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소비 '키덜트'시장 확산 덕분
"마니아층 위한 다양한 상품 출시"
코로나19 확산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면서 실내용 완구·장난감이 인기를 끌고 있다.
외부활동은 줄이고 집 안에서만 생활하는 '집콕'이 일상화되면서 관련 업계 매출이 크게 증가한 것이다. 특히 피규어나 블록 완구 등 수집 욕구를 자극하는 제품 판매가 늘고 있다.
9일 광주지역 이마트에 따르면 지난해 피규어 등을 판매하는 플레이모빌 제품 매출이 전년 대비 5.7배 가량 증가했다. 크리스마스 시즌인 12월에는 매출이 38배나 급증했다.
아이들 뿐만 아니라 성인들의 취향을 겨냥한 제품이 인기를 누리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플레이모빌은 정교한 피규어를 다수 출시해 유명한 곳으로 '키덜트(키즈와 어덜트)족'에게 사랑받고 있다. 크리스마스를 기념해 단독 판매했던 '피규어 산타'와 '크리스마스 캐리케이스'는 2천500여 개가 팔리는 등 큰 인기를 끌었다.
블록 완구의 대표인 레고 제품 역시 매출이 꾸준하다. 이마트에서 지난해 블록 완구 전체 매출이 5% 정도 성장한 가운데 레고 제품은 12%나 늘었다.
이밖에 건담, 피규어 등 제품군도 1년새(2021년 12월 기준) 각각 20%와 14% 성장했다.
완구류 판매량이 늘어난 것은 온라인에서도 알 수 있다. G마켓에서 2021년 매출을 분석한 결과 취미용품군의 객단가는 2020년보다 13% 증가가했다.
키덜트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국내 키덜트 시장 규모는 5천억원대(2014년)에서 지난해 1조6천억원까지 커졌고 최대 약 11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마트 관계자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집에서 즐기는 취미 생활이 보편화됐다"며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집안에서 가능한 놀이를 찾는 성인 소비자가 급증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에 이마트는 이같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대한항공과 플레이모빌이 협업한 승무원,조종사,정비사 피규어 3종을 판매한다.
이마트에서 키덜트족을 위해 출시한 이 제품은 대한항공이 피규어 완구로 유명한 플레이모빌과 협업해 제작한 것으로, 대한항공의 승무원, 조종사, 정비사의 실제 모습 그대로를 본 떠 만들었다.
서민호 이마트 완구담당 바이어는 "이번 피규어는 대한항공과 플레이모빌이 콜라보한 제품으로 마니아층에게 새로운 경험을 안겨줄 것으로 기대한다"며 "향후에도 플레이모빌의 새로운 시리즈나 키덜트족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다양한 상품들을 준비해 고객들에게 관련 트렌드를 지속적으로 소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한 달 새 배추30%·사과32% 가격↑···농산물값, 설 전엔 잡힐까 전통시장에서 장보는 모습. 무등일보DB설을 앞두고 과일과 채소 등 농산물 가격이 폭등하면서 서민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기상여건이 좋다는 전제하에 수확물량 증가땐 가격이 다소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 무와 배추 수입, 봄 작형 재배면적 확대 등을 통해 시장물량을 조절키로 하는 등 가격 안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이날 기준 광주지역 배추 상품 1포기는 4천937원에 판매됐다. 평년(3천754원)과 전년(3천163원)에 비해 모두 오름세를 보였으며, 지난달(3천795원)보다도 30% 상승했다.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배추 중품도 1포기가 4천원에 거래돼, 지난해(3천57원)보다 30% 올랐다.100g당 928원에 판매된 시금치는 지난달(923원)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지난해(802원)·평년(683원)과 비교하면 각각 15%, 35% 비싸졌다.더욱이 당근 가격은 지난해보다 96% 뛰었다. 1kg당 6천900으로 지난해 가격은 3천505원을 기록했다.채소값과 더불어 과일값도 치솟고 있다.감귤(노지)은 10개에 5천87원에 팔렸다. 평년(2천942원) 가격에 비해 72%가량 오른 수준이다. 지난해(4천279)와 지난달(4천133)에도 4천원대를 유지하다가 올해들어 5천원대로 올랐다.사과의 경우 10개에 3만2천267원으로, 지난달(2만6천127원)보다 23% 비싸게 거래됐다.10개에 1만6천950원을 기록한 단감(상품)의 경우 한 달 만에 33% 오름세를 기록하고 있다.농산물의 이같은 가격 상승은 지난해 길었던 폭염과 폭우를 비롯한 이상기후 여파로 재배면적 감소, 생육 부진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이와 관련 농림축산식품부는 무와 배추를 수입하고 봄 작형 재배면적 확대 등을 통해 시장 물량 조절에 나선다.무와 배추가 겨울철 작황이 부진해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자, 유통인·김치업체의 저장 수요가 증가하는 등 일종의 사재기 조짐이 나타나고 있어 수량을 대폭 늘리겠다는 방침이다.전문가들은 설 명절 이전에 기상여건에 따른 물량 증가 시 가격이 하락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한국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생육기에 비가 많이 내리면서 작황 부진으로 물량이 감소해 무와 당근 등의 가격이 지난해보다 올랐다"며 "보통 배추는 2월~3월까지, 무는 3~4월까지 수확한다. 기상여건이 좋다면 물량 증가로 현재보다는 가격이 다소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이어 "사과의 경우 지난해 11월과 12월 가격이 높게 형성되기는 했지만, 설 시기가 다가오면 배가 많이 출하되면서 수요가 분산되므로 지난달보다 낮은 수준으로 형성될 거 같다"고 설명했다.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탄핵정국에 꽁꽁언 연말···주류·유통업계 타격 우려
- · 2027년 하반기 '더현대광주' 출점··· '더현대서울'의 1.5배
- · 짧은 가을, 역대급 한파 예고···유통가는 11월의 X-mas
- · 광주 복합쇼핑몰 경쟁···롯데, 복합몰 '타임빌라스' 로 돌파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