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칼럼] 음식 배달앱 문화와 무료배달 경쟁-(39)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
2024.06.16@ 김경수 -
[칼럼] 소멸로 존재하는 하루살이의 소명
2024.06.09@ 김용근 -
[문화칼럼] 광주국제교류센터가 포용 모델된 사연■신경구의 포용도시
2024.06.02@ 신경구 -
[공연리뷰] 저력 응축된 국제적 수준의 컨템포러리발레공연리뷰-시립발레단 'DIVINE'
2024.05.29@ 심정민 -
[칼럼] 모바일 선물 문화와 선물의 본질 - (38)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
2024.05.26@ 김경수 -
[문화칼럼] 선율로 재탄생한 오월 문학리뷰-5·18창작 오라토리오 ‘빛이여 빛이여 빛고을이여’
2024.05.13@ 강은희 -
[문화칼럼] '임을 위한 행진곡' 영어 표준가사■신경구의 포용도시
2024.05.12@ 신경구 -
[문화칼럼] 광주외국인주민센터 개소의 의미■신경구의 포용도시
2024.05.01@ 신경구 -
[칼럼] 산업혁명과 문화혁명의 의미-(37)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
2024.04.28@ 김경수 -
[공연 리뷰] 기억과 경험의 사유공연리뷰-이머시브 연극 ‘FOOD’
2024.04.24@ 유형민 -
[칼럼] AI 역사에서 흑역사가 중요한 이유-(36)■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36)AI 70년 역사에서 최초의 AI 연구는 1950년 영국의 수학자 앨런 튜링의 '계산기계와 지능'이란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 앨런은 '기계가 생각할2024.04.07@ 김경수
-
[칼럼] 선택의 시간, 노새와 버새■김용근의 잡학카페진화과정에서 가깝고 비슷한 혈연의 계통을 순종과 동종이라 한다. 순종에서 벗어나 먼 잡종들 사이의 조합의 잡종이 생존력과 번식력에서 양친보다 유리하고 우수하다.2024.03.31@ 김용근
-
일상 속 휴식 가능한 건축적 산책 공간대구 군위 사유원 답사기
2024.03.26@ 김혜진 -
[칼럼] 이주 노동자와 원어민 교사의 만남■신경구의 포용도시광주시청의 제안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국제교류센터가 1999년에 창립된다. 광주교류센터는 재정지원이 넉넉하지 않았기 때문에 광주 시민들의 후원은 물론 외국인 회원들2024.03.24@ 신경구
-
[칼럼] AGI의 의미와 중요성-(35)■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35)챗GPT가 변호사 시험에 이어 의사면허 시험을 통과하고, 인간과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누고, 그림을 그려주고, 이제 영상까지 제작하는 등의 발전을 거2024.03.17@ 김경수
-
[공연 리뷰] 일본인의 양심으로 전한 미쓰비시 근로정신대 진상연극 '봉선화 Ⅲ' 공연 후기
2024.03.03@ 유형민 -
[칼럼] 스스로 돕는 여성 이주민들■신경구의 포용도시유엔은 1975년에 3월8일을 '세계여성의날'로 지정했다. '광주이주여성연합회'는 이날을 기념하기 위해서 지난해에도 기념식을 갖었고, 올해 3월3일 전일빌딩 9층2024.03.03@ 신경구
-
[칼럼] 챗GPT 다음 GPT 스토어에 주목하는 이유-(34)■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34)새해 1월 10일,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GPT 스토어'를 발표하였다. GPT 스토어란 챗GPT를 통해 맞춤형 모델인 AI 챗봇을 개발하고2024.02.25@ 김경수
-
[칼럼] 이주민들이 만드는 포용사회■신경구의 포용도시지난 1월 마지막 주말 외국인 두 사람이 두툼한 봉투를 들고 국제교류센터를 방문했다. 올해 교류센터의 사정이 좋지 않을 것이 걱정이 되어 찾아 왔다는 것이다. 현2024.02.04@ 신경구
-
[칼럼] AI 스마트폰의 시작과 심플 컬처-(33)■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33)새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의 화두는 '모든 곳에 AI(AI Everywhere)'였다. 처음으로 'AI 혁신상'을2024.01.28@ 김경수