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운용·역할 매우 유사…도로 인프라도 공유
市 부서 달라 예산 낭비·행정력 비효율 '부작용'
서울·대전 등 주요 도시, 보행까지도 통합 관리

광주시와 자치구가 자전거와 개인형 이동장치(PM·Personal Mobility)를 각각 다른 행정 부서에서 관리하면서 비효율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온다.
예산 낭비는 물론 시민들의 혼란이 가중된다는 비판이다. 자전거와 PM은 기능적으로나 운용 면에서 매우 유사한 교통수단이고, 인프라 이용과 교통 규제 방식도 비슷해 통합 관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받는다. 특히 광주시가 대중교통과 자전거, 보행 중심(대·자·보)의 도시 환경으로 전환하는 데 중점을 찍고 있는 만큼, 행정조직을 합리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자전거와 PM, 부서 달라 '비효율'
2일 광주시 행정조직을 살펴보면 자전거와 PM을 별개의 부서에서 담당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구체적으로 통합공항교통국 도로과에 자전거 정책·관리를 담당하는 '자전거팀'을 두고 있다. PM은 통합공항교통국 내 교통운영과 보행교통안전팀에서 담당하도록 했다.
광주시 5개 자치구도 크게 다르지 않은 상황이다. 각 자치구는 자전거는 도로과에서, 전동킥보드(PM)는 교통 관련과에서 담당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광주시와 각 자치구의 이 같은 행정 구조에 대해 비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자전거와 PM은 기능, 역할, 운용 방식, 도로와 주차장 등 인프라 공유 등에서 매우 유사하다. 대중교통을 보완하는 단거리 이동에 최적화된 '개인형·친환경 교통수단'이라는 점에서도 역할이 일치한다. 자전거도로를 공유하고, 자전거도로가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는 도로의 우측 가장자리에 붙어서 통행해야 한다는 점 등 교통 규제 방식도 비슷하다. 주차 방식 또한 같다.
그런데도 행정 부서가 다르다 보니 정책 중복과 예산 낭비가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대표적인 게 주차장 조성 사업이다. 광주시와 각 자치구는 지난해부터 전동킥보드(PM) 무단 방치를 막는다는 이유로 전용 주차장을 만들고 있다. 이미 광주시에는 자전거 거치대에 더해 타랑께(광주시 공공자전거) 주차장까지 있음에도 '전동킥보드' 전용 주차장을 만든 것이다. 애초에 자전거와 전동킥보드(PM)를 함께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할 수 있음에도 행정 체계가 달라 일어난 일이다.
특히 서구 화정1동은 지난해 무려 2천만원을 들여 전동킥보드 주차장 6개를 조성하기도 했다. 광주시가 각 자치구를 통해 보급한 전동킥보드 주차장(50만원)에 비해 터무니없이 큰 비용이다. 예산 낭비는 물론이거니와 가뜩이나 좁은 보행로에 각기 다른 주차장을 설치하면서 보행자의 불편은 배가 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시민 입장에서도 다를 바 없는 교통수단인데도 행정 체계가 분리되면서 시민들은 혼란과 불편을 겪고 있다.
전남대 재학생 정해균(23) 씨는 "전남대 광주 캠퍼스 안에는 자전거와 PM을 함께 주차할 수 있는 곳이 있지만, 캠퍼스 밖에는 PM 주차 구역을 찾기도 어렵다"며 "그마저도 전기자전거는 어디에 주차해야 할지 몰라서 혼란스럽고, 대체로 전동킥보드 주차장에 함께 둔다"고 말했다.

◆주요 도시는 '통합'이 대세…내부 직원도 '의문점'
공공자전거와 PM이 활성화돼 있는 도시를 살펴보면 자전거와 PM 행정 체계가 통합돼 있다. 특히 보행은 물론 자전거정책, 자전거도로, PM을 한 과에서 통합적으로 구축한 게 눈에 띈다.
대표적으로 '따릉이'로 유명한 서울시를 살펴보면, 교통실 교통운영관 내 보행자전거과에서 자전거와 PM에 대해 각각 팀을 두고 정책을 수립하고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보행자전거과는 보행자전거팀, 공공자전거팀, 개인형이동장치팀 등 7개 팀으로 구성됐다.
공공자전거(타슈)가 선진도시로 분류되는 대전시 또한 보행과 자전거, PM에 대해 통합 행정체계를 갖추고 있다. 구체적으로 철도건설국 보행자전거과 내 보행정책팀과 자전거팀을 두고 있다. PM은 자전거팀에서 담당한다. 실제 대전시는 공공자전거 주차장(타슈 스테이션)과 PM 주차장을 통합해 운영한다. 행정 조직에 따라 실제 현장의 '비효율'이 줄어드는 사례로 풀이된다.
광주시 내부 담당 직원들조차 자전거와 PM을 같은 부서에서 관리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광주시 통합공항교통국 관계자는 "다른 시·도에서는 자전거와 PM을 한 팀(부서)에서 관리하는 걸로 알고 있다"며 "광주시는 아무래도 과가 다르기 때문에 이해관계 문제도 얽혀서 통합적인 정책과 관리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하나의 부서에서 통합해 관리하면 정책과 예산, 인력 운영 측면에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대·자·보 '중점' 찍은 광주시, 조직 개편 고민 必
전문가는 자전거와 PM이라는 두 교통수단의 특성과 정책 목표가 유사한 점을 고려할 때 통합 관리가 필수적이라고 입을 모은다. 나아가 보행 환경까지도 유기적인 행정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조언한다.
특히 광주시가 대중교통과 자전거, 보행 중심의 도시 환경으로 '대전환'하는 추세에 맞춰 보행·자전거·PM을 포괄하는 조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강하다.
윤희철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장은 "(대·자·보라는) 정책이 있으면 그걸 수행하는 조직이 있어야 하는데, 광주시는 현재 수행 조직이 없고 각 기능을 구분해 놓은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어 "자전거에 대한 고민은 있다고는 하지만 자전거 도로를 조성하는 데 (조직 중점이) 있다 보니 자전거에 대한 행동 패턴이나 일종의 안전교육과는 상관 없이 도로를 어떻게 만들지에 대한 환경 조성에만 관심이 있다는 걸 보여준다"며 "특히 PM은 광주시가 관심이 없으니 전담하는 직원조차 없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윤 센터장은 "광주시의 정책 지향점이 드러나는 조직 체계가 만들어졌을 때 공무원들도 그것을 인식하고, 시민들도 광주시가 대자보를 추진하고 있구나라는 걸 볼 수 있다"며 "이른바 '대·자·보국'이 필요한 이유"라고 설명했다.
실제 의정부시는 지난해 '걷고싶은도시국'을 신설하고 그 아래 도시디자인과를 비롯해 도로조성과, 도로관리과, 도시정원과, 생태하천과 등을 두고 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자전거는 띄우고, 킥보드는 단속? 광주지역 '이중' 잣대 PM(전동킥보드 등) 이용자가 많은 전남대학교는 자전거 거치대에 PM을 함께 주차할 수 있도록 하면서 무분별한 공유 PM 방치를 막고 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광주시와 자치구가 '탄소중립 도시'와 자동차 의존 탈피를 기치로 자전거 이용을 적극 장려하고 있지만 정작 친환경 이동수단인 공유형 개인형이동장치(PM)에 대해서는 강도 높은 규제를 이어가고 있어 정책 일관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는다.PM 주차장이 턱없이 부족하다보니 무분별하게 방치될 수밖에 없는 현실에도 주차장 확대보다는 '눈에 보이는' 단속에 집중하면서 자칫 친환경 이동수단인 PM의 설 자리를 앗아갈 수 있다는 우려다.특히 인프라 구축 없이 강한 규제만 하다보면 고스란히 승용차 없는 청소년과 청년층의 이동권만 위축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주차장 확충 뒤 규제 확대나 GPS 기술을 통해 특정 구역에만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온다.◆대책 없이 '철퇴' 꺼내든 지자체광주 서구는 최근 시민 보행환경을 방해하는 민간업체 공유 PM(전동킥보드 등)에 대해 강하게 견인할 방침을 밝혔다. 이를 위해 3개조 6명으로 구성한 '견인반'을 편성해 가이드라인에 맞지 않은 PM을 견인 조치할 계획이다. 차도나 버스정류장·횡단보도 등 5m 이내, 교차로 모퉁이 등이 견인 대상 지역이다. 업체에 통지한 후 30분 이내에 수거하지 않으면 견인한 뒤 견인료와 보관금을 물겠다는 방침이다.서구에 앞서 남구와 광산구도 PM 주차 단속을 강화한 바 있다. 광주 자치구 가운데 선제적으로 대응한 남구는 지난해 하반기 대대적인 단속에 나섰다. 이에 어려움을 겪은 민간업체에서는 남구에서 운영하는 PM 운영 대수를 250대에서 100대 미만으로 줄였다. 대표 공유 PM 업체 중 한 곳인 카카오바이크는 아예 광주에서 철수하기도 했다. 광주에는 현재 총 6천100여대가 운영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그러나 지자체들은 정작 PM 방치의 근본 원인인 '주차장 확보'에는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무등일보가 파악한 결과, 지난해 12월 말 기준 광주 전체 PM 주차장은 106개소에 불과하다. 자치구별로 보면 북구 50개소, 서구 36개소, 남구 20개소에 그쳤다. 동구와 광산구는 아예 단 한 곳도 없다. 광주시에서 PM 주차장을 조성하라고 교부금을 줬음에도 반납해서다. PM을 교통 수단으로 전혀 고려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더군다나 올해에는 광주시에서 관련 교부금이 내려오지 않으면서 자치구들이 신규 설치 계획조차 세우지 않았다. 2024년에는 광주시에서 PM 주차장 1곳당 50만원을 편성해 교부했다.◆단속에 '혈세'…주차장 확충은 외면또 다른 문제는 지자체가 PM 주차장 마련에는 손 놓으면서 정작 단속에 애먼 돈을 쓰고 있다는 점이다.예를 들어 서구는 올해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PM 견인 전담 직원을 채용할 계획이다. 관련 예산으로 1천400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서구청 관계자는 "사고 위험성이 있는 지역에 주차된 PM을 견인하기 위해 기간제 직원 2명을 채용하려 한다"고 밝혔다.지난해 서구가 PM 주차장(노면 표시형) 한 곳을 새롭게 설치하는 데 50만원이 들었다는 점에서 주차장 28곳을 설치할 수 있는 돈이다. 기존 자전거 거치대를 PM으로 공동으로 이용토록 하면 훨씬 더 많은 PM 주차장을 만들 수 있다.다만, 지자체가 PM에 대해 정책적 인지가 낮은 상태에서 주차장과 같은 인프라 확충보다 규제를 우선시하는 모습은 전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화성시는 지난해 7억5천만원의 예산을 편성해 PM 주차존 500곳을 설치했다. 대신 전용 주차장 외에 있는 주·정차 위반 PM에는 계고장을 발부하고 견인하는 정책을 시행 중이다. 뉴시스인천 연수구는 올해 2월3일부터 도로교통법상 주정차 금지구역에 주차된 공유 PM에 대해 강도 높게 단속하며 20일만에 총 1천2건을 견인했다. 그러면서 PM 업체 1곳이 전면 철수했고, 공유 PM도 3천700대에서 3천100대로 감소되는 결과로 이어졌다.서울시 자치구들 또한 올해 PM 견인을 위해 대규모 예산을 편성하기도 했다. 성동구는 2억2천800만원을, 용산구는 2억4천만원을 편성하면서 PM 단속에 열을 올리는 상황이다. 아예 마포구는 일부 거리에 대해 '킥보드 없는 거리'를 시범운영한다.지난해 말 기준 서울시 내 PM 전용 주차장은 280곳이다. 그에 반해 서울에서 운영 중인 PM은 4만대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공공자전거 따릉이의 경우 총 4만3천대를 운영하는데, 2천760개의 주차장을 운영 중이다.◆규제 전 인프라 확충 필요…"기술적 접근을"이와 달리 첨단 모빌리티로 분류되는 PM에 대해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지자체도 있다. 견인 정책 우선주의를 내세우기보다는 우선적으로 주차 인프라를 확충하거나 GPS 기술을 활용해 시민, 이용자, 업체가 공생하는 방식이다.화성시는 주차장 확충 후 무단 주차에 대해 강하게 규제하면서 관심을 끈다. 화성시는 지난해 PM 이용이 많은 동탄지역(6천여대)을 중심으로 500여곳의 PM 주차장을 설치했다. 내년까지 주차장을 3천곳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대신 올해부터 무단 방치된 PM에 대해서는 강한 단속을 동시에 실시했다. 동탄지역이 PM 주 이용자층인 젊은층이 많다는 점에서 적극 행정을 펼치는 것으로 분석된다.대구시는 PM 업체와 협력해 '가상 지정주차제'를 시범 운영했다. GPS 기술을 활용해 지정된 주차구역에만 PM을 주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체계다. 이렇게 할 경우 물리적으로 주차 시설을 만들지 않고도 무분별하게 방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 결과 시범운영한 지역에서 주차 준수율이 최고 85%까지 올라간 것으로 파악됐다.광주 서구는 공유 PM(전동 킥보드)에 대해 강한 단속에 나섰지만, PM 주차장은 겨우 36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내 수많은 자전거 거치대를 활용해 PM 주차구역을 만들 수 있음에도 사실상 정책적으로 방치하는 실정이다. 서구 관내 한 자전걱 거치대에 '두바퀴로 실천하는 환경사랑'이란 슬로건이 눈에 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전문가들은 PM을 포함한 모빌리티 다양화는 도시 교통의 흐름이며 자전거·PM을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강도 높은 단속 이전에 민간 업체와 협업을 통한 기술적 접근을 통해 편의성과 사회적 수용 두마리 토끼를 잡아야 한다고 지적했다.오용석 대구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처장은 "전기에 기반한 작고 가벼운 PM은 교통수단으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고, (이용 방식과 인프라를 공유하는) 자전거와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해 접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이어 "사실 PM 주차가 이용 편의성 측면에서 높지만, 어디서나 주차할 수 있다는 편의성이 도시 미관을 해치거나 주차 관리가 안 되는 식으로 문제가 된 부분이 있다"며 "이용자들의 편의성과 이를 이용하지 않는 시민들의 수용할 수 있는 적정한 수준을 절충할 수 있도록 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자전거 거치대에만 PM을 주차할 수 있도록 한 일본의 사례처럼 기술적 접근을 도입해 PM을 편리하고 안전하고,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 광주 공공자전거, 따로국밥 운영에 세금만 줄줄
- · 따로 노는 광주 자전거·PM·대중교통, 통합 플랫폼이 해법
- · 악마로 몰린 전동킥보드···'주차 문제' 풀어야 산다
- · 자전거·PM vs 보행자·자동차 '싸움터' 된 도로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