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mdilbo.com/lib/thumb.html?type=file&src=202404/21/20240421164032505754.jpg&w=700)
윤석열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회담이 이번주중 열릴 예정인 가운데 양측이 회담의 형식과 의제 등을 놓고 물밑 조율에 들어갔다.
양측은 의제를 무엇으로 할지 여부를 두고 사전 조율 과정에서 치열한 기싸움이 예상된다. 대체적으로 민생지원금과 의대 증원 문제, 국무총리 인준 문제 등이 거론될 것으로 전망된다.?
21일 정치권에 따르면 양측 실무진은 이르면 22일 영수회담 시기와 의제, 참석자 등을 두고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윤 대통령과 이 대표가 어떤 의제를 놓고 이야기를 나눌지 관심이 쏠린다. 대통령실과 민주당은 전날 의제와 관련해 결정된 것이 없다며 조만간 조율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우선 국무총리·대통령실 비서실장 후임 인선이 의제로 거론된다. 윤 대통령은 민주당 동의 없이는 총리를 임명할 수 없는 만큼 이 대표에게 총리 후보 추천과 인준 협조를 부탁할 것으로 점쳐진다.
윤 대통령은 4·10 총선 여당 참패 이후 인적 쇄신을 위해 총리 후보에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등 야권 인사도 두루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 대표는 박 전 장관이 총리 하마평에 오르자 “협치를 빙자한 협공”이라며 불쾌감을 드러낸바 있다. 이에 따라 박 전 장관의 총리 기용에 대한 반대 입장을 확고히 할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의대 증원과 3대 개혁(교육·노동·연금)에 대해서도 야당의 협조를 구할 가능성이 높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 16일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총선 관련 입장을 밝히며 “노동, 교육, 연금 3대 개혁과 의료 개혁을 계속 추진하되, 합리적인 의견을 더 챙기고 귀 기울이겠다”고 역설했다.
이 대표는 전 국민 25만원 민생회복지원금과 고물가 등 민생 현안에 방점을 찍고 구체적인 과제를 건의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민주당은 민생회복지원금 등 민생회복 긴급조치를 위한 추가경정예산(추경)안 편성을 정부·여당에 제안했다. 이 대표는 지난 19일 당원과의 만남에서도 “전국민재난지원금은 이번에 만나면 얘기해야 할 것 같다”고 재차 언급했다.
이와 함께 21대 국회에서 처리하겠다고 예고한 전세사기특별법, 양곡관리법 등 쟁점 법안들도 민생 관련 현안으로 논의 테이블에 올릴 것으로 관측된다.
정치권은 채상병·김건희 여사 특검법의 의제 가능성에 주목한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는 전날 “무엇보다 윤 대통령은 채상병·김건희 여사 특검법 등 지난 총선에서 드러난 국민적 요구에 성실하게 답하길 기대한다”고 압박하기도 했다.
민주당 내에서는 특검법이 의제가 될 가능성은 작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첫 만남인 만큼 민생 문제에 대한 언급이 있을 것 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시각이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특검법과 같은 쟁점을 얘기하면 그냥 쟁점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며 “쟁점 주제 보다 합의가 가능하고 시급한 민생 문제부터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울=강병운기자 bwjj2388@mdilbo.com
-
설 밥상 화두 '조기 대선'···광주·전남 정치지형 변화는?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재동 헌법재판소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3차 변론기일이 열리고 있다.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이 속도를 내면서, 설 연휴 광주·전남 지역민들의 최대 관심사는 조기 대선이 될 전망이다. 조기 대선이 현실화되면 지방선거를 약 1년 앞둔 지역 정가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23일 정치권에 따르면, 문형배·이미선 헌법재판관의 퇴임 전인 오는 4월 이전에 윤 대통령 탄핵 심판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 탄핵이 헌법재판소에서 인용될 경우 60일 이내에 대선을 치러야 하므로, 늦어도 5월에는 조기 대선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지면서 여야 대권 주자들의 움직임도 본격화되고 있다.민주당 대권 주자는 이재명 대표의 독주가 이어지는 듯했으나, 최근 여론조사에서 지지세가 하락하면서 당내 비명(비이재명)계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민의힘 지지율이 민주당을 앞서는 조사 결과도 잇따르며 대권 경쟁 구도가 한층 복잡해지고 있다.엠브레인퍼블릭, 케이스탯리서치, 코리아리서치, 한국리서치가 지난 20일부터 22일까지 성인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차기 대통령 적합도에서 이재명 대표는 28%로 선두를 달렸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14%, 홍준표 대구시장 7%, 오세훈 서울시장과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 각 6% 등이 뒤를 이었다.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p다.그러나 정당 지지도에서는 국민의힘(38%)이 민주당(36%)을 앞섰다. 정권 교체론이 힘을 잃는 가운데, 비호감도가 높은 이 대표의 대권 행보가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이에 비명계 대권 주자들에 이목이 쏠린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우원식 국회의장,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김부겸 전 국무총리 등이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각자의 방식으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김부겸 전 총리는 지지율 역전 상황에 대해 "탄핵 이후 여유 있게 국정을 이끌지 못한 데 대한 실망감이 작용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SNS를 통해 "우리는 저들과 다르게 가야 한다. 달라야 이길 수 있다"며 당의 변화를 촉구했다.이 대표의 강력한 대항마로 떠오른 김문수 장관도 변수다.데일리안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여론조사공정(주)에 의뢰해 지난 20~21일 만 18세 1천14명을 대상으로 이 대표의 가상 양자 대결을 실시한 결과, 김 장관은 38.8%를 얻어 이 대표(41.5%)와 초접전을 벌이며 주목받았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국민의힘 주요 대권 주자로 거론되던 오세훈 서울시장, 원희룡 국토부 장관, 홍준표 대구시장 등을 제치는 지지율을 기록했다.조기 대선이 현실화되면 지역 정치권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특히, 내년 6월로 예정된 지방선거의 판도는 대선 결과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으로 분석된다.광주·전남 지역은 시장과 구청장, 도지사와 시장·군수 등 단체장 22명 중 20명이 민주당 소속이다. 차기 지방선거에서도 큰 이변은 없을 것으로 예상돼, 민주당 내 공천 경쟁이 주요 관전 포인트로 떠오를 전망이다. 지방선거 주자들은 통상 1년 전부터 채비에 나서는 만큼, 조기 대선에서 어떤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보인다.만약 이재명 대표가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친명계의 당내 권력 구도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대선 패배 시 비명계의 반발과 당내 재편 움직임이 거세질 가능성이 있다. 이와 함께 무소속 정치인이나 새로운 인물이 부상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한 지역 정가 관계자는 "향후 대선 판도에 따라 광주·전남의 정치 지형도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지방선거를 준비하는 주자들은 전략 수립과 공천에서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고 말했다.한편, 여론조사 관련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강주비기자 rkd98@mdilbo.com
- · 윤 헌재 변론 직접 출석···국회의원 끌어내기·계엄 포고령 전면 부인
- · 헌법재판소 나온 尹 "자유민주주의 신념으로 살아온 사람"
- · 공수처, '조사 불응' 윤 강제구인 유력 검토…구속기간 연장시 2월 7일까지
- · 구속된 尹 대통령···법원서 난동부린 지지자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