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월 연속 할인 이벤트 등 판촉강화
‘10만대 규모’경차시장 영향 분석도

'경차 시장'을 부활시킬 거라는 기대를 불러왔던 '캐스퍼'가 급작스러운 판매 부진에 빠졌다.
캐스퍼가 '1호 상생형 일자리'인 광주형 일자리를 상징하는 마중물인 만큼 캐스퍼의 부진을 두고 벌써부터 일각에서는 광주형 일자리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을 정도다. 잘 팔리든, 안 팔리든 꾸준한 관심을 받고 있는 셈이다.
13일 현대차 등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캐스퍼의 지난 1월 판매량은 3천70대로 국내 자동차 판매 순위 15위를 기록했다. 12월 3천509대에 이어 판매량이 두 달 연속 3천대 수준에 그쳤다.
앞선 11월 5천573대(7위)가 팔렸던 캐스퍼는 한 달 만에 판매량이 2천64대가 줄어들었다.
이는 지난해에만 4만8천 2대가 팔렸던 캐스퍼의 월평균 판매량 4천대에도 못 미치는 실적이다.
단순 계산으로 지난해 광주글로벌모터스(GGM) 생산량이 5만대를 넘겼다는 점을 감안했을때 2천여대 가량이 재고로 남았다는 이야기다. 올해도 4만5천대 생산 예정이라는 점에서 현재 같은 수준의 판매량을 유지한다면 매달 200여대가 재고로 쌓인다는 의미기도 하다.
반면 경쟁 차종인 기아 레이의 경우 11월 4천98대(10위), 12월 4천309대(12위), 1월 3천585대(11위)로 캐스퍼를 두 달 연속 제치는 데 성공, 경차 부문 판매량 1위에 올랐다.

캐스퍼의 갑작스러운 판매 부진 이유에 대해선 '경차 치고는 비싼 가격', '협소한 경차 시장 한계' 등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해 10월 상품성 강화 모델인 신규 트림 '디 에센셜'을 1천690만원에 내놓긴 했지만 판매가격(1천375만~1천960만원)이 레이(1천350만~1천815만원)보다 높은 상황이다. 여기에 연간 10만 대 정도로 추정되는 경차시장이 경기 침체 등의 여파를 타고 더 커질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생각만큼 늘지 않을 것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지난해 국내 경차 판매량은 13만3천여대로 3년 만에 '10만대'벽을 돌파했지만, 판매량이 급감한 모닝, 단종을 선언한 스파크 등 경쟁차종의 추락이 이어지면서 경차 시장이 축소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 11월부터 캐스퍼 할인 이벤트를 꾸준히 전개해오는 등 캐스퍼 판매에 상당한 공을 들이고 있다.
지난 1월 최대 150만원 할인 이벤트에 이어 이달에도 최대 100만원 할인 이벤트를 이어가고 있는 현대차는 광주시청 직원을 대상으로 10% 할인 이벤트를 실시하는 등 캐스퍼 판매 실적 개선에 집중하고 있다.
지역에서도 광주형 일자리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선 캐스퍼가 순항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한다는 여론과 함께 단일차종만 생산하는 GGM의 중장기적 관점의 대책을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속적인 할인 이벤트를 이어간다는 것은 판촉을 강화해 차량을 판매하겠다는의지가 강하다는 의미"라며 "각종 경차 혜택과 저렴한 유지비 등 경차를 구매할 계획이 있다면 이왕이면 지역에서 생산되면서 할인까지 받을 수 있는 캐스퍼를 선택하는 것도 좋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GGM풀가동했지만···캐스퍼 대기물량만'1만5천여대' 광주글로벌모터스 생산라인에서 조립 중인 캐스퍼EV. GGM 제공생산대기물량 1만 5천여 대.광주글로벌모터스(이하 GGM)에서 생산 중인 캐스퍼 내연차와 전기차의 백오더(고객이 주문한 제품이 일시적으로 재고가 부족해 즉시 출하할 수 없는 상태)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현대자동차의 올해 생산물량의 대부분을 전기차인 캐스퍼 일렉트릭에 집중한 데다 그 물량의 대부분을 해외수출 물량으로 설정하면서 국내 출고기간이 최장 22개월에 이르는 등 일종의 '품귀현상'이 빚어지면서다.12일 GGM에 따르면 현대차와 올해 계약물량인 5만 6천800대 중 전기차인 캐스퍼 일렉트릭을 4만 7천700대(84%)를 생산하며 내연차량은 전년보다 2만 2천100대 줄어든 9천100대(16%)를 생산할 예정이다.특히 캐스퍼 일렉트릭의 경우 생산물량의 89.9%인 4만 2천900대 가운데 유럽에만 4만 대를 수출하는 등 수출용으로 생산되고 있다.세계 3대 자동차상인 월드카 어워즈서 포르쉐마칸 일렉트릭 제치고 '올해의 전기차'로 선정되는 등 세계시장에서 가성비 전기차로 호평을 받으면서 GGM은 현재 수출용 전기차 생산에 집중하고 있는 모양새다.하지만 수출용 생산에 사실살 올인하면서 내수용 출고 기간은 갈수록 길어지고 있는 상황이다.상대적으로 국내에서 인기가 높은 내연차량의 경우 출고기간이 1년 이상 걸리는 경우도 늘고 있으며 일부 옵션 차량의 경우 최장 22개월이 걸리는 등 내수용 내연기관차량과 전기차 모두 생산 적체를 빚고 있다.현재 GGM의 백오더 물량은 가솔린 내연차량 9천500대, 전기차 5천400대 등 1만 4천900대에 이른다.생산량을 늘리면 출고대기기간이 줄어드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문제는 GGM의 가동률이 이미 100%라는 점이다.일각에서 노조 파업으로 생산량이 줄어든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지만 실상 GGM 생산라인은 노조파업 영향없이, 일명 '빡세게' 돌아가고 있다.주간 1 교대 체제인 GGM은 '1 교대 시간당 생산 대수'(UPH)를 1대 상향 조정하고 토요일 특근(월 3회 8시간)까지 늘리는 등 상반기 생산 목표를 2만 8천300대에서 2만 8천650대로 상향조정했다.근로자들도 화요일과 목요일 잔업 2시간, 그리고 월 3회 토요일 특근 등 사실상 쉴 새 없이 생산하고 있지만 대기 물량이 줄어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이에 지난해 무산된 2교대 생산체제에 대한 아쉬움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GGM은 지난해 현대차와 2교대 체제를 위한 인원 300명을 추가 고용하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올 초 노조의 파업과 반대로 무산되고 말았다.2교대 체계 구축 시 연간 8~9만 대 생산체제를 구축할 수 있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대기물량 1만 5천대도 차질 없이 생산이 가능했다는 계산이 나온다.최근 GGM노조 측이 현대차를 상대로 2교대 체제 구축을 요구하고 나섰지만 현대차 측에서 2교대 논의를 재개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라는 비판이 나온다.GGM관계자는 "지난해 추진했던 2교대 체제가 정상적으로 추진됐다면 지금 같은 적체 현상은 빚어지지 않고 생산직 직원들도 한숨을 돌릴 수 있었을 것 같아 아쉽기만 하다"며 "현재로선 계약된 물량을 정상적으로 생산하는데 주력하고 있다"라고 전했다.지역경제계 관계자는 "당시 2교대만 성사됐다면 현대차가 수출용 생산을 위해 지금처럼 극단적으로 내수용 생산을 줄이지 않았을 것"이라며 "GGM이 지역 청년들의 양질의 일자리를 더 많이 창출하고 보다 안정적인 체제를 유지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친 것 같아 너무 안타깝다"고 말했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 해외이전설 '솔솔'...금호타이어, 지역 재건 힘모아야
- · 작지만 강력하게···정숙은 기본
- · 대명 엘리베이터, 지역 승강기업체 최초'조달우수제품' 지정
- · 영무건설 "법정 관리 신청 영무토건과 별도 법인"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