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광주시장, 전남지사, 무안군수 모두 관문공항 설계자"

입력 2024.07.03. 17:37 이삼섭 기자
■강기정 광주시장 취임 2주년 인터뷰
관광객 유입·첨단물류산업 위한 공통적 과제
이달 3자 회동 앞두고 ‘의미 있는 결실’ 강조
공공시설 건립 갈등에 “투명한 정보 공개 필수”
“양대축 ‘AI·미래차 산단’을 미래 먹거리로”
강기정 광주시장이 민선8기 2주년을 맞아 2일 광주시청에서 취재진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양광삼기자 ygs02@mdilbo.com

강기정 광주시장은 "광주·전남 메가시티 건설과 호남 발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광주 민·군공항 이전을 통한 '무안통합공항도시'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민·군공항 이전을 위한 후보지 선정 작업과 광주 자원회수시설(소각장) 후보지 선정을 둘러싼 주민들의 행정 불신과 관련, 투명한 정보 공개와 전달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기정 시장은 지난 2일 광주시청 접견실에서 진행된 무등일보와의 취임 2주년 인터뷰에서 "광주시와 전남도, 무안군는 모두 설계자라는 입장에서 관문공항과 무안통합공항도시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 민·군공항의 통합 이전을 위한 광주·전남·무안 '3자 회동'을 앞두고 '의미 있는 결실'이 있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특히 무안통합공항 건립은 광주·전남의 관문을 열어 관광객 유입과 첨단물류산업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광주시의 일이자, 전남도도 단순한 중재자가 아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달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3자 회동'이 '빈손 회동'으로 끝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또 무안통합공항 건설과 광주 자원회수시설 건립 문제 등 공공인프라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민들의 반발을 두고, "투명한 정보 공개를 통해 주민들이 이익과 손해를 정확히 따져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혐오시설'이라는 점만 부각되면서 행정 불신으로 인해 불필요하게 사회적 갈등이 커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무안통합공항 건설의 경우 소음 피해지역이 극히 한정적이고 대부분의 무안지역이 경제적 혜택을 얻을 것으로 분석되는 데도 불구하고 적잖은 무안주민들이 막연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강 시장은 지난 전반기 2년에 대해 공직자들과 시민들이 '이제는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던 시간이었다고 평가하며, 후반기에서는 인공지능(AI)과 미래차 산단이라는 두 축의 하드웨어에 소프트웨어를 입혀 기업을 적극 유치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를 통해 미래 먹거리를 만들겠다는 포부다.

마지막으로 2027년 광주도시철도 2호선 1단계 개통에 맞춰 2045 탄소중립을 위한 '대자보'(대중교통·자전거·보행)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겠다고도 밝혔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2
후속기사 원해요
3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3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