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比 외식업 매출 25% 하락
음식점 등 소매 소비 감소 예상
연말 특수 기대하던 업계 '울상'
외식업계와 주류·유통업계 등이 특수를 기대하는 연말이 다가왔지만, 탄핵정국 속 연말 행사가 취소되거나 축소되는 사례가 줄을 이으면서 이들 업계에서도 타격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실제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일주일간 주류 매출액이 감소하는 등 소비 위축을 방증했다.
12일 광주지역 외식업계에 따르면 12·3 비상계엄 사태 후 연말 모임 예약이 미뤄지거나 취소되는 경우가 줄을 잇고 있다.
지난해 대비 광주지역 외식업 매출은 25%가량 하락했으며, 주말에는 서울 상경 등을 이유로 예약을 취소하거나 미루는 경우가 생기면서 예약률 역시 떨어졌다는 게 김상재 한국외식업중앙회 광주시지회장의 설명이다.
실제 서구에 위치한 A한식당 관계자는 "연말이 다가오면서 29명, 30명, 70명 등 단체 예약이 많이 있었는데, 비상계엄 선포 후 전부 취소돼 타격이 크다"면서 "특히 관공서 등에서 한 예약이 전부 취소됐다. 대부분 시국이 이러다보니 큰 모임이나 행사를 자재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하소연했다.
이같은 상황에 연말 특수를 기대하던 주류업계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한 주류업계 관계자는 "비상계엄 선포 이후 당장 크게 출고량이 줄어든 것은 아니다"면서도 "관공서 등에서 행사가 취소되고 있는 만큼 업소 내 소비가 줄어들면 생각했던 특수는 누리기 어렵겠다"고 우려했다.
전반적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유통업계의 매출도 주춤하는 모양새다.
이마트 광주점의 경우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일주일간 주류 매출이 -1%가량 역신장 했다고 밝혔다.
앞선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탁핵 정국 당시 하락했던 소비심리지수가 탄핵 결정 후 회복된 만큼 업계 관계자들은 윤 대통령의 탄핵이 결정되면 그나마 안정세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박 전 대통령의 탄핵정국 당시 10월 소비자심리지수는 102.7에서 탄핵정국이 시작된 11월 96까지 하락했다. 이후 매월 100을 하회하다 박 전 대통령의 탄핵이 결정되고 100을 넘긴 바 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100일 기준으로 높으면 평균보다 경기가 낙관적이고, 낮으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 유통업계 관계자는 "가성비 좋은 연말 선물세트를 내놓는 등 소비를 이끌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도 "아무래도 시국이 이렇다보니 탄핵이 결정나고 안정세를 찾으면 비교적 우리가 생각하던 연말 특수를 기대할 수 있을 거 같다"고 말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한 달 새 배추30%·사과32% 가격↑···농산물값, 설 전엔 잡힐까 전통시장에서 장보는 모습. 무등일보DB설을 앞두고 과일과 채소 등 농산물 가격이 폭등하면서 서민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기상여건이 좋다는 전제하에 수확물량 증가땐 가격이 다소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 무와 배추 수입, 봄 작형 재배면적 확대 등을 통해 시장물량을 조절키로 하는 등 가격 안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이날 기준 광주지역 배추 상품 1포기는 4천937원에 판매됐다. 평년(3천754원)과 전년(3천163원)에 비해 모두 오름세를 보였으며, 지난달(3천795원)보다도 30% 상승했다.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배추 중품도 1포기가 4천원에 거래돼, 지난해(3천57원)보다 30% 올랐다.100g당 928원에 판매된 시금치는 지난달(923원)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지난해(802원)·평년(683원)과 비교하면 각각 15%, 35% 비싸졌다.더욱이 당근 가격은 지난해보다 96% 뛰었다. 1kg당 6천900으로 지난해 가격은 3천505원을 기록했다.채소값과 더불어 과일값도 치솟고 있다.감귤(노지)은 10개에 5천87원에 팔렸다. 평년(2천942원) 가격에 비해 72%가량 오른 수준이다. 지난해(4천279)와 지난달(4천133)에도 4천원대를 유지하다가 올해들어 5천원대로 올랐다.사과의 경우 10개에 3만2천267원으로, 지난달(2만6천127원)보다 23% 비싸게 거래됐다.10개에 1만6천950원을 기록한 단감(상품)의 경우 한 달 만에 33% 오름세를 기록하고 있다.농산물의 이같은 가격 상승은 지난해 길었던 폭염과 폭우를 비롯한 이상기후 여파로 재배면적 감소, 생육 부진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이와 관련 농림축산식품부는 무와 배추를 수입하고 봄 작형 재배면적 확대 등을 통해 시장 물량 조절에 나선다.무와 배추가 겨울철 작황이 부진해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자, 유통인·김치업체의 저장 수요가 증가하는 등 일종의 사재기 조짐이 나타나고 있어 수량을 대폭 늘리겠다는 방침이다.전문가들은 설 명절 이전에 기상여건에 따른 물량 증가 시 가격이 하락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한국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생육기에 비가 많이 내리면서 작황 부진으로 물량이 감소해 무와 당근 등의 가격이 지난해보다 올랐다"며 "보통 배추는 2월~3월까지, 무는 3~4월까지 수확한다. 기상여건이 좋다면 물량 증가로 현재보다는 가격이 다소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이어 "사과의 경우 지난해 11월과 12월 가격이 높게 형성되기는 했지만, 설 시기가 다가오면 배가 많이 출하되면서 수요가 분산되므로 지난달보다 낮은 수준으로 형성될 거 같다"고 설명했다.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2027년 하반기 '더현대광주' 출점··· '더현대서울'의 1.5배
- · 짧은 가을, 역대급 한파 예고···유통가는 11월의 X-mas
- · 광주 복합쇼핑몰 경쟁···롯데, 복합몰 '타임빌라스' 로 돌파
- · 김장 비용 부담↑···시장·마트, 더 저렴한 곳은?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