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업계 시에 운영난 호소·시민들도 청원 행렬
올해 양궁선수권대회·인권포럼 등 흥행에도 빨간불
전남도 부정적 입장…“8월 말 무안공항 재개 목표”

무안국제공항이 장기간 폐쇄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광주공항에서 국제선을 당분간이라도 운영하자는 여론이 커지고 있어 광주시와 전남도의 대응에 관심이 쏠린다.
광주시는 지역민들의 불편이나 여행업계의 영업 활동, 올해 열리는 국제적인 행사 등을 고려하면 일리가 있다고 판단한 만큼 신중히 검토한 뒤 정부에 건의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협조'가 필요한 전남도가 부정적 태도를 보여 광주선의 국제선 임시 운항이 이뤄지기까지는 험로가 예상된다.
5일 무등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광주시는 국토교통부에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운영을 건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12·29 제주항공 참사로 인한 무안국제공항의 장기 폐쇄가 올해 10월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광주공항에서 임시로 국제선을 운영해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서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지난 2일 "무안공항은 로컬라이저(방위각 시설)와 새 떼 문제 등을 근본적으로 개선해야 하므로 10월까지는 문을 열 수 없을 것 같다"고 밝혔다.
이는 무안공항 재개가 예상보다 길어질 수도 있다는 전망으로, 당장 지역 여행업계와 주민들은 광주공항의 국제선을 열어달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지역 여행업계는 최근 광주시를 찾아가 일본과 동남아, 중국·대만 등에 대해 부정기편이라도 국제선을 운영해달라고 요구했다.
광주시가 운영하는 시민소통 창구인 '광주온(ON)'에도 무안국제공항 재개항 전까지 광주공항 국제선을 임시로 운영해달라는 청원이 올라왔다. 해당 청원은 무안공항 폐쇄가 장기화됨에 따라 광주와 전남에서 해외로 이동할 경우 인천공항이나 김해공항으로 이동해야 해 불편할뿐더러, 지역 여행사들의 매출 타격과 올해 광주에서 열리는 2025 세계양궁선수권대회 운영 불편 등을 이유로 들었다. 특히 이 청원인은 "광주공항 국제선 운항이 광주·전남권 국제 항공 수요가 다른 지역 공항으로 흡수되는 걸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광주시도 광주공항의 국제선 임시 운영에 대해 필요성을 인식하고 국토부 건의를 검토 중이다. 언제까지 지역 여행업계의 피해를 방치할 수만은 없는 데다가 오는 5월에는 세계인권도시포럼, 9월에는 2025 세계양궁선수권대회가 예정돼 있다.
광주공항은 무안국제공항으로 국제선 기능이 이전되기 전까지만 하더라도 일본, 동남아, 중국 등에 대한 정기편을 운행한 경험이 있다. 광주공항 활주로는 2천835m로 중·단거리 노선에 비행기를 띄우기엔 충분하다. 세관·출입국 관리·검역(CIQ) 등 국제선 운항에 필요한 출입국심사 시설도 이른 시기에 갖출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선 공항에서 국제선을 운영하려면 통상 10개월이 걸리지만, 상황이 상황인 만큼 '패스트트랙'으로 추진하면 3~4개월이면 충분하다고 광주시는 내다봤다. 국내선만 있는 울산공항이 올해 울산공업축제에 맞춰 국제선 부정기편 취항을 허가받았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다만, 전남도의 협조 없이는 독자적으로 추진하지는 않겠다는 방침이다. 광주시 통합공항교통국 관계자는 "길게는 1년 동안 광주·전남지역민들의 발이 묶인 상황에서 지역민이 강하게 원하고 있고, 관광업계도 죽어가고 있기 때문에 검토를 안 할 수가 없다"면서도 "전남도의 입장도 있기 때문에 조심스러울 따름"이라고 말했다.
광주시의 희망과 달리 전남도는 광주공항 국제선 운영은 현실성이 없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무안국제공항 재개가 빠르면 8월 말에도 가능한 만큼 광주공항에 임시 국제선을 운영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다.
전남도 건설교통국 관계자는 "무안국제공항이 재개를 최대한 단축하면 8월 말이면 가능한데, 광주공항에 새롭게 국제선을 놓기 위한 CIQ 설치와 승인은 연말 안에 힘들 수도 있다"며 "무안국제공항에 불미스러운 사고가 났다고 해서 복구 노력보다, 더 협소한 공항으로 국제공항을 옮겨버리는 것은 맞지도 않고 무안공항 활성화에도 어렵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강기정 시장 "헌재 늑장 선고, 광주·국가 발전 지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찬성' 집회에 참석한 강기정 광주시장. 뉴시스 강기정 광주시장이 윤석열 대통령 틴핵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늑장 선고로 민생을 벼랑 끝으로 내몰고, 시민 삶과 직결된 국내·지역 현안들이 발목잡혔다고 비판했다.강 시장은 지난 20일 확대간부회의에서 "헌재가 지금 결정을 미루는 것은 단순한 시간이 아니라, 시민들의 삶과 미래를 지연시키고 광주 발전, 대한민국의 발전을 지연시키는 일"이라고 지적했다.그는 "헌재가 결정을 지연하는 동안 OECD는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1.5%로 0.6%p 낮춰 전망했고, 스웨덴의 민주주의다양성연구소는 한국의 민주주의 수준이 후퇴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며 "실제 광주 지역의 신용카드 이용액은 급감했고 두 달 만에 자영업자 4천명이 감소하는 등 경제적 손실이 심각하다"고 우려했다. 사회적 갈등과 이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도 결코 가볍지 않은 문제라고도 지적했다.강 시장은 특히 광주의 미래 먹거리 사업이자 대한민국 AI(인공지능) 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할 'AI 2단계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를 눈앞에 두고 사실상 모두 정지된 상황을 언급했다. 강 시장은 "AI 패권을 거머쥐기 위한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경쟁의 승패를 가르는 것은 속도와 집적"이라며 "단 하루라도 신속하게 진행되는 것이 광주에도, 국가에도 손실을 줄이는 일"이라고 강조했다.이어 지역 숙원 사업들이 줄줄이 차질을 빚고 있다는 점도 걱정했다. 강 시장은 "광주~대구 달빛철도 예타 면제가 멈춰 섰고, 광주도시철도 2호선 국비 2천100억원 중 715억원이 아직 확보되지 못해 하반기 공사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헌법재판소가 즉각적으로 선고해 대한민국과 광주가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즉시 행동해야 한다"고 촉구했다.한편, 헌재는 윤 대통령 탄핵 선고에 앞서 오는 24일 한덕수 권한대행의 탄핵 여부를 선고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윤 대통령 탄핵 선고 일자는 그 주 금요일인 28일로 좁혀지는 분위기다. 그간 헌재의 대통령 탄핵 사건 모두 금요일에 선고된 바 있다.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 공식선거 운동 첫날···민주당·조국당 '격돌'
- · 불공정 or 과도한 논란···익사이팅존 설계 공모작 쟁점 따져보니
- · 광주시 '2025 광주 방문의 해'…관광이 산업이 되는 '관광도시' 만든다
- · 담양군수 재선거 후보 등록 후 첫 주말···"정직한 후보가 되길"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