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시계 '째깍' 야권 잠룡들 잇따라 광주·전남행

입력 2025.02.03. 18:47 이관우 기자
김부겸·김두관·김동연 비명계 대선 행보
이재명 위기론 고개들자 움직임 본격화
7~9일 김부겸, 12일 김두관, 13일 김동연
지역 정치·언론인 등과 만남·텃밭 공략
김영록 지사 출마 공식화·이낙연 활동 재개
왼쪽부터 야권 대선 주자로 거론되는 김부겸, 김두관, 김동연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이 속도를 내며 조기 대선 분위기가 고조된 가운데 야권 대선 주자들이 잇따라 광주·전남을 찾는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율 하락과 이재명 대표 사법리스크가 부각되면서 '이재명 위기론'이 고개를 들자 비명(비이재명)계 잠룡들의 움직임이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3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부겸 전 국무총리와 김동연 경기지사, 김두관 전 국회의원,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은 이달 중 민주당 텃밭인 광주·전남을 방문한다.

김 전 총리는 오는 7~9일 광주·전남을 찾아 정치인과 언론인, 지지자 등과 만남을 가질 예정이다. 7~8일 이틀간 광주에서 시간을 보낸 뒤 9일부터 전남 일정을 소화한다. 김 전 총리는 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민주당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을 맡아 광주·전남 지역민들과 스킨십 폭을 넓혀가는 중이다.

13~14일 광주·전남을 찾는 김동연 지사도 대권 행보에 시동을 걸었다는 평가다. 김 지사의 구체적인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으나 광주시장과 전남지사를 비롯해 경제·시민사회단체 등과의 만남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새해 첫날부터 12·29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 희생자들을 위한 합동분향소가 마련된 무안국제공항을 찾아 조문하는 등 정치적 보폭을 넓히고 있다.

김두관 전 의원은 11일 광주를 방문해 지역 여론을 청취한다.

김 전 의원은 8·18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당대표 자리를 놓고 이재명 후보와 경쟁하면서 당의 '이재명 일극체제'를 비판한 바 있다. 그는 당시 "지금 민주당에 대화와 토론이 완전히 실종됐다. 우리는 정치 소멸과 혐오의 시대를 살고 있다. 팬덤 문화가 혐오를 부추기고 팬덤이 정치를 실종시켰다"며 " 훌리건 민주주의를 당원 중심주의라고 부른다. 민주당은 정권 탈환과 멀어지는 길로 가고 있다"고 했다.

비명계와 함께 김영록 전남지사도 대권 도전 출사표를 던졌다.

비상계엄·탄핵 국면에 SNS를 통해 정치권을 비판하며 존재감을 키운 김 지사는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조기 대선 출마와 관련한 질문에 "결심을 굳혔다. 이제 앞으로 어느 순간에 어떻게 치고 나가느냐의 문제"라고 밝혔다.

10일 광주에서 기자간담회를 갖는 이낙연 상임고문이 조기 대선과 관련, 친정인 민주당의 친명·비명계 대립 구도 격화 등에 대해 어떤 목소리를 낼지도 관심사다. 이 상임고문은 문재인 정부 시절 총리를 지낸 뒤 민주당 대선 경선에서 이재명 대표에게 고배를 마신 바 있다.

비명계 잠룡들이 발 빠른 외연 확장 행보를 보이는 배경에는 친명계 일색인 당의 지지율 하락과 이 대표 사법리스크 등으로 '이재명 위기론'이 불거지는 상황을 기회로 삼아 존재감을 키우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이 대표는 지난해 11월 공직선거법 1심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오는 3월로 예상되는 2심 선고 결과에 따라 친명 대 비명계간 당내 갈등은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조기 대선 전에 대법원 판결까지 나오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여 비명계의 행보에 힘이 실리긴 어렵지 않겠냐는 목소리가 높다.

민주당 주류에서는 조기 대선이 현실화할 경우 부족한 물리적 시간 등을 고려해 이 대표 체제로 총력전을 펼쳐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박지원 의원은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경선에 따라 후보가 확정되겠지만 현재로선 이재명 대표 외에 대안이 없다"면서 "조기 대선이 현실화하면 물리적인 시간과 선택의 폭이 없다. 민주당이 이번에 또 정권 교체에 실패하면 어떻게 되겠는가"라고 말했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민주당 내에서 화합과 통합이라는 단어가 나오는 것은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둔 것으로 당내 갈등을 최소화하려는 것"이라며 "잠룡들의 움직임이 본격화하면 지역 정치권도 후보군을 중심으로 분화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관우기자 redkcow@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1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