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민간인에 끌려다니는 문체부 옛 도청 복원 추진단

입력 2025.02.06. 08:20 박승환 기자
5·18 대표성 없는 민간인 A씨
해외 사례조사 3차례씩 참석
별도 사무실 제공받는 특혜에
사업 개입하는 옥상옥 논란도
문화체육관광부 옛 전남도청복원추진단이 민간인 A씨에게 제공한 사무실.

5·18민주화운동의 상징 옛 전남도청 복원사업을 진행 중인 '문화체육관광부 옛 전남도청복원추진단(이하 추진단)'이 민간인 한 명에 끌려다녀 논란이다.

5·18에 대한 대표성이 없는 이 민간인이 해외 사례조사에 참석하는 인원을 구성하는 등 추진단을 쥐락펴락해 내부 전시콘텐츠가 기대에 못 미칠 수밖에 없었다는 지적이다.

5일 무등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추진단은 옛 전남도청 내부를 채울 전시콘텐츠 설계·제작에 참고하기 위해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총 1억6천300만여원을 들여 '옛 전남도청 복원지킴이 어머니(이하 복원지킴이 어머니)' 8명과 함께 총 4차례에 걸쳐 중국, 프랑스, 폴란드, 독일, 헝가리, 영국, 미국 등의 박물관이나 기념관을 찾아 사례조사를 진행했다.

문제는 복원지킴이 어머니 중 A씨가 해외 사례조사에 3차례나 참석했다는 점이다. A씨는 남편이 5·18부상자회 회원일 뿐 자신이 5·18민주유공자는 아니다. 당시 복원지킴이 어머니 사이에서는 해외 사례조사에 참석하려면 추진단이 아닌 A씨에게 문의해야 한다는 말까지 돌았다.

더 심각한 것은 A씨가 추진단으로부터 특혜도 받고 있다는 점이다.

추진단은 지난 2023년 7월 전일빌딩245 4층 사무실 앞 창고(15.45㎡)를 광주시로부터 추가 임차해 A씨에게 제공했다.

A씨가 복원 공사 시작으로 인해 농성을 벌이던 옛 전남도청 별관 1층에서 퇴거하면서 "공사가 끝날 때까지 사업을 지켜볼 공간이 필요하다"고 요구했기 때문이다.

추진단은 A씨에게 사무실을 제공한 적 없다고 했지만 광주시에 문의한 결과 창고를 추가로 빌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더해 최근에는 김성 광주전남언론인회 회장이 추진단이 아닌 A씨에게 보도검열관실 복원을 요청하면서 '옥상옥' 논란도 키웠다.

김 회장은 반민주적인 보도검열의 위험성을 알려야 한다며 보도검열관실을 만들어달라고 했지만, A씨가 '원형 복원'이라는 원칙이 있기 때문에 사진 자료를 가져오라며 김 회장의 요구를 거절했다.

이에 대해 A씨는 "복원지킴이 대표로서 당연한 일을 했을 뿐이다"며 "해외 사례조사를 가서도 공항에서 가족들 선물도 못 사다 줄 정도로 매일매일 열심히 회의했다"고 반박했다.

이와 관련 익명을 요구한 한 5·18 관계자는 "옛 전남도청 복원은 복원지킴이 어머니뿐만 아니라 그 당시 광주시민 모두의 노력이 만든 결과다"며 "A씨가 5·18과 관련해 마치 대표성이라도 가진 것처럼 행동한다. 정부기관인 문체부가 질질 끌려다니는 게 이해가 안 된다"고 말했다.

글·사진=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7
후속기사 원해요
19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6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