정치권력의 상호작용과 관계한다.작품은 서구 근대화 이후 사라져가는 여러 문화권의 전통적 우주론과 시간 체계를 소환하며, 이를 현대미술의 내러티브로 복원하려는 작가의 시도를 3채널 대형 영상에 담아냈다.김 작가는 역사와 정치 등 근현대사에 관삼이 많으며, 실재와 환영, 미래의 도상들을 담은 영상, 퍼포먼스 등을 통해 국내·외 예술계에서 큰 주목을 받는 인물로 손꼽히고 있다.김아영 작가의 '딜리버리 댄서의 선: 인버스' 작품 속 장면. ACC 제공전편인 '딜리버리 댄서의 구'에서 가상 세계 속 서울을 질주하며 시간 지연 현상과 내비게이션의 미로에 빠졌던 두 주인공인 에른스트 모와 엔 스톰은 이번 작품에서 새로운 가상 도시에 놓인다. 에른스트 모는 우연히 소멸된 것으로 알려진 과거의 시간관이 담긴 유물들을 배달하게 되면서, 서로 다른 시간관과 세계 사이를 오가는 사회의 충돌과 갈등을 파고든다. 전시 제목에서 '선(Arc)'은 해시계와 작품 속 달력 판의 곡선, 호의 형태를 차용한 것으로 시간선을 상기함과 동시에 시간과 공간, 인간과 역사, 탈주하는 공간을 연결하는 통로를 연상시킨다.김아영 작가의 '딜리버리 댄서의 선: 인버스' 작품 속 장면. ACC 제공'인버스(Inverse)'는 반비례의 관계를 뜻하거나 물리학에서 속도의 역수로서 시간을 암시하는데, 긴박한 속도의 경쟁으로 인해 발생하는 또 다른 시공간과 그 간극에 수많은 세계가 서로 공존하고 있음을 함의하고 있다. AI를 활용한 제작과정에서 생성된 미사용 이미지를 1분30초간 무작위로 상영하는 '파열의 구간'은 매 전시마다 다른 른 화면이 상영되며 관람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다.앞서 해당 작품을 보기 위한 국내·외 미술계 인사들의 방문도 잇따랐다. 영국 서펜타인 갤러리 예술감독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와 베를린 신국립미술관장 클라우스 비센바흐, 영국 미술평론가 루이자 벅, 도쿄 모리미술관장 마미 카타오카 등이 '꼭 봐야할 전시'로 꼽거나 SNS에 관람 후기를 남기기도 했다.김아영 작가 프로필 사진. ACC 제공김 작가는 지난해 ACC 미래상을 수상하며 이번 전시 기회를 얻었다. ACC 미래상은 ACC가 혁신적인 미래가치와 가능성을 확장한 창조적 예술 언어의 생산자를 발굴하기 위해 제정한 융·복합 예술 분야 수상제도다. ACC는 새로운 예술적 사고와 가능성을 제시하는 작가 1인(팀)을 선정해 지난해부터 격년제로 수상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2회 수상자는 2026년 선정된다.ACC를 방문하면 김 작가의 전시 외에도 다양한 전시를 관람할 수 있다.'구본창: 사물의 초상' 포스터. ACC 제공지난 2015년 고 박조열 작가가 ACC에 기증한 '오장군의 발톱'과 '토끼와 포수' 등 희곡 초고를 비롯한 각종 저술과 다수의 공연 기록물을 전시하는 '박조열과 오장군의 발톱' 전시는 3월23일까지 아시아문화박물관 기획전시실2에서 관람할 수 있으며, 세계적인 아시아 현대미술 거장을 소개하는 개인전 형식으로 새롭게 탈바꿈한 ACC 포커스에 초대된 '구본창: 사물의 초상' 전시는 3월30일까지 복합전시 3·4관에서 만나볼 수 있다.'박조열과 오장군의 발톱' 포스터. ACC 제공한편 김 작가는 '딜리버리 댄서의 구' 작품으로 2023년 오스트리아의 '프리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뉴 애니메이션 아트 부문 골든 니카상을, 일본의 제37회 '이미지 포럼 페스티벌' 테라야마 슈지상을 수상했다. 또 2019년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 후원작가, 2015년 문화체육관광부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을 수상했다.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 '대중성·화제성' 두마리 토끼 잡는다
- · 시민참여 행사·굵직한 전시···관객 발길 '유혹'
- · '모두의 도원' 전시, 중국 팬심 잡는다
- · 아시아·K-문화 선도···'핫스팟' 자리잡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