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칼럼] 운명을 바꾸는 운전 중 스마트폰 습관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 스마트폰 습관, 가장 위험한 때와 장소는 '운전 중' 그리고 '차 안'이다. 운전 중 사고는 '눈 깜짝할 사이'에 발생하고, 여러 사람의 운명이 결정되기2022.11.20@ 김경수
-
[칼럼] 한류의 기폭제가 된 광주항쟁■ 신경구의 포용도시?필자는 2015년 11월 한국정부가 중국에 보낸 공연단의 농악 공연을 보면서 커다라 격세지감을 느꼈다. 1980년대에는 북치고 꽹과리 치는 운동권 학생들이 탄2022.11.13@ 신경구
-
[칼럼] 디지털 디톡스, 행위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의 역할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인류 탄생 이래, 가장 많은 인간이 사용한 기기는 스마트폰이다. 작년 스톡앱스의 자료에 따르면 세계 인구 79억 명 중 53억 명(약 67%)이 스마트폰을 사2022.11.06@ 김경수
-
제93주년 광주학생독립운동에 부쳐<하>11월이 오면"조선 학생이여 궐기하라. 투쟁으로써 광주를 지지하라. 반항과 유혈이 있는 곳에 결정적 승리가 있다. 궐기하라. 이후의 역사는 우리들의 것이 아니냐."이 피 끓는 격문의 작성자는2022.11.02@ 황광우
-
제93주년 광주학생독립운동에 부쳐<중>알고 있을까?광주를 '의향'이라 부르는 까닭은 1980년 광주민중항쟁에 있다.나는 오월의 시민군들이, 그 날 총에 맞고 쓰러진 시민군들이, 이후의 삶을 얼마나 힘들게 살아왔던가 이번에야 알게2022.11.01@ 황광우
-
제93주년 광주학생독립운동에 부쳐<상> 부끄러운 광주1929년 광주에서 일어나 전국적으로 확산된 광주학생독립운동이 올해로 93주년을 맞이한다. 민족차별교육에서 발단하여 민족독립만세 운동으로 발전한 광주학생독립운동이 있기까지 나라의2022.10.31@ 황광우
-
[칼럼] 광주 포용도시 이끈 홍진태 국제교류센터 이사장■ 신경구의 포용도시필자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설립된 광주국제교류센터의 소장을 맡으면서 지난 23년 동안 많은 외국인들을 만났는데, 이들은 광주가 외국인들이 살기에 매우 편한 도시라2022.10.30@ 신경구
-
[칼럼] 디지털 기기로부터 내 눈과 건강을 지키는 법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인간은 인생의 3분의 2 정도를 눈을 뜨고 산다. 하루 24시간 중에 약 16시간 동안 무언가를 보면서 사는 것이다.그런데 디지털 기기들이 등장하면서부터 바라2022.10.23@ 김경수
-
[기고]세계인권도시포럼이 세계적이 된 이유는?지난 10일부터 13일까지 4일 동안 '기후위기와 인권'을 주제로 제12회 세계인권도시포럼이 광주에서 열렸다. 올해 통계는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이제까지 이 포럼에는 전 세계 12022.10.16@ 신경구
-
[칼럼]윤석열차의 표절 검증, 그리고 창작■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최근 부천국제만화축제의 수상작 '윤석열차'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보리스 존슨 열차'(이하 보리스열차)를 그린 스티브 브라이트 작가는 "표절이 아니다"라고2022.10.10@ 김경수
-
[칼럼]'오징어게임'의 빛과 그림자■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2021년 9월 17일 넷플릭스를 통해 오픈된 K-드라마 '오징어게임'이 최근 미국 에미상 시상식에서 비영어권 최초로 감독상, 남우주연상 등 6관왕을 차지했2022.09.25@ 김경수
-
[기고]신경구의 포용도시/친 자전거 도시몇년 전 네델란드 어느 도시에서 미니 스커트에 정장을 차려입은 여성이 자전거를 타고 가는 모습을 보고 얼른 찍은 사진이다. 머리도 곱게 다듬고 옷도 정장으로 차려 입은 것으로 보아2022.09.18@ 신경구
-
[칼럼]영화 '한산'과 '명량' 창의적으로 읽기■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무등일보가 가을을 맞아 문화 다양성을 위한 칼럼코너를 마련했다.'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는 최근 논란이 된 문해력에 많은 생각거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2022.09.04@ 김경수
-
[문화칼럼]광주·전남에도 이런 공간 하나 있다면…‘나무심는건축인’ 사유원 답사를 다녀와서
정명환 건축사 ((주)건축사사무소 지읒 대표)
2022.06.05@ 무등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