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후보들 동네 공약? "지방선거냐 vs 지역밀착"

입력 2022.03.02. 17:29 이삼섭 기자
기초자치단체별 맞춤형 공약으로 표심 공략
"생활밀착형 공약, 유권자 느끼는 체감 높아"

"마륵동 공군 영외탄약고 조속 이전 및 주변 군사 보호구역 해제"

"대인시장을 미래형 전통시장 플랫폼으로 혁신 추진"

지방선거에서 흔히 볼 듯한 이 같은 공약은 20대 대선 주요 후보들의 광주 지자체 공약이다.

유권자 피부에 와닿는 공약으로 표심을 공략하려는 시도로 읽히는 가운데 상반된 시선이 나온다. 세심한 공약으로 유권자에게 다가가려고 한다는 긍정적 평가가 있는 반면 국가 운영에 대한 비전과 국정 운영 철학이 중요한 대선이 '표퓰리즘'으로 전락했다는 목소리도 크다.

2일 주요 정당에 따르면 각 기초자치단체별 맞춤공약을 내놓고 알리기에 공을 들이고 있다.

가장 적극적인 당은 더불어민주당이다. 민주당은 전국 226개 기초지차체별로 4~7개 가량의 지역맞춤형 공약을 발표했다. 민주당은 지난 대선에서도 기초자치단체까지 맞춤형 공약을 선보인 바 있다.

국민의힘도 시·군·구 생활밀착형 공약을 내놓고 적극 알리고 있다. 민주당과 마찬가지로 각 지역별로 1~7개 가량이다. 다만 지역별로 편차가 크다.

광주지역에서 자치구별로 적게는 한 개, 많게는 2개에 그치고 있는데 대전에서 각 자치구별로 3개씩 공약을 내놓은 것과 비교된다. 지역정당 기반이 약한 탓에 지역숙원사업이나 맞춤형 공약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대선후보들이 이처럼 기초자치단체별로 공약을 내놓은 것을 두고 일상생활의 민주주의가 확대되는 차원이라는 설명이 나온다.

오승용 킹핀정책리서치 대표는 "과거 대선공약이 국가적 차원의 의제 중심으로 갔다면, 이제는 지역적으로는 기초단위 계층별로는 생활밀착형으로 발굴해 접근하기 시작했다"며 "시민 생활과 밀접한 공약들을 제시했을 때 (유권자가 느끼는) 체감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또 유권자들이 스마트폰을 쓰면서 (공약) 접근성이 좋아졌기 때문에 소구(호소 방법) 또한 디테일(세심)하게 가고 있다"며 "일상생활의 민주주의로 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의 '소확행', 윤 후보의 '심쿵약속'이나 '쇼츠 공약' 등도 이 같은 맥락에서 풀이된다. 국민의힘이 광주·전남지역에 복합쇼핑몰을 공약으로 내건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나온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지역·생활밀착형 공약들을 바라보는 유권자들의 반응은 상반된다. 광주지역 한 시민단체 대표는 "시민들이 공약을 바라볼 때 내 삶의 질이 어떻게 좋아지는지 나와야 한다"며 피부에 와닿는 공약들이 쏟아지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반면 '대선이 지방선거로 전락했다'는 부정적 시선도 있다.

지역정가의 한 관계자는 "국가 대계를 책임지는 대선에서 지방선거에서나 볼 수 있는 공약들이 쏟아지는 현상은 결코 좋지 않다"며 "복합쇼핑몰 논란이 광주 대선 이슈를 잠식한 게 대표적"이라고 말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1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