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회복 시간 단축·흉터 최소화…환자 만족도 향상
![](http://www.mdilbo.com/lib/thumb.html?type=file&w=620&src=202401/08/20240108160532569596.jpg)
화순전남대학교병원이 최첨단 4세대 로봇수술 장비 '다빈치 SP'를 도입했다.
화순전남대병원은 호남지역에서 유일하게 '다빈치 SP'와 '다빈치 Xi' 2대를 보유해 전국 최고 수준의 로봇수술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8일 밝혔다.
다빈치 SP 시스템은 2.5㎝의 단일통로를 통해 움직임이 자유로운 1개의 카메라와 3개의 다빈치 기구가 좁고 깊은 조직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3D 카메라에 관절이 추가돼 수술 부위를 자유롭게 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등 더 좁고 깊은 공간에서 우수한 시야 확보와 세밀한 수술이 가능하다.
작은 절개창으로 흉터를 최소화해 미용적 만족도가 높다. 수술과 회복 시간도 단축해 합병증도 적으며 일상 복귀가 빠르다는 장점도 있다.
화순전남대병원은 기존 '다빈치 Xi'의 증명된 안전성과 효과를 바탕으로 '다빈치 SP'를 동시에 운영, 고난도 로봇수술을 확대 시행하고 맞춤형 치료를 통해 환자들의 만족도를 높여나간다는 방침이다.
또 지난 2021년 복강경 및 로봇을 이용한 전립선암 근치적 전립선절제술 최소침습수술 2천례를 달성한 비뇨의학과를 비롯해 내분비외과, 대장항문외과, 간담췌외과, 위장관외과, 흉부외과, 산부인과 등 다양한 진료과에 로봇수술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화순전남대병원은 지난 2009년 광주전남 최초로 수술용 로봇 '다빈치 S'를 도입하고, 2019년 최첨단 신기술 시스템 '다빈치 Xi' 모델로 교체했다.
로봇수술 건수는 매년 증가해 2020년 150건에서 2021년 302건, 2022년 339건을 달성했다. 2023년에는 총 357건의 로봇수술을 시행했다. 특히 대장항문외과 김창현 교수가 지난해 12월 28일 '다빈치 SP' 첫 번째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치며 의료진의 로봇수술 능력도 입증해냈다.
정용연 화순전남대병원장은 "다빈치SP 도입은 로봇수술이 수도권에만 집중된다는 인식을 바꾼 것과 더불어 지역의 의료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며 "화순전남대병원 의료진들은 높은 로봇수술 숙련도를 통해 적극적으로 암 치료를 시행하고 있으며 환자들의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앞으로 환자들이 최고의 로봇수술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
조선대병원, 전문약사 자격시험 응시자 5명 전원 합격 조선대병원 전경. 조선대병원은 국가 공인 법제화 이후 지난해 12월 23일 처음으로 시행된 '제1회 전문약사 자격시험'에 5명이 응시해 전원 합격했다고 31일 밝혔다.전문약사는 장기이식, 노인, 정맥영양 등 해당분야의 약물요법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을 갖춘 임상 약사다.이번 제1회 전문약사 자격시험은 '전문약사의 자격 인정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9개 과목(내분비, 노인, 소아, 심혈관, 감염, 정맥영양, 장기이식, 종양, 중환자)에 대해 이뤄졌다.조선대병원 약제부는 이번 시험을 통해 장기이식(장혜영 약제부장), 노인(박선희 약무팀장), 정맥영양(김소영 약사), 종양(오재기 약사), 감염(김혜미 약사) 5개 분야의 전문 약사를 보유하게 됐다.조선대병원은 해당 전문약사들이 각 분야 다학제팀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전문적인 맞춤형 약물요법 및 복약상담 등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장혜영 조선대병원 약제부장은 "5명의 약사가 지원해 전원 합격하게 돼 매우 기쁘다"며 "앞으로도 전문약사가 충분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환자가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물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한편 '제1회 전문약사 자격시험'은 총 481명의 약사가 합격했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 · '콜록콜록' 겨울철 독감 '주의보'···"손 씻기 등 개인위생 관리"
- · 조선대병원, 응급실 전용 '최고사양 CT' 도입
- · 찬바람에 시큰거리는 손발··· "날씨 때문 아냐"
- · 광주 환자 34% '원정 진료'···전남 '의료 인프라 취약' 원인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