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례없는 도전" 오너가 치켜 든 '더현대 광주' 어떻길래

입력 2024.05.22. 17:53 이삼섭 기자
획일적 설계 아닌 4가지 도시 요소 '적층'
광주문화와 더현대 '독창성' 결합된 공간
전통가옥 생활 양식 해석한 '빌리지' 주목
소상공인 상생마당 설치·지역 맛집 체험도
강 시장, "시민에 사랑받는 공간될 것" 화답
현대백화점이 22일 발표한 '더현대 광주' 설계작 투시도. 건축계 거장이자 듀오인 헤르조그&드 뫼롱이 설계했으며, 4가지 도시 요소를 수직으로 쌓아올린 점이 특징이다. /현대백화점 제공

"우리나라에 유례가 없는 시도를 저희가 처음 하는 곳이고요. 현대백화점이 가지고 있는 모든 건물 중에 제일 어려운 과제일 겁니다. 완성된다면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인정 받는 건축 공간, 콘텐츠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정지영 현대백화점 대표이사는 22일 '더현대 광주' 설계작(디자인)을 두고 '도전', '실험', '유례없는' 등의 표현을 거듭 강조했다. 그만큼 '더현대 광주' 설계작에 독창성을 녹여내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이날 현대백화점이 공개한 작품은 건축계 거장이자 듀오인 헤르조그와 드 뫼롱(Herzog & de Meuron)이 설계한 작품이다. 건축계 노벨상인 '프리츠커상'을 수상할 정도로 명망 있는 건축가 듀오로, 낙후된 화력발전소를 세계적인 현대미술관으로 탈바꿈한 '테이트모던' 프로젝트로 잘 알려져 있다.

'더현대 광주' 설계작 외관 투시도. /현대백화점 제공

현대백화점이 진행한 프레젠테이션에 따르면, '더현대 광주'는 한국 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상징적인 한국의 멋을 구현한 '뉴 오리지널리티'(New Originality)를 표방한다.

한국 전통문화의 보고로서 과거 유산을 독창적 문화예술로 계승하는 광주의 오리지널리티(독창성)와 기존에 없던 새로운 공간 경험을 제시하며 오프라인 리테일(소매업)의 한계를 뛰어넘은 더현대의 오리지널리티의 결합이다. 요약하면 광주·전남지역의 역사·문화적 가치와 더현대의 독창적 역량이 결집된 건축 공간이다.

최단기간 1억명이 방문한 '더현대 서울'이 MZ세대를 타깃으로 전시, 팝업(Pop-Up), 휴식 등 힐링이 가능한 상업공간으로의 진화라면, '더현대 광주'는 한국의 유니크한 멋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글로벌적으로 주목받는 리테일 공간이 목표다.

현대백화점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비엔날레, 광주가야금, 민간정원의 원형인 소쇄원 등을 언급, "광주는 국악, 서예, 문학, 가야금 등 풍부한 문화예술의 보고"라고 강조했다.

'더현대 광주' 설계작 내관 투시도. 전통 가옥의 생활 양식을 현대적으로 해석했다. '더현대 광주'는 시민들의 휴식 공간을 대폭 확보한다. /현대백화점 제공

그에 따라 '더현대 광주' 설계작은 전형적인 공간 구조에서 벗어나 4가지 도시 요소를 수직적으로 쌓아 올린 독특한 구조를 도입했다. 총 4가지 도시 요소는 각각 빌리지(VILLAGE), 바실리카(공공 회관·BASILICA), 블러바드(도심 가로·BOULEVARD), 마켓(MARKET)이다.

'더현대 광주'만의 가장 독특한 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되는 빌리지는 사업지(옛 방직공장터)가 갖는 지역적 유산과 전통 가옥의 실내외 라이프스타일에서 영감을 받아 현대적으로 해석해 구현한 공간이다. 한옥의 박공 지붕과 안마당을 건축 요소로 가져와 고객에게 자연, 사람, 이벤트, 문화와 같은 다양한 만남과 조용한 휴식을 제공한다.

정 대표는 빌리지를 두고, "한국의 전통적인 것을 어떻게 현대식 건물에서 구현할 것인가가 지금 제일 어려운 과제이다"면서도 "하지만 광주가 전통의 원류이기 때문에 하는 저희의 도전 과제다"라고도 강조했다.

'더현대 광주' 내부 투시도. 각 층을 조경이나 다양한 콘텐츠로 수직적으로 연결해 시각적으로나 경험적으로 통합된 공간 경험을 준다./현대백화점 제공

마켓은 광주의 맛을 포함한 다양한 미식을 체험할 수 있도록 국내 최대 규모의 '마켓 홀' 형태로 구성한다. 또 광주 소상공인 등을 위한 상생마당을 설치해 지역 상품 판매와 전시, 축제 등을 함께 누릴 수 있도록 공간을 조성한다.

블러바드는 브랜드 플래그십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며 자연요소를 결합해 도심을 걷는 듯한 새로운 경험 공간을 제공한다. 바실리카는 고대 로마시대의 시장, 집회장, 관공서 등 공공활동 중심 공간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공간이다. 각 층을 조경이나 다양한 콘텐츠로 수직적으로 연결해 시각적으로나 경험적으로 통합된 공간 경험을 준다.

22일 광주시청 비즈니스홀 내부에 전시된 '더현대 광주' 설계작 투시도.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정 대표는 "더현대 광주가 기존의 한국 백화점 유형을 벗어나 시민들이 사계절 휴식하며 즐기고, 라이프스타일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공간으로 개발하고 있다"며 "그렇기에 공간마다 시민들이 편하게 쉴 수 있는 부분을 대폭 늘리는 설계를 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정 대표는 "더현대 광주는 헤르조그와 드 뫼롱에서도 굉장히 챌리지한(도전적인) 프로젝트로 준비하고 있다"면서 "이 콘셉트대로 지어지게 된다면 엄청 좋은 공간이 되겠지만 도전 과제가 상당히 많다. 광주시에서도 많은 응원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실제 이대로 설계돼 2027년 공개된다면 시민들에게 정말로 사랑받는 공간이 될 것이다"며 "광주시민들은 자긍심은 높은데 누리는 데는 부족한 점이 있다. 더현대 광주가 큰 재원을 투자해 부족한 부분을 채워준다는 점에 너무도 감사드린다"고 화답했다.

또 강 시장은 "우리 행정에서 신속하게 (인허가 등) 할 수 있도록 많이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2
후속기사 원해요
4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6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