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칼럼] 약자도 존중받는 포용사회2023.08.27@ 신경구
-
[칼럼] 세로 미디어 혁신과 미래지향적 미디어리터러시■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2007년 스마트폰이 출시되기 전까지 미디어는 온통 '가로 세상'이었다. 극장과 TV, PC 등 대부분의 스크린과 모니터가 가로 중심이었다. 스마트폰 등장2023.08.20@ 김경수
-
[특별기고] 학살을 기억하라! '옐로우 메모리'전쟁과 경제적 불안으로 얼룩진 하수상한 이 세월을 광주에 있는 시민들은 어떻게 보내고 있는가. 5·18 민주화운동을 경험한 광주 시민들은 필자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주제를 너무나 잘2023.08.17@ 임혜지
-
[공연 리뷰] 아직 오지 않은 소녀의 광복놀이패 신명 마당극 '소녀의 꿈'
2023.08.15@ 김도일 -
[칼럼] 왜 페이스북에서 인스타그램으로 이주하는가■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페이스북에 빠진 페친들이 대거 인스타그램으로 이주하였다. 주변에 '인스타'를 하지 않는 청소년을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다.올해 4월 한국인 스마트폰 사용자2023.08.06@ 김경수
-
[칼럼] 서로 존중하고 감사하는 포용 사회2023.07.30@ 신경구
-
[공연리뷰] 동시대 창작 레퍼토리 위한 과감한 시도시립발레단 'DIVINE'
심정민 무용평론가·비평사학자·한국춤평론가회 회장
2023.07.24@ 김혜진 -
[칼럼] 과학적 검증과 미래 예측에 대한 성찰■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최근 후쿠시마 오염수, 기후 변화 등을 두고 '과학적 검증'과 '미래 예측'이 화두이다.미래 예측은 특정 시장의 수요와 기술 발전, 또는 경영 환경 평가2023.07.23@ 김경수
-
[칼럼] 포용사회를 파괴하는 반사회성2023.07.16@ 신경구
-
[칼럼] 가짜뉴스에 대한 성찰■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최근 후쿠시마 오염수, 서울-양평 고속도로 등을 두고 여야 간 가짜뉴스 논쟁이 치열하다. 가짜뉴스(fake news)의 사전적 의미는 언론 보도의 형식을 띠2023.07.09@ 김경수
-
[칼럼] 광주의 인권교류2023.07.02@ 신경구
-
[칼럼] 구글-MS 전쟁과 14년 주기 메가트랜드■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의 AI 주도권 경쟁이 점입가경이다.작년 11월 30일, 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의 경제적 지원을 받은 오픈AI가 챗GPT-3.5를 출2023.06.25@ 김경수
-
[칼럼] 따뜻한 접촉이 만드는 포용사회2023.06.18@ 신경구
-
[칼럼] 구글 AI '바드'가 한국어를 선택한 이유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앞으로 모든 일상이 AI를 중심으로 바뀔 것이다", "생성형 AI가 모든 산업을 재창조할 것이다" 빌게이츠와 젠슨황의 예언이다. 모든 일상과 산업이 AI 중2023.06.11@ 김경수
-
[칼럼] 챗GPT와 함께 만드는 포용사회2023.06.04@ 신경구
-
[칼럼] 광주정신 세계로 확장할 브랜드 공연 기대리뷰-창작 오라토리오 '빛이여 빛이여 빛고을이여!'
2023.05.23@ 김진선 -
[칼럼] 중독 스펙트럼과 유튜브 중독 예방법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중독(中毒)' 하면 나와 무관한 것으로 생각한다. 심지어 중독자도 자신의 중독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라고 한다. 중독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 서서히2023.05.21@ 김경수
-
[칼럼] '근대의 실패한 프로젝트' 인구문제와 지역성평등정책의 과제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은 '액체근대'라는 책을 통해 서구사회가 초기근대의 딱딱한 고체성을 넘어 어떻게 유연한 '액체근대'로 진입하였는가를 분석한 바 있다. 다문화 되어가는 한국사2023.05.17@ 김미경
-
[칼럼] '나무심는 건축인' 뮤지엄 산 답사를 다녀와서'나무심는 건축인' 52인이 동행하는 답사를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에 있는 뮤지엄 산(Museum SAN)에서 최근 가졌다. 뮤지엄 산은 노출 콘크리트의 건축물의 대가 안도 타다오2023.05.16@ 김준철
-
[칼럼] 포용도시의 기반인 광주항쟁■신경구의 포용도시?2019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실시한 국민여론조사에 따르면 75.7%가 한국의 민주화 운동에 긍지를 갖고 있고,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인지도는 76.1%로2023.05.14@ 신경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